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RU Oct 18. 2018

1960년대 명반(앨범) BEST 10장

TOP 10 Albums Of 1960s

1950년대 중반 흑인의 '블루스'와 백인의 '컨트리'가 만난 로큰롤이 융성하고, 60년대 록으로 진화한다. 히피 문화와 더불어 사이키델릭 시대가 60년대 중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앨범 예술이 자리잡히면서 대중문화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10 : Aretha Franklin/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1967>

블랙 프라이드 정신의 여성해방

1."Respect" (Otis Redding)

2."Drown in My Own Tears"(Henry Glover)

3."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Ronnie Shannon)

4."Soul Serenade"(King Curtis, Luther Dixon)

5."Don't Let Me Lose This Dream"(Aretha Franklin, Ted White)

6."Baby Baby Baby"(Aretha Franklin, Carolyn Franklin)

7."Dr. Feelgood"(Aretha Franklin, Ted White)

8."Good Times"(Sam Cooke)

9."Do Right Woman, Do Right Man"(Dan Penn, Chips Moman)

10."Save Me"(Aretha Franklin, Carolyn Franklin, King Curtis)

11."A Change Is Gonna Come"(Sam Cooke)



소울의 여왕이 집권하기까지 꽤나 험한 과정을 거쳐야 했다. 컬럼비아 레코드는 그녀에게 클럽에서 공연만 줄창 시켰다. 애틀랜틱 레코드로 이적하고서야 자신의 재능을 온전히 펼칠 수 있었다. 


어느날, 한 백인 연주자들과 매니저이자 남편인 테드가 다투고나서 레코딩이 중단되자 프랭클린이 직접 피아노에 앉아서 4곡을 써내려가며 작업을 이어가야만 했다.


당시 소울 가수들은 레코드회사에서 작곡과 편곡을 도맡던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국내 아이돌을 기획사에서 음반 전반을 관리해주는 관레와 아주 유사하다.


이제 소울 가수들도 자신의 음악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그것도 여성이 말이다.






#9 : James Brown/ <Live At The Apollo, 1963>

대중음악의 모든 장르를 검게 칠하다.

01. Introduction To James Brown 

02. I'll Go Crazy 

03. Try Me 

04. Think 

05. I Don't Mind 

06. Lost Someone 

07. Medley: Please, Please, Please/You've Got The Power/I Found Someone/Why Do You Do Me/I Want You So Bad/I Love You, Yes I Do/Strange Things Happen/Bewildered/Please, Please, Please   

08. Night Train



'역사상 가장 많이 샘플링된 아티스트' 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소울의 대부 (Godfather Of Soul)는 오늘날 미국에서 활동한 후대의 어떠한 뮤지션도 그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의미한다. 1962년 10월 24일, 제임스 브라운은 그의 음반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아폴로 극장에서 그의 공연을 녹음했다. 


순전히 자비로 제작된 라이브 앨범은 놀랍게도 빌보드차트 2위까지 오르며 66주간이나 차트에 머물렀다. 이 열기는 온전히 힙합과 디스코, 컨템포러리 재즈, 드럼 앤 베이스 등에게 막대한 영향을 줬다.






#8 : 밥 딜런/ <Blonde On Blonde, 1966>   

신생아 포크록이 예술로 우뚝 서다

1. Rainy Day Women # 13 & 35 (Dylan)                                      

2. Pledging My Time                                                                 

3. Visions Of Johanna                                                              

4. One of Us Must Know (Sooner Or Later)                                    

5. I Want You                                                                          

6. Stuck Inside of Mobile with the Memphis Blues Again                    

7. Leopard-Skin Pill-Box Hat                                                       

8. Just Like A Woman                                                              

9. Most Likely You Go Your Way (And I'll Go Mine)                        

10. Temporary Like Achilles                                                        

11. Absolutely Sweet Marie                                                         

12. 4th Time Around                                                                 

13. Obviously 5 Believers                                                          

14. Sad Eyed Lady Of The Lowlands                                         



대중음악의 가사를 문학의 경지로 이끌어올린 사람(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니 미국 토속음악 '포크를 현대예술로 탈바꿈시킨 역사적 인물'이라는 평에 휩쓸리지 않아도 이 앨범의 음악은 너무나 자연스럽다. 


전작 [Highway 61 Revisited]이 인상적인 로큰롤 데뷔작이었다면 그후 6개월만에 발표한 이 앨범은 단순히 그 장르를 견고히 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새로운 장르(포크록)최초의 걸작이 되었다. 초현실적이지만, 통찰력있는 딜런의 시적인 묘사로 얻은 '시대의 목소리'라는 꼬리표는 전작의 정치적 신념의 표출보다는 한 세대의 내면을,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담히 풀어내는 <Blonde On Blonde>의 노래는 왠지 심금을 울린다.


록 장르의 최초 더블앨범을 성공시킨 딜런은 창작의 면에서 너무나 빨리 움직이고 있었고, 나머지 세계는 그를 따라 잡으려는 힘겨운 노력을 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그 시도는 결코 멈추지 않았다.





#7 : 비틀즈/ < Rubber Soul, 1965>   

신은 비틀즈에게 딜런을 선사하셨다

1.Drive My Car (Lennon/McCartney)                       

2.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               

3.You Won't See Me                                               

4.Nowhere Man                                                      

5.Think For Yourself (George Harrison)                  

6.The Word (Lennon/McCartney)                           

7.Michelle                                                                

8.What Goes On (Lennon/McCartney/Ringo Starr)  

9.Girl (Lennon/McCartney)                                     

10.I'm Looking Through You                                    

11.In My Life                                                           

12.Wait                                                                   

13.If I Needed Someone (Harrison)                         

14.Run For Your Life (Lennon/McCartney)              



64년, 밴드가 표현하는 모든 자유와 달리 몸을 구속하듯 꽉 조이는 양복을 입고 뭅 헤어 (바가지 머리)를 한 아이돌이였다. 그로부터 2년후, 팬들은 상상력 풍부한 팝스타라는 진짜 비틀즈에 한걸음 가까이 다가갔다.


원인은 밥 딜런이였다. 당대의 스타였던 두 뮤지션들은 곧 서로에게 빠져들게 된다. 비틀즈 (특히 존 레논)은 딜런의 깊이 있는 메세지대마초에 열광하게 됐고, 딜런은 비틀즈에게서 로큰롤의 환희를 발견했다. 크리스마스 시장을 노리기 위해 1달간 급조한 앨범이라 싱글발표도 못할 정도로 촉박했다. 그래서 개인적이면서 실험적이면서 충동적이다. 


하지만, 후대는 물론 출반 당시에도 사람들에게 엄청난 놀라움을 준 앨범이다. 동료음악가들(특히 비치보이스와 롤링스톤즈)이 쇼크를 받아 이 작품을 넘어서는 걸작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게 되었다. 사실 비틀즈에게 가장 큰 모욕은 "Ob-La-Di, Ob-La-Da"가 아니라 [Rubber Soul]이 너무나 자주 무시당한다는 점이다. 싱글 히트곡은 담겨있지 않지만, 다른 밴드였다면 최고의 음반으로 꼽혔을 것이다.








#6 : 밥 딜런/ < Highway 61 Revisited, 1965>   

그리고 신은 딜런에게 비틀즈를 선사하셨다

1.Like A Rolling Stone (Dylan)                               

2.Tombstone Blues                                               

3.It Takes a Lot to Laugh, It Takes a Train To Cry   

4.From A Buick 6                                                  

5.Ballad Of A Thin Man                                          

6.Queen Jane Approximately                                 

7.Highway 61 Revisited                                         

8.Just Like Tom Thumb's Blues                             

9.Desolation Row                                               



1965년 7월 25일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에서 밥 딜런이 전자기타를 들고 나왔을때, 당시 포크 씬은 전기기타를 드는 행위를 배신이자 포크의 순수성을 파괴한다고 여겼다. 그러나 포크 순수주의자들의 야유는 약 한달후 [Highway 61 Revisited] 발표되고 딜런에 쏟아진 환호에 곧 묻혀버리고 만다.


롤링스톤지가 뽑은 역대 최고의 노래이자 2위까지 올라간 Like A Rolling Stone는 이제 (당시의) 3분이라는 제한에 얽매이지 않았다. 후렴구를 중심으로 노래를 부르는 전통적 방식을 내던져버린 Just Like Tom Thumb's Blues처럼 예술적이고  문학적인 노래로 가득찬 이 앨범은 어려운 얘기는 다 잊고 음악 자체로 즐길때 가장 좋다.


그의 문학적 비유를 이해하지 못해도 Tombstone Blues와 From A Buick 를 들으며 아드레날니의 분출을 즐겁게 받아들여도 아무 문제없다. 그게 바로 딜런이 로큰롤로 첫발을 디딘 이유일 테니까








#5 : 벨벳 언더그라운드/ < Velvet Underground & Nico, 1967> 

고딕의 탄생과 독립음악의 시조



1.Sunday Morning (Cale/Reed)                            

2.I'm Waiting For The Man (Reed)                          

3.Femme Fatale                                                       

4.Venus In Furs                                                       

5.Run Run Run                                                      

6.All Tomorrow's Parties                                        

7.Heroin                                                               

8.There She Goes Again                                         

9.I'll Be Your Mirror                                               

10.The Black Angel's Death Song (Cale/Reed)       

11.European Son (Cale/Morrison/Reed/Tucker)      



60년대 서부해안의 낙천주의가 빛이었다면 어둠에 있어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니코"에 대적한 이들은 없었다. 뉴욕한복판에서 고작 2천달러를 들여 8시간동안 단한번의 세션으로 녹음을 끝낸 것을 감안하면 노이즈로 가득한 로파이(Lo-Fi) 사운드는 당연하다


현 시점에서 보면 사실상 사이키델릭-프로그레시브 록,하드 록/헤비메탈로 이어지는 '정파'가 아닌 펑크-뉴웨이브-얼터너티브-모던록으로 이어지는 사파의 교주로 발을 걸치고 있으나, 발매당시에는, 섹스(Venus In Furs 대중음악 사상 최초로 SM을 다뤄 충격과 공포를 안긴 곡)와 마약('Heroin',' I'm Wating For The Men')에 대한  노골적인 표현때문에 뉴욕 라디오는 방송금지처분을 내렸고 평론가들은 이 앨범을 혐오했다. 그래서 당대에는 전혀 팔리지 않았다. 


그러나, 이 앨범은 산 사람은 모두 자신의 밴드를 결성했다. 조이 디비전과 토킹헤즈, 텔레비전 같은 뉴웨이브 그룹은 그들의 신랄한 미니멀리즘에서 많은 것을 배웟고, 루 리드의 냉소는 수많은 펑크 보컬리스트들에게 여감을 주었으며, 지저스 앤 메리 체인은 피드백이 난무하는 사운드와 검정 가죽 재킷과 검은 눈화장을 이어받았다.





#4 : John Coltrane/ < A Love Supreme·1965>

최초의 컨셉트 재즈 앨범의 동서양 끌어안기

1.Acknowledgement (Coltrane)

2.Resolution

3.Pursuance

4.Psalm  


색소폰의 대가 존 콜트레인과 그의 밴드 클래식 쿼텟(Classic Quartet), 피아니스트 McCoy Tyner,  베이스 연주자 Jimmy Garrison, 그리고 드럼 연주자 Elvin Jones는 12월 9일 녹음을 끝마쳤다. 아들이 태어나자 흑인차별이 만연한 현실에 대한 도피로써 종교적 귀의를 고해한다. 


이와같이 음악은 그와 같은 흑인들에게 유일한 탈출구였음이 분명하다. 그래서 흑인들이 유일하게

음악을 접할 수 있는 가스펠의 영향이 짙게 서려있다. 또한, 당시 유행하던 동양사상을 받아들인다.


당시까진 클래식에서나 목격됐던 뚜렷한 주제의식(컨셉)에 의거한 최초의 모던 재즈 앨범을 추구했다.

신에 대한 존경심을 한껏 들어내며, 인도와 아프리카 음악, 소울과 사이키델릭을 만난 하드밥이다.

결코 듣기 편한 음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앨범을 줄창 팔려나가는 스테디 셀러의 길을 걷는다.






#3 : 비틀즈/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6> 

공식적인 역사상 최고의 앨범

1.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Lennon, McCartney)   

2.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s                                             

3.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4.Getting Better                                                                           

5.Fixing A Hole                                                                              

6.She's Leaving Home                                                                 

7.Being For The Benefit Of Mr. Kite!                                             

8.Within You Without You (Harrison)                                              

9.When I'm Sixty-Four (Lennon, McCartney)                                 

10.Lovely Rita                                                                                

11.Good Morning Good Morning                                                  

12.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Reprise)                  

13.A Day In The Life                                                                     



제목과 동명의 밴드가 공연을 한다는 내용의 컨셉트 앨범 형식을 취했다. 앨범의 조타수인 폴 매카트니는“모든 앨범을 뛰어넘는 진정한 걸작음반을 만들겠다”는 야심을 드러냈다. 동양철학의 영향을 받은 Within You Without You, 변화무쌍한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의 마약의 암시까지 60년대 히피와 사이키델릭적 요소를 담아내며 존과 폴이 함께 만든A Day In The Life까지 모든 곡이 보석같다.


팝아트적 명성은 전설적인 앨범 커버로 한층 확고해졌다. 디자이너 피터 블레이크는 선물상자로 고안했지만 오려낸 사진들을 커버에 콜라주 하는 것으로 만족했다. (마지막에 예수와 히틀러, 간디의 얼굴은 제외했다.)


이 앨범은 전대미문의 충격을 남겼다. 유명한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는 앨범 수록곡 전체를 슈만의 작품과 견줄 정도였고,  보수적인 타임지는 "서구문명 역사에 남을 결정적 순간" 라고 평했다. 이런 과정은 오래전에 사라졌지만, 야심찬 시도와 멜로디가 영원히 서로를 휘감으며 돌고 있는 음악은 완벽한 팝으로 남았다.








#2 : 비치 보이스/ < Pet Sounds, 1966> 

아니 비틀즈가? 넘사벽 사운드로 응수한 윌슨의 천재성

1.Wouldn't It Be Nice (B. Wilson/Asher/Love)        

2.You Still Believe in Me(B. Wilson/Asher)             

3.That's Not Me                                                      

4.Don't Talk (Put Your Head on My Shoulder)        

5.I'm Waiting For The Day (B. Wilson/Love)           

6.Let's Go Away For Awhile (B. Wilson)                 

7.Sloop John B (Trad. arr. B. Wilson/Jardine)        

8.God Only Knows(B. Wilson/Asher)                       

9.I Know There's An Answer (B. Wilson/Sachen/Love)   

10.Here Today(B. Wilson/Asher)                          

11.I Just Wasn't Made For These Times                 

12.Pet Sounds (B. Wilson)                                   

13.Caroline, No(B. Wilson/Asher)                          



비틀즈에게 [Rubber Soul] 은 자신들이 막 사이키델릭으로 진입했음을 알렸지만, 비치보이스의 말썽 많은 천재 브라이언 윌슨에게는 큰 자극이 됐다. 1966년 두 달동안 광고업자이면서 유쾌한 후렴구를 만들어내는 전문가 토니 애셔와 함께 수록곡들을 만들었다. 앨범의 주조는 이전 음반들과는 극단적으로 달랐다.  단순한 태양과 서핑찬가의 시대는 끝나고 흥겹지만,고통스럽고 깊은 감정이 실린 복잡한 사운드가 들어섰다. 비치 보이스만의 절묘한 하모니만을 남겨두고, 다른 부분은 구조조정이 들어가서 기존 팬들을 당혹하게 했다.


필 스펙터가 창안한 녹음 기술인 '월 오브 사운드'를 적용해 더빙의 반복으로 사운드를 두껍게 했고, 오르간, 하프시코드, 플루트, 테레민과 같은 색다른 악기들의 연주를 집어넣어 여지껏 들어보지 못한 압도적인 입체감을 들려준다. 소속사 캐피톨 레코드는 돈 쳐들여서 안 팔리는 앨범 만들었다고 불평을 터트리자, 윌슨은 더 완벽한 팝앨범을 만들어야 겠다는 강박관념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재즈와 소울, 클래식 등 다양한 음악의 작법을 락의 형식으로 수용해서 만든  역사상 최초로 성공한 컨셉트 앨범은 전세계 음악인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겼다.


한편, 영국에서는 비틀스가 [Pet Sound]의 도전에 자극을 받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를 발표해 버린다.








#1 : 비틀즈 /  <Revolver, 1966>    

20세기의 바흐

1.Taxman(Harrison)                                                    

2.Eleanor Rigby (Lennon, McCartney)                         

3.I'm Only Sleeping                                                     

4.Love You To(Harrison)                                             

5.Here, There And Everywhere(Lennon, McCartney)   

6.Yellow Submarine                                                     

7.She Said She Said                                                    

8.Good Day Sunshine                                                 

9.And Your Bird Can Sing                                             

10.For No One                                                               

11.Doctor Robert                                                           

12.I Want To Tell You (Harrison)                                   

13.Got To Get You Into My Life(Lennon, McCartney)     

14.Tomorrow Never Knows                                          



일단 인기와 재능을 확보하자 비틀즈는 자신만만해졌다. 그들이 함부르크 시절부터 알고 지낸 클라우스 부어만이 만든 데셍과 콜라주를 섞은 신비로운 흑백 커버와 모호한 앨범 타이틀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 자신감은 나무랄데 하나없는 14곡의 수록곡에서도 느낄수 있다. 당시로서는 혁명적 (매카트니는 '사람들이 전에 들어본 것같다고 말하는 사운드를 연주하는 건 메스꺼운 일'이라고 선언했다.)이었던 이 음반은 이후 수십년동안 반향을 일으켰다. 


비틀즈 만의 예술성이 확립되었던 Revolver는 아이러니하게도 비틀즈에 분열이 생기기 시작한 기점으로 평가된다. 앨범을 발표하고 몇주후에 열린 투어때문에 입장료를 받는 공연은 종지부를 찍고 스튜디오에서 꿈쩍도 하지 않았다. 레논과 매카트니는 더이상 공동작곡을 하지 않았고, 해리슨의 앙심은 커져만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탁월하다. 유일하게 싱글 컷된 Yellow Submarine/Eleanor Rigby가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면에는 우리 모두보다 더 오래 살아남을 법한 어린이들의 동요가 실렸고, 다른 면에는 오늘날 들어도 전혀 팝송같지 않은 현악을 바탕으로 깐 비탄의 클래식이 실렸다.  한마디로 앨범과 싱글 모두 탁월하다.


https://brunch.co.kr/@dies-imperi/237  2010년대 영화 (최신판)

https://brunch.co.kr/@dies-imperi/49    00년대 영화

https://brunch.co.kr/@dies-imperi/48    90년대 영화

https://brunch.co.kr/@dies-imperi/40    80년대 영화

https://brunch.co.kr/@dies-imperi/39    70년대 영화

https://brunch.co.kr/@dies-imperi/30    60년대 영화

https://brunch.co.kr/@dies-imperi/29    50년대 영화

https://brunch.co.kr/@dies-imperi/28    40년대 이전 영화


https://brunch.co.kr/@dies-imperi/192 2010년대 음반 (최신판)

https://brunch.co.kr/@dies-imperi/36    00년대 음반

https://brunch.co.kr/@dies-imperi/47    90년대 음반

https://brunch.co.kr/@dies-imperi/35    80년대 음반

https://brunch.co.kr/@dies-imperi/34    70년대 음반

https://brunch.co.kr/@dies-imperi/33    60년대 음반


Copyright(C) All Rights Reserved By 輝·



매거진의 이전글 1970년대 명반(음반) BEST 10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