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 무료할 때 지구 한 바퀴 (10)
학살당하고 착취당한 아메리카 원주민들, 노예로 팔려 간 아프리카인들, 반인륜적 핵폭탄으로 여전히 고통받는 원폭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청중들은 눈물을 흘렸다. 그 감정은 심오하고 공감의 연대감을 자아냈다. 무대 위의 강연자는 그들의 목소리로 아픈 과거를 일깨웠고, 수많은 일본 승객들이 그 장면을 지켜보았다. 그리고 나는 그들을 지켜보았다.
나 또한 원자폭탄 투하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면서, 그 고통이 국경을 넘어 인간 대 인간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느꼈다. 그러다 스멀스멀 올라오는 궁금증 하나. 피스보트가 출항한 지 2달이나 되었는데, 일본인 승객이 가장 많은 배에서 왜 정작 일본 역사에 대해서는 이야기되고 있지 않은 걸까?
일본 땅에 폭탄이 떨어졌고, 피해자의 10%가 조선인이었다. 그럼에도 일본의 원폭 피해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일본의 고유한 경험으로만 다뤄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쟁과 고통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위해 세계일주를 하면서 원폭 피해자의 이야기를 전 세계에 알리는 것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30%가 넘는 승객들이 과거 일본에게 침략당해 고통받은 나라에서 왔는데, 우리 아시아 국가 간의 역사에 대해서는 왜 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는가.
그 질문은 내 마음속에 거대한 핑크코끼리를 남겼다. 피스보트의 화려한 행사 뒤에 숨어 있는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게 만드는 이 코끼리는, 누구도 거론하고 싶지 않은 주제인 듯했다. 하지만 일본 역사에 대한 진지하고 적극적인 성찰이 없다면, 과연 우리가 진정한 연대와 치유를 이룰 수 있을까? 적어도 피스보트 안에서는 말이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그들의 모습은 원폭 피해자들만의 슬픔에 집중하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복잡한 감정들이 나를 괴롭히는 동안, 나는 결심했다. 이제 이 핑크코끼리에 대해 이야기할 시간이다. 대화의 장에서 이 주제를 꼭 끌어내야겠다고 다짐했다. 우리나라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로. 우리의 이야기가, 우리의 아픔이 서로에게 닿기를 바랐다.
그러나 그런 결심과 동시에 두려움이 밀려왔다. 내 목소리가 과연 들릴 것인지, 또 이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 나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불안이 스쳤다. 혹여나 피스보트에서 쫓겨나면 어떡하지? 나랑 친하게 지내던 승객이나 동료가 나를 멀리하면 어쩌나. 일종의 책임감으로 우리의 이야기를 알리고자 의지를 확고히 했지만, 여전히 두려웠다. 하지만 이 여정에서 내가 감당해야 할 책임과 두려움 또한 나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그 성장에 희망을 걸어보았다. 우리의 아픔을 나누는 그 순간이 진정한 연대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믿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