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걷기의 재해석 : 사람이 수갑차면 왜 못 달릴까?


사람이 수갑을 차면 왜 달리지 못할 까?


팔을 못 움직여서 그렇다. 

그렇다면 사람은 왜 두 팔을 움직여야 잘 걷고 뛸 수 있을까?

그리고 왜 오른 발을 내디딜 때 왼 팔을 움직여야 할까?

그 것은 몸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걸을 때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면 발의 근육과 신경이 몸의 반대 쪽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버티는 힘을 만드는 엉덩이도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엉덩이를 중심으로 발의 내미는 힘을 발생시키면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체를 비틀게 된다.  따라서 걸을 때 오른 발을 내밀면 엉덩이와 상체는 왼쪽으로 비틀려야 한다. 그리고 척추의 맨 윗부분에 달려있는 머리 역시 왼쪽으로 비틀리게 된다. 이는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균형추의 움직임이 커서 다시 균형잡는 힘이 많이 사용되어지데 된다.


그런데 등근육. 신경과 연결된 팔을 흔들면서 상체가 비틀리는 힘을 소모시킨다. 팔을 고정하고 걸으면 고정하지 않았을 때보다 약 63%의 에너지가 더 소모된다. 팔을 앞뒤로 흔들면 63%의 에너지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63%의 에너지를 더 사용할 의향이 있어도 왜 빨리 달리지 못할까? 범죄자가 수갑을 찼을 때 쫒아오는 형사에게 도망가기 위하여 전력을 다해 질주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갑을 찬 범죄자는 뒤우뚱거리며 빨리 달리지 못한다.


이는 김세연의 ksns에 의하면 몸 전체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 마음을 빨리 달리며 인체의 안전에 문제가 생긴다. 넘어지거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갈 수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무의식 신경'이 빨리 달리지 못하도록  제동을 건다고 한다.  다시 수갑을 풀었을 때 무의식 신경은 다리 근육과 상체가 정상적으로 움직이도록 브레이크를 풀어준다.


인체의 신경과 근육은 비록 걷고 달리는 동안 고정된 중심축없이 여러 개의 축을 변화시키면서 달린다. 하지만  끊임없이 균형을 유지하는 역학적인 구조를 갖고 있는 인체 시스템 덕분에 매우 불안정한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해준다. 그리고 그 균형을 가장 기본은 발, 그 중에서도 발가락에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걷기의 재해석 : 보행의 길항작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