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4차 산업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투자하는 아재 Jan 11. 2023

국내 MCU 1위 "어보브 반도체" 분석하기

4차 산업의 실질적인 수혜주 될 것인가?

오늘은 국내 MCU의 최강자 "어보브 반도체"에 대하여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 공부의 기본인 사업 보고서를 중심으로 이야기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 주담과의 통화 내용, 관련 특허 순으로 파헤쳐 본 후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MCU는 무얼까요?

- Micro Controller Unit의 약자로 특정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MCU는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채용돼 전자제품의 두뇌역할을 하는 핵심칩으로 단순 시간예약에서부터 특수한 기능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다양한 특성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하는 비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이다.

특히 반도체칩 내에 특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식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MCU는 롬(ROM)과 램(RAM) 회로까지 내장, 사실상 초소형컴퓨터의 역할을 하고 있어 '원칩(One Chip) 컴퓨터' 또는 '마이콤'으로 불리기도 한다.

불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차량용 MCU 쇼티지(Shortage, 부족) 문제로 차량 가격이 폭등을 했던 것을 기억할 것입니다.(지금은 반대로 재고가 쌓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MCU는 가전, 각종 센스, 차량, IOT, Moblie(핸드폰)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우리 생활과 밀접한 반도체라 할 수 있습니다.


4차 산업의 개화기 문턱인 현재 앞으로 MCU의 활용도는 매우 높아질 것은 불 보듯 뻔해 보입니다.


<<그럼 '어보브 반도체'의 22년 3분기 보고서>>를 바탕으로 분석하겠습니다


09년 6월 5일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으로 [최 원 회장님]이 대주주이십니다. 자회사 지분(그린칩스홀딩스)까지 합치면 실질적인 대주주 지분은 21.15%입니다.

MCU관련 아날로그 IP의 자체 설계 기술을 보유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매출 및 영업이익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이대로의 추세라면 22년 말 기준 매출 2,000억 달성은 무난해 보입니다.

어보브 반도체는 팹리스(Fabless)입니다. 즉, 제조는 파운드리 및 후공정 회사에 외주를 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Home Appliance는 가전을 의미합니다.

그럼 영위하는 사업 분야 및 미래 성장성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이야기하겠습니다.

RF 커넥티비티는 고주파 연결장치, High Frequency는 고주파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입니다. 또한 고정밀 센서 관련 아날로그 전단(회로나 시스템에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는 단자)을 지속 개발하여 다양한 라인업을 전개할 계획이라 합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는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TinyML은 초소형 머신러닝을 의미합니다. 아래의 DSP기술은 Digital Signal Process의 약자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를 의미합니다.

위에 보듯이 매출 비중은 가전의 비율이 6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모바일의 매출 비중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뒤에 주담통화에서 중국 기업의 저가용 부품으로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진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여기서, Gartner은 미국 코네티컷주에 위치한 IT리서치 기업입니다. Revenue는 수익을 의미합니다.

Midea는 중국의 가전업체, Universal Electronics Inc는 홈 엔터테인먼트 및 스마트홈 기기용 범용 무선 제어 설루션을 공급하는 세계적인 미국 기업입니다. Lenovo는 글로벌 점유율 1위의 중국 PC업체입니다.

부채 비율이 높지 않아 고금리 시기에 이자 부담이 적고 주당 순이익(EPS)과 ROE(자기자본이익률)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전기차는 충천 속도가 중요한 포인트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발맞추어 급속충전 관련 MCU 개발에 성공하여 AEC-Q100을 받았고, 자동차 제어용 MCU는 개발 중인 것으로 달려졌습니다. 이 처럼 미래의 먹거리인 자율주행 전기차 관련 MCU사업에도 활발하게 뛰어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기차 관련 시스템 MCU에선 글로벌 탑 메이커들만이 전기차 메이커들의 선택을 받고 있는 실정이라 그 문틈은 굉장히 좁아 보이기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것 같은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매체들의 보도는 필터링을 해야 할 듯해 보입니다.

참조 클릭-->  zdnet.co.kr

"윈팩"은  2002년 4월 설립되어 반도체 외주 생산 서비스 및 반도체 제조, 생산업체로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 및 테스트 외주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현재 메모리 반도체에서 시스템 반도체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패키징부터 테스트까지 일괄 수주하는 기반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기판처리장치 특허 취득 등으로 기술경쟁력을 강화 중으로 알려졌습니다.
매출의 60%가량이 SK하이닉스 향인 것이 특징입니다.

작년 6월 중 어보브는 윈팩을 240억(유상증자 150억)을 투자하여 25.99%의 대주주 지분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윈팩을 M&A 한 것이 어보브 반도체에 어떤 시너지가 날 것인지 기대가 됩니다.

윈팩은 중국발 RISK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고객사들의 요청에 맞물려서 인수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어보브 반도체의 동향을 보면 IP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에 투자(지분)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토실리콘, 화인칩스, 다빈칩스, 등)

이는 설계 IP확보를 통한 시장의 다양한 요구에 빠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토실리콘(어보브 지분율 44.8%)은 텔레칩스와 공동 설립한 회사입니다. 오토실리콘은 최근 SK온과  BMS칩을 공동 개발하였습니다.

*BMS는 Battery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말합니다. 전기 자동차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의 상태, 즉 셀의 온도, 전압, 전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안정성을 감독합니다. 이렇게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배터리 수명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어 전기차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BMS는 CAN 버스, LVDS와 같은 물리적인 통신 라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무거운 와이어링과 설치 보수에 대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예기치 않은 사고 발생 시 배터리 팩을 전체 교체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 솔루션을 적용한 wBMS(Wireless BMS) 솔루션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 wBMS는 위의 단점들을 극복하여 전기차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중요한 Key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오토실리콘 확인 필요)

[주담 통화] / 이 본부장님
1. 22년 말 기준 매출이 2,000억 이상 될 듯합니다. 어느 정도 예상하시나요?
- 아직 결산 전이라 말씀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사실 전반기 까지는 매우 좋았으나 3분기부터 경기 침체 및 매출 둔화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2. 전기차 급속 충전 관련 기술을 확보하여 AEC-Q100인증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사실입니까?  언제쯤 매출이  발생할 것 같습니까?
-사실상 전기차 부분은 메이커 기업들이 글로벌 1,2위 만을 선택하고 있는 시점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어 언제 매출이 발생할지는 모르겠고, 현재는 가전 쪽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 가전 쪽 MCU의 매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반면 핸드폰 쪽은 매년 둔화되는데 이에 대해 이야기해 주실 수 있을까요?
- 핸드폰 관련해서는 중국기업의 저가 물량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당사 또한 어느 정도의 마진을 가져가야 하기에 자연스럽게 매출 비중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4. 전기차 시스템 제어 관련 MCU기술 개발 중으로 알려졌는데 진행 사항은 어떻습니까?
-현재로는 가전이 매출의 중심으로 생각하시면 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 중에 있습니다.

5. Smart MCU 관련하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산학협력 중인 정부 과제는 무엇입니까?
- 현재 7~8개 대학과 AI-MCU 관련요소 부분들에 대해서 산업협력 중에 있습니다. 이것의 의미는 관련 기술 확보도 있지만, 궁극적으론 우수한 설계인력 확보에 있다고 하겠습니다. 아시겠지만, 업계에서 설계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6. 재무 현황을 보면 재고자산이 400억 정도 잡혀 있던데 무엇을 의미하는 것입니까?
앞에서 말씀드렸다시피 22년 전반기까지는 실적이 매우 좋았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핸드폰, 가전 등의 수요 둔화로 재고 자산이 쌓였습니다. (이미 제조사에도 어느 정도의 물량 보유 중) 하지만, MCU라는 것이 워낙 다양한 곳에 소비되고 있는 품목이라 중/장기적으로는 큰 문제가 될 것 같진 않습니다.

7. 3분기 요약재무표를 보면 이익잉여금(결손금)이 3.9억 정도 있던데 왜 생긴 건가요?
- 잘못된 오기로 확인되었습니다. 차후 정정 공시 내도록 하겠습니다.(3차례에 걸친 통화 확인)

8. BMS칩은 SK온과 협력하여 자회사 오토 실리콘에서 개발에 성공한 것을 알려졌습니다. 전기차에 있어 최근 wBMS솔루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관련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가요?
- 'BMS칩은 SK온'에서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 안 양산하여 제품은 24년 정도 나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wBMS 솔루션 관련은 저는 자세히 모르겠고 자회사 오토실리콘에 문의하시는 것이 맞을 듯싶습니다.

9. 가산세 4.32억 추징액은 언제 납부할 계획인가요?
- 부가세는 조정 신청을 하여 이미 정리가 되어있는 상황이고 추징금 또한 부가세와 관련되어 조정신청을 해서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23년 전반기 내에 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미 손실반영(비용처리)을 했기 때문에 재무 반영은 완료한 상황입니다.

10. 올해  당기순이익이 늘 것으로 생각되어 배당 기대감이 있는데 배당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후반기 매출 둔화로 배당의 큰 상승은 없을 것 같고 전년대비 비슷한 정도라 생각됩니다.

11. 윈팩 인수(M&A)에 따른 어떠한 시너지와 배경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 사실 윈팩은 메모리(SK하이닉스 향) 업체이지만, 후공정 관련(OSAT) 주요 고객사들의 중국 리스크(미중갈등, 봉쇄 정책)등에 대한 해결책을 도모하기 위하여 인수를 결정했습니다.

12. 오토실리콘은 텔레칩스 공동으로 설립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관련 배경에 대해서 말씀해 주실 수 있을 까요?
-사실 텔레칩스는 자동차 인포메이션을 주로 영위하는 회사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기차 관련 성장을 위해 진행 중이라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최근 특허 동향 및 주요 특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복조"란 변조되어 있는 반송파 가운데서 본디 신호를 추출 것을 말합니다.

다음으로 최근 주가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주가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

3분기 기준  PER은 6.5, EPS는 1,311원으로 저평가 구간이라고 생각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굉장히 매력적인 좋은 가격으로 생각됩니다.
어보브 반도체의 MCU 반도체 사업은 4차 산업의 근간이 되고 우리 실생활에 밀접한 연관이 되는 성장성이 기대되는 기업이라 생각됩니다.

최근 벌크업(M&A, 연구비 확대) 중으로 수익성 개선에는 아쉬움이 있고 전기차에 대한 모멘텀이 아직은 부족해 보이지만, 벌크업 후가 기대되는 기업이라 생각됩니다.

시중에 떠도는 전기차에 관련 기대감은 아직은 이른 꿈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AI MCU관련 4차 산업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임에는 틀림없어 보입니다.

이 글은 저의 유튜브 구독자 "너튜브"님의 요청에 의해 준비했습니다. 준비하면서 주식 투자에 대한 너튜브님의 감각을 배울 수 있어 감사한 마음으로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좋은 종목 공부할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https://youtube.com//@investment_man--> 클릭

모든 구독자님들의 성투를 기원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Metaverse세계의 제왕은 누구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