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샨티 Jul 23. 2020

숲세권 내 집을 마련했어요

생애 첫 내 집 마련 스토리

                                                                                                                                                                                           

거실에서 보이는 숲


오늘 아침의 전경입니다. 글을 쓰는 지금 새소리가 한창입니다.


드디어, 드디어, 이사를 했습니다.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집을 찾아보고, 경제와 부동산 관련 유튜브와 책 읽으며 공부도 시작하고, 남편과 함께 우연히 둘러본 집이 마음에 들어서 계약하고, 대출 정보도 리서치해서 낮은 이율로 신청하고, 이사 준비 슬슬 하고, 마무리 자금도 정리해놓고 난 이후의 일입니다.


소소한 소비를 추구했던 제가 나름 대범하게 질렀네요.

대단원의 1막이 내리고, 2막이 시작되었습니다!

                                                                                                                                                                                          

생애 첫 내 집


                                                                                                                                     

과거 철밥통 공교육 교사직도 사표 쓰고 유기농과 인문학을 배우기 위해 시골로 귀농했던 저였기에, 당연히  돈을 많이 모으진 못했지요.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마흔 가까이 되어서야 경제적 자유에 대해 눈뜨기 시작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답게 살려면 적정 규모의 돈은 필요하구나. 삶의 자유를 위해 경제적 부를 길러야겠다'


자유롭고 생태적인 삶을 위해 한 몸 내던져 정신적인 것들을 축적했으니, 그걸 토대로 물질적인 부분의 균형을 맞추면 되겠다는 관점까지 자연스럽게 이르렀지요.             


                               


                                                                                                                                                                                                                                                                       

*우리 집 종잣돈의 출처
= 진짜 손톱만큼 있었던 자금 + 작년 한 해 내 월급 전액 + 올 상반기 내 월급 전액 와 남편 급여 일부       


제가 사는 경기도 외곽의 아파트를 매매할 때 필요한 돈 중에서, 국가보조 저리 대출을 최대한으로 받았을 때 필요한 최소한의 우리 자금이 정말 딱!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100% 맞춰졌습니다!ㅎㅎ


돈공부를 하며 경제지식을 쬐끔 쌓으니, 제가 받은 대출과 이자는 정말 저렴해서 저희 소득에 무리 없이 갚아나갈 수 있겠더라고요. (이젠 '레버리지'라는 개념도 막 아는 뇨자!ㅋ)


대출 상환과 이후 움직임에 중장기 계획도 대략적으로 세워놓았습니다.   

차근차근 나아가면 될 것 같습니다.


                                            


                                                                                                                                                                                                                                                                   

역세권보다 저는 저의 첫 집 <숲세권>이  더 마음이 드는 초록초록한 사람이네요.

숲이 바로 옆에 있어 너무 좋아요.

집에서 10분만 걸어가면 한강 산책로와 자전거길도 있어 슬쩍 <강세권>이기도 하지요.


그전에 살던 전셋집, '초록 마당의 쉴라'(삐삐의 '빌라빌라콜라'처럼 붙였던 옛 집의 애칭)에서 4년 반 동안 저희도 휴식하고 저희 아이들도 실컷 뛰어놀며 자알~ 살았던 것도 감사하고, 새로운 집으로 이사 올 수 있도록 직장을 가져 돈을 벌 수 있었던 것, 대출받는 데 무리 없이 신용등급 1등급이었던 것도, 특별한 이벤트 없이 매매 과정 잘 진행되고 이사도 척척 이뤄진 것도, 이렇게 자연을 누릴 수 있음에도 고마운 아침입니다.


이사를 하루 앞두고 조용한 카페 가서 따뜻한 캐모마일 한잔 마시며 진심의 마음으로 감사일기를 적었어요



이사 온 우리 집의 애칭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숲 속 마을'

'초록집'

'솔숲이네'

'쉴라 시즌2'

...


어린 꼬맹이 녀석들은 '공주집'로 짓겠다, '불사조'로 하겠다 신나게 의견을 냅니다.^^


새로운 공간에서 정 쌓아가며 즐겁게 살아가 보겠습니다.


출발!!!




                                              















































































                                              






















매거진의 이전글 마당있는 집에서 살고 싶은 분들께 던지는 질문 3가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