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승희 Feb 04. 2021

황태 미역국 > 미역 떡국

어느 화가의 사는 재미 / 생존 밥상







전에는
아침에 주로 미역국을 데워 먹었다.
질리지 않았다.
그다음
얼갈이 해장국도 질리지 않았다.
미역국이나 얼갈이 해장국에
밥을 말아먹으면
그렇게 맛있을 수가 없다.

미역국 데워서 밥 말아 주로 먹지만
밥이 떨어져 다시 하기 난감할 때는
냉장고 구석에 비상용 떡국떡이 있으니
걱정할 건 없다.
미역 국밥이 미역 떡국이 될 뿐이다.



미역국은 이상하게 조산원이나
찜질방에서 먹을 때 맛있었다.
입맛이 예민한 친구에게 그 얘기를 하니
명쾌한 답을 준다.
많이 오래 끓여서 그렇다고.

일리가 있는 말이다.
다시마도 며칠을 고아야 
안에서 다시마 진액이 우러나온다는 
것은 어디선가 접해서 알고 있었다.
미역도 마찬가지인가 보다.

오래 끓인 미역은 부드럽고
국물은 그윽하다.
게다가 영양도 풍부하다.
더욱이 질리지도 않는다.
그래서 산모들을
산 후, 한 달을 산후조리식으로
먹게 했나 보다.



그동안 각종 김치 담그랴
만두 만드는 거 익히랴
냉면 연구하랴 
젓갈 담그랴 정신이 빠져 있어서
잊고 지낸 미역국을 오랜만에 끓여 본다.
한 번 해놓을 때 오래 끓여야 되니
들통에 한 솥 해놓을 필요가 있다.
국물이 부드럽고도 뽀얗게 되려면
쌀뜨물로 해줘야 되겠지.

먹을 때마다 과정이 필요하다,
작은 냄비에 기름에 다진 마늘을 먼저 볶았다.
그리고
강된장이나 짜장을 파 기름에 볶듯이
까나리 액젓을 한 스푼 넣어 볶아주었다.
이 과정은 원인을 모르겠지만
맛이 창출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어서
끓여 놓은 황태와 미역을 먹을 만큼 덜어서
넣었다.
간은 소금으로 조심스레 했다.

입맛에 따라 걸쭉하게 먹으려면 
들깨가루를 넣으면 조합이 맞는다.

남은 미역국을 다시 데워 먹을 때
한소끔 끓으면 불을 끄고
달걀을 깨 넣어 휘휘 저으면
국이 걸쭉하면서도 고상해진다.
먹기 직전에 후춧가루만 투하하면
칼칼한 완성감이 온다.













작가의 이전글 함경도 코다리 가자미식해 3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