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unice Oct 13. 2024

K문학의 힘

요즘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전국이 떠들썩하다. 

모교인 연세대에서는 한강 작가에게 명예박사 학위 수여 및 교수 제안, 문학관 건립 등을 추진하고 있고 서점가에서는 한강 작가의 도서가 초유의 품절 사태를 겪고 있다고 한다. 한강 작가가 과거 인터뷰에서 인상 깊게 들었다고 했던 악동뮤지션의 노래는 입소문을 타고 음원차트에서 역주행을 하고 있다. 또 한 언론사 기자는 관련 소식을 보도하며 헤드라인으로 "이제 문송합니다 라는 말 금지"라고 해서 눈길을 끌었다. 사회 전체가 정말 다양한 반응으로 우리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대한 놀람과 축하를 전하고 있다.




나는 지금까지 노벨상은 우리나라와는 다소 거리가 먼 일인 것 같았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때는 대통령이라는 위치에서 주목받을 수 있었던 혜택이 있었다고 생각했기에 그냥 일반적인 소식으로만 흘렸던 것 같다. 

그러나 이번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다가오는 느낌이 달랐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도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었던 시인, 작가들이 있었다. 모두가 연세가 지긋하신 남성들이었다. 그런데 그리 나이가 많지 않은, 나와 비슷한 세대를 살아온 우리나라의 여성 작가가 문학분야에서 세계 1등을 거머쥔 것이다. 10월 10일 저녁 우연히 TV에서 뉴스로 처음 소식을 접하였는데 온몸에 전율이 느껴졌다. 


노벨문학상을 선정한 스웨덴 한림원 (Swedish Academy)에서는 『한강은 자신의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에 맞서고, 각 작품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다』며 『그녀는 신체와 영혼,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연결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시적이고 실험적인 스타일로 현대 산문의 혁신가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심사위원들의 심사평의 뜻도 나에게는 어렵다. 독자 입장에서는 그냥 쉽게 읽히는 소설인데 계획된 플롯 구성과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통한 작가의 생각에 대한 암시, 전파 등 행간의 다소 전략적인 구조를 볼 수 있어야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1980년대 광주의 이야기를 다룬 '소년이 온다'와 제주 4.3 항쟁을 다룬 '작별하지 않는다'의 작품이 노벨상 선정에 주효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작가에 대해 검색해 보니 역시나 '전라도 광주' 출신이었다.


서울에서 나고 자랐던 나는 90년대 초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5.18 광주항쟁에 대해 잘 몰랐었다. 학교에서도 근 현대사에 대해서 제대로 배울 기회가 없었고 사실 경상도 사투리를 쓰는 선생님들은 많이 뵈었는데 전라도 출신이라는 분은 만난 적이 없어서 광주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볼 기회가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대학에 입학하고 교내 학보사에서 일을 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취재를 위해 학생운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집회나 시위에 나가고 한총련(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출범식으로 광주에 취재를 가게 되면서 군부독재 하에서의 일들과 광주에서 있었던 일들을 알게 되며 역사를 다시 배우는 입장이었다. 

당시 광주에서 온 친구 하나가 '어떻게 너네들은 이런 걸 모를 수가 있냐'며 서울에서 나고 자란 나를 포함한 몇 명의 아이들에게 울분을 토했던 일이 기억난다. 다행히 요즘은 TV프로그램이나 영화에서 다시 역사를 재조명해서 종종 이야기해 주기 때문에 지금의 청소년들은 그래도 제대로 알면서 커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대학생 때의 경험을 이후로 선입견일지는 몰라도 전라도 지역 특히 광주 사람들은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이 남다르게 비판적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얼마 전 우리 부서 사람들에게 11월 말쯤 다들 여유가 좀 생기면 한 해를 마무리하며 책을 읽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티타임을 갖자고 제안했었다. 그리고 어떤 책이 좋을지 각자 추천을 해 달라고 했다. 출근해서 사람들에게 한강 작가의 작품을 함께 읽어보자고 제안해 볼 생각이다. 세계에서 인정해 준 'K문학'에 대해 우리가 경험하고 생각해 보며 이해하는 시간이 한 번쯤은 필요할 것 같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