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위 Jun 08. 2023

어려운 걸 쉽게 써야지, 그게 시야.

서정홍의 '내가 가장 착해질 때'에서

시인이란


서정홍


시인이란 

쉬운 걸 어렵게 쓰는 사람이 아니라

어려운 걸

쉽게 쓰는 사람이다.



책장에 꽂혀 있던 아주 오래된 시집 한 권을 무심코 꺼내 들었다. 넘기다 보니 제목부터 찌릿하면서 눈에 밟히는 시 한 편이 있었다. '시인이란 어려운 걸 쉽게 쓰는 사람이다.' 그래, 그래서 내가 시를 못 쓰는 거다. 마음은 늘 어렵기 마련이다. 이렇게도 복잡한 마음을 밖으로 꺼내어 쉽게 펼쳐 보여주어야 하는 게 시이다. 그런데 나는 마음을 제대로 꺼내기도 전에 언어만 가지고 말장난 같은 기교를 부리려 한다. 그러니 괜스레 어려워진다. 난해한 시가 된다는 게 아니라 기괴하고 알 수 없는 무언가가 되어버린다는 뜻이다. 어려운 걸 어렵게 쓰는 것도 능력이다. 어려운 걸 쉽게 쓰는 것은 그보다 한 수 위다. 그런데 나는 쉬운 것도 어렵게 쓰는 사람인 것만 같다. 나의 시는 늘 나란 존재의 정중앙에서 나오지 못하고, 중심에서 비껴간 변두리 지점에서 갑작스럽게 밖으로 튀어나오곤 한다. 튀어나온 언어들은 눈앞을 굴러다니며 나를 보고 비웃는다. 


처음 시 앞에서 커다란 벽을 느낀 것은 대학 때였다. 시를 써야만 하는 시간이었다. 나는 뱀처럼 꿈틀거리는 날것 그대로의 마음을 거르지 않고 토해냈다. 그것이 추하다거나 아름답다거나 하는 계산도 하지 못했다. 결과물은 참혹했다. 상처로 뒤범벅된 시는 나를 위로할지언정 그 누구의 공감도 얻을 수 없었다. 수치스러웠다. 다른 이들의 시를 보며 절망했다. 가벼운 깃털처럼 유유히 땅으로 내려앉으면서도 묵직하게 땅을 울리는 무게감이 있었다. 가볍되 무거운 시의 무게 중심, 그 절정의 순간을 나로서는 도저히 찾아낼 수가 없었다. 좌절했다. 하지만 그때 자존심 따위에 나를 내던지지는 말았어야 했다. 더 묵묵히 썼더라면 지금쯤 달라질지도 몰랐을 것을. 나는 성급하게도 나의 재능 없음에 너무 빨리 무릎을 꿇었다. 


그래서일까. 여전히 나는 어려운 걸 쉽게 쓰는 사람이 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자꾸만 시를 쓰는 이유는 우습게도 안 쓸 수가 없기 때문이다. 나는 시집을 내려는 것도 등단 시인이 되려는 것도 아니다. 된다면야 좋겠지만 그런 거창한 목표를 세우지는 않았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시를 쓴다. 시를 매일 쓰겠다고 다짐한 사람도 아니다. 의무감을 가지고 쓰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시를 쓴다. 어떤 날은 도무지 시 밖에는 쓸 수 없으며 시를 쓰지 않고는 못 배기겠기 때문이다.


며칠 동안 말문이 콱 막힌 듯했다. 그럴 때면 머릿속에 하얀 안개가 가득 끼어서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뭉뚱 그러져 뭉개진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 나도 모르게 안갯속에서 띄엄띄엄 더듬더듬 말들이 튀어나온다. 그 말은 문장이 아니라 단어이다. 그리고 그 단어를 이으면 시가 되었다. 아니 시 비슷한 게 되었다는 말이다. 그런데 쓰고 나면 참으로 쉬운 걸 어렵게만 쓴 것 같이 느껴진다. 또다시 자괴감이 밀려온다. 언젠가 나도 어려운 걸 쉽게 쓰는 사람이 되기는 할 수 있을까? 시인은 안 되어도 좋으니 그런 능력이라도 좀 생겼으면 좋겠다. 


출처  Pixabay



아름다운 시절 4

고무신


서정홍


벌써 며칠 전부터

바닥이 닳은 고무신에서 물이 올라왔다.

가난한 어머니는

내가 말하지 않아도 잘 알고 계셨다.


"정홍아, 고무신이 다 닳았구나."

"예, 어머니. 고무신 한 켤레 사야겠어요."

"바닥을 보니 조금 더 신어도 되겠는데....."

"비 오는 날이면 물이 자꾸 들어와서

신을 수가 없어요."

"옆집에 사는 순재 말 들어 보니

고무신에 물이 자꾸 들어오면,

들어오는 반대쪽에 구멍을 하나 내면

물이 잘 빠져나간다더구나."

"예?"


나는 어머니 말씀대로

고무신에 구멍을 냈다.

그리고 긴 여름이 지나갔다.

그리고 사십 년이 후딱 지나갔다.



이 시를 읽는 순간 맨 처음으로 밀려온 감정은 질투심이었다. '어려운 걸 참 쉽게도 잘 썼다.'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기 때문이다. 나는 이 시를 읽는 몇십 초의 시간 동안 시인의 가난한 어린 시절을, 지루한 장마가 계속되던 그 해 긴 여름을, 빠르게 흘러버린 사십 년의 세월을 마치 함께 살아내기라도 한 것처럼 가슴 한쪽이 묵직해져 왔다. 물이 한쪽 구멍으로 들어왔다 한쪽 구멍으로 나가는 고무신, 장마철 내내 발이 젖어 있어야만 하는 구멍 난 고무신, 더 이상 신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할 만큼 닳고 닳은 고무신. 그 가난의 절정에서 나는 왜 아이러니하게도 마음이 이리 따듯해지는 건지. 이 시의 제목처럼 참으로 아름다운 시절의 이야기이기 때문일 것이다.


시인도 옆집 순재도 다 같이 가난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살던 시절이었다. 물이 들어차는 구멍 난 고무신에 구멍 하나를 더 내니 물이 잘 빠지더라는 이야기는 어찌 보면 눈물겨운 가난과의 사투일 수도 있다. 하지만 모두들 고만고만한 처지에서 비슷하게 살다 보니 서로의 가난에 대하여 스스럼이 없다. 옆집 순재도 어머니도 구멍 난 고무신을 감출 필요가 없는 것이다. 가난이 눈곱만큼도 수치나 창피라는 단어와 연관 지어지지 않던 정말로 아름다운 시절이 아닌가. 물론 제대로 된 신 하나 없는 극도의 가난이 객관적으로는 아름답지 않더라도 말이다. 


출처  Pixabay



이 두 시가 담겨 있는 시집의 제목은 '내가 가장 착해질 때'이다.   오랫동안 책장에서 묵혀온 묵은지 같은 시집 속에서 나는 잘 익은 시들을 꺼내어 맛있게 먹었다. 먹다 보니 '어려운 걸 쉽게 좀 쓰라는' 매운 가르침이 나를 조금은 변화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생긴다. 많은 시를 먹고 시의 영양분을 내 몸에 축적하는 것만으로도 그 가능성은 점점 더 커지리라.       


왠지 요 며칠 머릿속을 가득 채웠던 안개가 조금은 걷히는 것만 같다

가볍되 무거운 삶의 무게 중심, 절정의 순간! 

삶도 시도 그 순간을 찾아가는 설레는 여정일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에겐 하늘이 있었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