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산들산들 Sep 21. 2020

오랜만의 연락을 ‘읽씹’ 한 이유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되고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될까?

[이미지 출처: unsplash@gilleslambert]


30대 후반이 되면서 주변 사람들과 연락의 빈도가 확 줄었다. 20대에는 축구선수 호날두가 해트트릭 했다는 시답잖은 일로도 카톡을 주고받던 나와 친구들은 이제 특별한 일이 있어야 연락을 주고받는 사이가 되었다. 그리고 이 특별한 일이란 건 결국 좋은 일과 나쁜 일 두 가지로 나눠진다.


신기하게 나에게 나쁜 일이 있을 때만 연락하는 지인이 있다. 분명 승진이나 내 좋은 소식도 전해 들었을 텐데 그때는 연락이 없다가 나쁜 일이 있을 때만 연락을 해서 본인이 궁금한 내용을 물어보는 상황이 반복되었다. 처음 한 두 번은 우연이라고 생각했지만 여러 차례 반복되자 확신으로 바뀌었다.


연락의 의미


코로나 19로 인해 회사 사정이 점점 안 좋아졌고, 얼마 전 주 1회 무급휴직을 하기로 결정이 되었다. 무급휴직에 대한 기사가 났고 기사를 통해 이 소식을 들은 지인들이 연락을 해왔다. 내 생활과 직결된 아주 예민한 문제였지만 그 사람들에게 그런 건 별로 중요하지 않아 보였다. 그들은 친절하게 뉴스 기사까지 캡처해서 보내면서 “헐 대박! 이제 월급 못 받는 거예요?" 라며 카톡을 보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나에 대한 배려는 전혀 없었고 그저 본인들의 호기심을 채우기 위한 연락으로 보였다. 특히나 OB (기존에 이 회사에 다니다가 퇴사한 사람)들이 많이 연락을 해왔다. 아마도 안 좋은 회사 사정을 보고 '그래 내가 퇴사하길 잘했지.'라고 본인의 선택이 옳았음을 확인받으려는 것 같았다.


정말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될까?


적어도 내겐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되고,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된다.'는 말은 적용되지 않았다. 그들의 연락의 목적은 나를 위로하기 위함이 아니었기 때문에 내 슬픔 역시 전혀 줄어들지 않았다.


나를 진정으로 아끼고 생각해 주는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중요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나의 슬픔은 그저 가십거리에 불과했다. 결국 나는 몇몇 지인들의 연락에 '읽씹'을 했다. 일일이 대처하기도 귀찮았고 그 사람들과 말다툼을 벌이며 감정을 소모하기도 싫었다.


아무런 회신이 없는 숫자 1이 사라진 카톡을 보고 그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나를 쿨하지 못한 사람이거나 연락을 씹는 예의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을까 아니면 본인의 행동이 무례하다고 늦게나마 깨달았을까? 부디 후자이길 바라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