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누군가에게 소망이고 희망이니
개구리가 없어졌다. 양동이에 넣어두었는데 감쪽같이 사라졌다. 아들이 뒷산에 갔다가 개구리를 데려와 거실에 들여놓으려는 것을 내가 손사래 치자 현관에 두었다. 양동이 반쯤 물을 채우고 비닐봉지에서 개구리를 꺼내 담더니, 밖으로 나올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 책을 덮고도 모자라 신발 한 짝까지 올려놓았다.
그런데 자고 일어나 보니 개구리가 없어진 것이다. 공기가 없으면 죽을 거라 여긴 아들이 손톱만큼 구멍을 열어두긴 했다. 그 곳으로 나온다는 건 불가능해 보였다. 온 집을 이 잡듯 들쑤셔 찾았다. 신발 속에 들어갔는지, 소파 밑에 들어갔는지 모를 일이었다. 나는 식구들을 들들 볶으며 찾으라고 소리를 질렀다. 어딘가에서 툭 튀어 나오거나 방 안에 죽어있을 거라 생각하니 한시라도 빨리 행방을 알고 싶었다.
주말 아침부터 한 바탕 개구리 소탕 작전을 폈다. 구석구석 한참을 찾았다. 온 식구가 기운 없어 더는 못 찾겠다며 주저앉았다. 나도 지칠 대로 지쳤다. 빨래나 널어야지, 베란다로 가서 햇볕 잘 받을 수 있게 탁탁 펴 널었다. 간만에 베란다 물청소도 해야지, 배수구 옆에 세워둔 빗자루를 들었다.
순간 배수구 안에 까맣고 동그란 것이 보였다. 화분에 물주다가 잔돌이 몇 개 빠져 배수구를 막았거니 했다. 손으로 꺼내려다 흠칫 물러섰다. 그 속에 뭔가 움직였다. 나는 두서너 발자국 뒤로 더 물러서서 작은 구멍을 유심히 살폈다. 개구리가 쑤욱 튀어 나왔다.
드디어 찾았다. 그 작은 구멍에 숨어 있었다니 믿어지지 않았다. 뼈가 분명히 있을 텐데 작은 구멍에서 길쭉한 고무풍선처럼 몸통을 빼낸 것이 마술 같았다. 저렇게 좁은 틈을 들어갈 수 있으니 양동이쯤이야 쉽게 나올 수 있었을 것이다.
개구리는 양동이 속에서 물소리를 들었던 것일까? 현관에 있던 개구리가 다른 방으로 가지 않고 마루를 가로질러 배수구로 향한 걸 보면 분명 그러했으리라. 간간히 배수구를 타고 흘렀을 물소리를 들었을 것이다. 그러고는 자기가 살았던 뒷산의 작은 물줄기를 찾아가듯 밤새 바쁜 걸음을 옮겼을 것이다. 그 물은 태어난 보금자리요, 생명을 이어주는 감로수기에.
나도 언젠가 물줄기를 찾아 헤맨 적이 있었다. 어릴 적, 외할머니와 산에 나물을 하러 갔었다. 바구니 가득 나물이 채워질 때쯤이면 목이 탔다. 조금 전까지 신이 나 콧노래를 부른 나였지만 이젠 목마르다고 짜증을 냈다. 할머니는 싫지 않은 표정으로,
“참아 봐라. 이 근방 어디 샘이 있었다 안카나.”
나를 다독거렸다. 쉽게 찾을 것 같던 샘은 보이지 않았다. 할머니는 옹달샘 찾아 비탈을 헤맸다. 나는 토끼마냥 그 뒤를 쫓았다. 드디어 물줄기를 찾았다. 땅에 귀 기울이기를 반복하던 할머니가 희미하게 물소리가 들린다고 했다. 나무뿌리 근처에 정말로 손바닥만 한 물이 고여 있었다. 겨우 목을 축일 정도였지만 나무 향이 깊게 밴 탓인지, 달콤했다.
그 물맛이 그립다. 요즈음은 산을 찾아도 선뜻 계곡물에 목 축이기가 겁난다. 물이 오염되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물은 생명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것이므로 모두가 보호해야 한다. 나 또한 내 작은 관심이 물을 지키는데 제일이라 여겨 실천하는 것이 있다. 쌀뜨물을 버리지 않고 미용 팩으로 활용한다. 어머님께 배운 것인데 쌀뜨물의 윗물을 버리고 남은 것에 약간의 밀가루와 올리브유를 섞어 걸쭉해질 때까지 젓는다. 그것을 얼굴에 펴 바른 뒤에 약간 꼽꼽해지면 떼어낸다. 곧장 물로 헹구면 물을 더 오염시키므로 꼭 떼어내고 얼굴을 씻는다.
물은 누군가에게 소망이고 희망이니 참으로 귀하다. 가뭄이 심할 때는 농부의 소망이 되고, 물 부족 국가에서는 희망이다. 오늘 같이 바람 한 점 없는 무더운 날은 시원한 물이 더 생각난다. 나는 운동화 끈을 질끈 동여맨 후, 내 마음을 촉촉하게 적셔줄 물줄기를 찾아서 뒷산으로 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