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갑같은 비늘로 덮인 몸에 긴 혀로 곤충을 잡아먹는 천산갑. 그러나 이 독특한 동물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밀매되는 포유동물의 하나가 됐다. 그 이유는?
천산갑은 이빨이 전혀 없는 유린목 천산갑과의 포유동물로, 주로 아시아 및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서식한다.
몸의 윗면은 비늘조각 모양으로 늘어선 골질의 비늘로 덮여있는데, 이 비늘 때문에 밀렵꾼들의 주 사냥감이 되고 있다. 특히 중국 남부지역에서 천산갑 비늘의 높은 수요로 인해 홍콩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있다.
과학저널 네이처에 따르면 천산갑의 비늘이 인기 있는 이유는 바로 약용 가치가 높기 때문. 천산갑의 말린 비늘은 기름이나 버터, 식초 혹은 어린 남자아이의 소변과 함께 요리되거나 흙 또는 굴 껍질에 쌓여 구워지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신경과민이나 히스테리적으로 우는 아이들, 혹은 말라리아로 인해 열이 나거나 귀가 안 들리는 사람들에게 효과가 좋다는 이유에서다.
세계자연기금(WWF)은 천산갑이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이 밀매되는 포유류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과 베트남에서는 고기와 비늘의 수요가 높다. 2011~2013년 사이 세관에서 몰수된 천산갑만 해도 약 11만6,990~23만3,980마리에 이르지만, 이 수치는 전체 밀매되는 천산갑의 10%에 불과하다고 WWF는 보고했다.
그러나 천산갑의 비늘이 약용 가치가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포브스는 천산갑의 몸을 덮고 있는 비늘은 머리카락이나 손톱 등을 형성하는 섬유상 단백질인 케라틴으로 구성돼있다며, 이 단백질은 약용 가치가 없다고 주장했다.
천산갑은 총 8종으로, 아프리카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종으로는 긴꼬리천산갑( Black-bellied Pangolin)과 나무천산갑(White-bellied Pangolin), 자이언트그라운드천산갑(Giant Ground Pangolin), 테민크스그라운드천산갑(Temminck’s Ground Pangolin) 등이 있다. 또한 인도천산갑(Indian Pangolin)과 팔라완천산갑(Philippine Pangolin), 말레이천산갑(Sunda Pangolin), 귀천산갑(Chinese Pangolin) 등은 아시아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종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모두 국내법과 국제법에 따라 보호종으로 지정됐다.
지난 10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천산갑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에 따라 최고 수위의 보호종으로 지정했다. 이에 각 국가 차원에서 밀매에 대한 압류 등의 집행이 수행되고 있는 중으로, 향후 브루나이와 홍콩, 필리핀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천산갑 밀매와 관련한 처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밀매 외에도 서식지 감소로 인한 위협 역시 천산갑의 멸종을 부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농업 용지 확장이나 인간의 터전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이들의 서식지는 줄어드는 상황이다.
천산갑은 열대 및 숲, 수풀, 경작지 및 사바나 초원 등 다양한 곳에서 서식하며 개미와 흰개미들을 핥아먹는다. 이에 흰개미와 개미, 파리, 애벌레, 귀뚜라미 등의 여러 곤충이 사는 곳에서 발견되는데, 특유의 잘 발달된 후각으로 먹이를 감지하고 입 밖으로 40cm까지 뻗을 수 있는 혀로 곤충들을 사냥한다. 주둥이는 가늘고 길며, 귀와 눈은 작다. 발가락 역시 길고 날카로워 개미집을 파헤치거나 굴을 파는데 적절한 용도로 쓰인다. 특히 굴을 팔때는 앞다리와 앞발톱을 이용하며 꼬리와 뒷다리는 균형을 유지한다.
위협을 느꼈을 때는 몸을 둥글게 마는데, 이때 갑옷처럼 딱딱하고 날카로운 비늘이 방패 역할을 한다. 머리는 꼬리 밑에 숨긴다. 그러나 야행성인 천산갑은 혼자 지내거나 비밀스러운 성향을 갖고 있어 현재까지 행동과 습관에 대해 알려진 내용은 별로 없다.
이처럼 밀매와 서식지 감소로 인한 천산값의 멸종 위험에 IUCN의 천산갑 스페셜리스트 그룹은 글로벌 보존 프로젝트인 '천산갑 보존 확장(Scaling up Pangolin Conservation)'에 착수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특정 국가 내에서의 천산갑 소매가격을 추적하기 위한 천산갑 가격지수 개발, 보존방법 연구 등 수요 감소 전략 개발을 위한 소비지수 개발 등이 포함된다.
아시아에서도 팔라완이나 홍콩의 카두리 실험농장과 식물원(Kadoorie Farm and Botanic Garden), 중국의 ZSL 천산갑 보존 이니셔티브(Pangolin Conservation Initiative)을 비롯한 베트남과 네팔에서 천산갑 보존을 위한 여러 제도가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