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퓨타 Laputa Mar 09. 2017

Part III. 컨설팅 도구와 기법

이제 맥가이버 되는거야?!

Part III에서는 Part II를 통해 습득한 컨설팅 스킬(Consulting Skills)을 좀 더 발전 시킨 컨설팅 도구와 기법들을 다루고자 한다. 대부분의 컨설팅이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 포인트를 발견하고 비전이나 전략의 개선 방향, 이행 계획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컨설팅 도구와 기법은 기업 내 전략 수립이나 마케팅, 신사업 개발 등에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Figure III-1. 컨설팅 도구와 기법 로드맵


Figure III-1은 Part III에서 다루고자 하는 도구와 기법의 로드맵(Roadmap)으로 기업이 속한 산업과 시장, 경쟁 환경을 분석하고 기업 고객이나 일반 소비자의 Needs를 파악하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익성을 검토하고, 기업 경쟁력의 토대가 되는 역량 등을 검토하여 시사점과 향후 개선된 모습을 위한 대안이나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도구와 기법의 활용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들이 있다. 


    1. 동일한 도구와 기법을 사용하지만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2. 도구와 기법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첫 번째 메시지는 상황에 맞는 도구와 기법을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수 많은 도구와 기법이 있지만 모두 나름의 가정(assumption)이 있으며 그 가정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도구를 사용하면 안 된다. 그런 경우, 예상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것이다. 두 번째 메시지는 수 많은 컨설턴트, 경영학자 등 지성들이 수 십 년 간 쌓아온 지식과 경험으로 정제된 것이 이제부터 설명할 도구와 기법들으로써 나름의 논리를 가지고 잘 만들어진 것이지만 어떤 경우는 투입한 노력(Efforts)대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저자의 경우, AHP[1]가 그런 경험을 주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를 위한 설문도 준비하고 시간을 들여서 의견을 받아 매트릭스를 돌렸고 바쁜 프로젝트 일정에서 당시 그 노력이 상당했다. 그런데 노련한 관련 업무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하였는데 그 내용이 AHP 결과와 크게 상이하지 않아 역시 전문가들의 통찰력(insight)이 더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기도 하였다. Part II에서 논리적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 로직 트리(Logic Tree)를 배웠다. 많은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로직 트리는 업무와 결합하여 MECE Pockets이라는 간단한 도구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그런 것들이 분석(Analysis)의 도구로 사용되고 다양한 분석 도구들이 하나의 주제에서 결합되면 기법(Analytics)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어지는 Part IV에서 상세히 다루겠지만 이런 다양한 도구와 기법들이 프로세스와 연계하여 템플릿(Template)화되면 그것을 방법론(Methodology)이라고 한다. 그러한 컨설팅 수행 체계를 익히기 위해 이제부터 다양한 컨설팅 도구와 기법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Break #10. MECE Pockets


Part II에서 살펴본 것처럼 MECE 개념은 상호 간에 중복되지 않고 전체로서 누락이 없는 상태(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를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현실 세계에서 MECE하게 구분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LISS이다.


Figure III-2. MECE와 LISS의 개념


LISS는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의 개념이기도 한데 MECE던 LISS던 두 가지 모두 동일 차원에서 중복이 없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MECE는 빠진 것이 없는지, LISS는 중요 과제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컨설팅 분석에서 이런 MECE 관점과 LISS 관점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들을 'MECE Pockets'이라고 부르는데 다음 나열된 MECE Pockets들은 기억해두면 논리적 사고 전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1. 사업환경분석(PEST): 정치적(Political), 경제적(Economic), 사회문화적(Sociocultural), 

        기술적 (Technological) 

    2. 사업환경분석(3C): 고객(Customer), 경쟁사(Competitors), 자사(Corporate)

    3. 전략수립 SWOT: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s)

    4. 전략수립 7S: Strategy, Structure, System,Staff, Skill, Shared Value, Style

    5. 전략수립 비즈니스 시스템: 연구개발, 생산, 유통, 판매, 서비스

    6. 전략수립 SPOT: Strategy, People, Organization,Technology

    7. 전략수립 STAR: Strategy, People, Process,Rewards, Structure

    8. 경영진단 PPT: People, Process,Technology

    9. 마케팅 4P Mix: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홍보(Promotion)

    10. 마케팅 4C: 소비자(Consumer), 비용(Cost), 편의성(Convenience),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11. 디지털 비즈니스 4C: Contents,Community, Communication, Commerce

    12. 역할행동 CARE: Capability, Authority,Responsibility, Evaluation

    13. 경쟁분석 5 포스: 경쟁자, 공급자, 구매자, 대체제, 신규 진입자

    14. 프로세스 요건: 기준, 절차, 지식/스킬, 장비/도구

    15. 프로세스의 단계 IPO: Input,Process, Output

    16. 현장 Trouble 4M: Man, Machine, Material,Method

    17. 제품 경쟁의 3요소 QCD: Quality, Cost, Delivery


[1] Analytic Hierarchy Process





Prologue


Part I. 컨설팅 산업은 부활할까?

1. 컨설팅의 정의와 종류 (1/2)

1. 컨설팅의 정의와 종류 (2/2)

2. 컨설팅 산업의 현황 (1/2)

2. 컨설팅 산업의 현황 (2/2)

3. 컨설팅 기업들의 전쟁 


Part II. 컨설팅 스킬

4. 논리적 사고 (1/2) 

4. 논리적 사고 (2/2) 

5. 문제해결기법 (1/3) 

5. 문제해결기법 (2/3) 

5. 문제해결기법 (3/3) 


Part III. 컨설팅 도구와 기법

    7. 경쟁 및 산업 분석

    8. 고객요구 분석

    9. 수익성 분석

    10. 역량 분석

    11. 시사점 및 대안 도출


Part IV. 컨설팅 방법론

    12.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13. 경영전략 수립 방법론

    14. 프로세스 혁신

    15. 신사업 개발

    16. 사업타당성 분석

    17. 정보전략컨설팅(BPR/ISP) 방법론


Part V. 컨설팅 사업 개발 및 이행

    18. 컨설팅 사업 개발

    19. 성공하는 컨설팅 사업 제안

    20. 컨설팅 이행과 지식경영


Epilogue




#컨설팅_도구_기법#MECE, #LISS, #MECE_pockets 

매거진의 이전글 6. 커뮤니케이션 스킬 (3/3) - 프레젠테이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