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영 Feb 06. 2022

울산 오일장

물미역 시작


군데군데 사각형 모양의 하얀 고기가 있다. 같이 간 이가 “뭐야?” 묻는다. “상어.” “상어도 차례상에 올려?”

 “응, 여기는 산적으로 해서 올리고 전라도는 말린 상어를 찜으로 올려.” 시장에는 나물이며, 전감 등 명절 제수가 대세. 대세를 뒤집은 것이 하나 있었다. 바로 물미역이다. 겨울과 봄의 중간 물미역이 한창이었다. 거짓말 조금 보태서 세 집 건너 하나 있을 정도였다. 대부분은 이웃한 기장에서 온 것. 멀리 완도에서 온 잎이 조금 넓은 것도 있었고, 울산 간절곶 것도 있었다. 미역국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미역에 해물이나 소고기 넣고 국을 끓인다. 보통은 마른미역을 불려서 사용한다. 제철에 나는 물미역으로 국을 끓이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 생각을 못하기 때문이다. 물미역으로 국을 끓이면 더 맛있다. 어떤 것을 넣든 미역이 주인공이 된다. 미역국이 자신 없으면 라면 끓일 때 미역을 넣어도 맛나다. 마른미역이 줄 수 없는 신선한 바다 내음이 라면에 녹아든다. 기름진 국물은 산뜻해진다. 신김치가 있다면 잘게 썰어 넣으면 더 좋다. 모름지기 제철 식재료의 맛을 이길 수 있는 조미료는 없다. 조미료는 옆에서 거드는 존재일 뿐, 제철 주인공이 좋을수록 존재감은 희미해진다.

 기장 미역 앞에는 ‘쫄쫄이’라는 수식이 붙어 있다. ‘쫄쫄이’ 혹은 ‘지네발’이라 부르는 이유는 물살과 깊은 관련이 있다. 물살이 아주 센 곳에서 자라는 미역은 미역 잎이 많이 갈라져 있다. 완도에서 나는 미역처럼 잎이 넓었다가는 센 물살을 견딜 수 없기에 잎에 물살이 빠져나갈 통로를 많이 만들었다. 거센 물살과 파도는 미역을 억세게 만들어 오래 끓여도 쫄깃하다. 그래서 쫄쫄이다. 예전 포항 오일장에서 설명했듯이 물미역이 나오면 꼭 같이 먹어야 할 음식이 ‘회’다. 어종불문, 물미역에 회를 싸는 순간 맛이 달라진다. 하우스에서 억지로 키운 상추나 깻잎은 겨울 제철 물미역 앞에서는 용쓰지 못한다. 미역국이나 무침보다는 회에 싸 먹는 물미역 맛이 일품이다. 시장을 떠나는 내 손에는 간절곶 물미역이 한 봉지 들려 있었다. 2000원으로 살 수 있는 제철 식재료다.




#지극히미적인시장

#오는날이장날입니다

#가는날이제철입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3126437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6757735


매거진의 이전글 창원_복불고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