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어하우스가 돈이 되는지는 모르겠고-
셰어하우스가 돈이 되는 방법도 있겠지? 하지만 우리는 “관계망”이 최고의 복지 라는 것을 실험하고 실천하고 싶은 것이니까. 방향성이 다른 것일 거다. 궁금증은 남는다. 그렇게 이윤을 남기는 곳들은 갈등 관리를 어떻게 하는 것일까? 사람 사이는 규칙만으로는 안되는 것일텐데.
내가 사는 주거 공동체는 ‘밥상 모임’ 이 있다. 무엇이든 꺼내놓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불편한 것도, 무엇보다 뭐가 불편한지 동의를 구하는 게 아니라 그러한 내 마음을 보고 내어 놓는 것.
이 문화에 젖어들면서 나는 내 감정을 얘기하는 법을 배우기 시작했고 좋은 게 좋은 거라든가, 잘 지내는 게 좋은 거다 라는 식의 전제 조건에서 벗어나는 시간을 쌓아왔다.
함께 가 주는 든든함은 내가 어떤 모습이라도 괜찮다는 메시지를 이 사람들과 함께 지내면서 몸으로 마음으로 체득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그런 건 연애 관계에서만 가능한 줄 알았지. 남이 모르는 내 바닥을 아는 사람, 그런 내밀한 관계. 더 많은 사람과 얘기 나누고 이어지고 내 세상이 점점 넓고 깊어져 간다.
거기서 오는 푸근함과 든든함이 내 지지 기반이 죄어주고 외롭지 않게 살아가는 힘이 되는 것같다.
내가 이 곳에서 그런 비빌 언덕을 만났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그런 공동체를 만났으면 하는 바람에 일도 계속 사회적 경제 영역에 머무르게 되는 가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