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희크 Oct 04. 2023

공동체에서 공유 가치가 없을 때

애즈원 공동체에서 뭘 배웠나

애즈원 공동체는 한겨레 조현 기자님의 기사로 대신.

https://m.hani.co.kr/arti/society/religious/791325.html#ace04ou


우동사에서 애즈원 공동체에 대한 얘기는 꽤 일찍 부터였다. 2013년인가 강화도의 유상용선생님과 연결되고 마이라이프세미나에 다녀오면서 그 얘기를 나누면서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다.


무엇이 좋았나?

일단 고정 없이, 제한 없이, 자유롭게 마음을 살펴본다는 너무나 매력적이라서 한때 성미산부터 전국의 웬만한 공동체들은 애즈원 스즈카 투어를 다녀왔었다. 이 업계에서 붐이었다.


어느 공동체나 사회적 기업이나 좋은 가치와 사람을 본다는 깃발 아래 모였는데 막상 하다 보면 갈등과 좋지 못한 부분들이 불쑥불쑥 나타난다. 돈 문제 배분 문제 기여도 문제 등등. 주거 공동체를 하면 누구는 이 정도는 깨끗하고 누구는 당연히 이것은 더러운 거고 밥은 언제 하고 씻고 나서 머리카락 치우는 것 하나까지. 이런 게 문제 되나? 싶은 게 계속 걸린다. 참자니 쌓이고 말하자니 쪼잔해진 문제가 엄청나다. 공동체마다 이를 풀어가는데 다양한 방식을 쓴다.

애즈원 공동체가 확 들어왔던 것은 규칙 없이 자유로워도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한 사람 한 사람 꽃 피워가다 보면 본질에 다다르고 그것이 한 사회를 이룬다는 것이었는데- 관련해서 애즈원 체험 투어와 코스들이 열렸고 참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코스를 듣다 보면 아 자유롭구나, 자유로운 마음만 남는구나, 안 되는 것은 내 생각 속의 일이구나라고 느껴진다.



하지만.

우동사는 또래 집단의 고만고만한 사람들의 모임이었고 애즈원 공동체는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야마기시사회운동을 하다가-애즈원을 만든. 그러니까 인생을 바쳐서 대안사회를 고민하고 살아온 사람들의 공동체였다. 결기가 달랐다. (눈빛도 달랐다) 재산도 다 내놓는다, 일도 맞춰서 한다, 한 사람 한 사람을 살펴본다, 한 사람 한 사람을 차별 없이 사랑한다를 실천하려는 마음가짐과 어 좋다~ 해보자~ 는 마음가짐은 다를 수밖에 없었다.

우리는 서서히 좋아하는 사람들과 마음 맞는 사람끼리 모임을 폐쇄적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펍에서 읽기 모임이나 마음 나누기나 집집마다의 밥상 모임이 사라지고 애즈원 미팅- 스즈카 아카데미 유학 다녀온 자와 코스 많이 다녀온 사람> 코스 좀 참여한 사람의 모임으로 나눠지고 그 안에서도 실천이 되는 사람과 아닌 사람을 “급”을 나누는데 애즈원공동체의 기류를 갖다 썼다.

이 사람은 아직 안돼, 나는 된다의 구분을 하고 정보 공유를 차별하고 핵심멤버십을 강화하고 그 경계를 갈랐다.

서서히 균열이 생기는데 애즈원 공동체 메소드를 배운다, 사람을 꽃피운다 라는 말에 함몰되어 내 수준을 전혀 모르고 다른 공동체와의 교류도 점점 안 하게 되었다. 소위 애즈원 스타일로 언어가 굳어지면서 외부 사람이 들으면 뭔 소리 하는 거야? 하는 순간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때는 그것을 경계하지 않고 너네는 잘 모르니까~ 식으로 생각하고 더 애즈원 스타일로 생각하고 말하려고 했다. 점점 벽이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우동사 안에서 애즈원 커뮤니티 같은 것을 만들어보겠다고 애즈원 아카데미 스쿨을 본떠서 반야 스쿨을 만들고 예비 사회적 기업화를 하게 되었다.



이전 05화 5. 커뮤니티의 문제점- 진상처리하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