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짜 Oct 27. 2024

11화



 11     

 

 식사를 마치고 나서 작은 방에 들어갔다. 서랍에 있는 앨범을 꺼내 들어 펼치면 집안 어른들의 젊은 모습, 나의 어린 시절이 박제되어 있었다. 집중해서 보고 있으면 그 시절에 온 것  같은 착각이 들기도 했다. 사진 속 엄마는 젊고 건강했다. 엄마는 아기 였던 나를 끌어안고 나무에 핀 꽃을 보고 있었다. 지금의 내 나이보다 어린 엄마는 부모이자 엄마였다. 지금의 나라면 감당할 수 없는 단어 부모였다.     

 

 앨범을 더 뒤로 넘기니 엄마의 마지막 모습을 찍은 사진들이 있었다. 엄마는 위암 때문에 항암치료를 하고 있어서 살과 머리카락이 다 빠졌다. 그래서 여름인데도 가발과 얇은 옷을 겹쳐 입고 할머니와 마지막 여행을 하면서 찍은 사진들이다. 그 당시 엄마 본인도 움직일 수 있는 때가 그때 뿐이라는 걸 알고 최선을 다했던 것 같다.      


  앨범을 다 보고 나니 눈물이 날 것 같았지만 꾸역꾸역 참아냈다. 엄마의 장례식을 다 치르고 나서 큰 외삼촌, 작은 외삼촌과 함께 여기 작은 방에 둘러 앉아 앨범을 보고 있었다. 삼촌들이 엄마 어렸을 적 얘기부터 내가 태어나고 자라서 엄마와 함께 있었던 일들을 얘기했다. 듣고 있다가 울음이 튀어나왔다. 그런 엄마를 이제는 못 본다고 생각하니 꺽꺽하면서 울어댔다.     

 

 “이 녀석아······니만 슬픈 거 아니다. 어? 니만 힘든 게 아니야.”     

 

 나는 화가 났다. 아니 그럼 슬픈 것도, 눈물이 나는 것도 남들 눈치를 보면서 하란 말인가. 눈물을 닦으며 큰 외삼촌에게 한 마디 하려고 하자 작은 외삼촌이 중간에서 우리를 타일렀다. 그러고는 큰 외삼촌을 데리고 밖으로 나갔다. 잠깐 멈추었던 눈물이 다시 났다. 이번에는 슬퍼서가 아니라 화가 나고 분통이 터져서 난 눈물이었다.     

 

 그 이후로는 엄마 사진을 잘 꺼내 보지 않았다. 엄마가 있는 추모공원도 두 번만 가고 가지 않았다. 왜냐면 또 슬프고 눈물이 날테니까. 나만 슬프고 힘든 게 아니니까. 몇 년을 그렇게 살았더니 할머니와 삼촌들이 모여서 내 얘기를 할때는 꼭 이 얘기를 했다.     

 

 “아니, 너는 어쩜 그렇게 무심하냐. 엄마 안 보고 싶어? 엄마 보러 왜 안 가! 니 엄마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     

  “니 엄마가 어디에 있는지 까먹었지? 하도 안 가서.”     

  “우리가 안 가더라도 너는 가봐야지······.”     

 

 씨발. 나도 모르게 욕이 나왔다. 어른들은 내 생각 내 감정이 중요치 않다. 그저 본인들이 보기에 안 좋으면 뭐라고 하기만 할 뿐. 가족이라는 말은 나에게 늘 겉도는 말이었다. 나는 그들의 모임에 억지로 끼어 있었다. 돌아가신 엄마의 핏줄이라는 이유 때문에. 그들이 나를 신경 쓰는 건 그저 본인들 마음 편하려고 그런 것이다. 내 생각, 내 감정은 알려고도 하지 않을뿐더러 알고 싶은 마음도 없다. 그러니 오직 할머니 입을 통해서만 나를 보고 판단한다. 내가 말하는 건 아직 철 덜 들었다면서 들으려 하지도 않는다.     


  일을 하면서부터 명절 날 몇 번 본가에 못 갔을 때였다. 할머니에게 무슨 말을 들었는지 삼촌들만 할머니에게서 경제적인 도움을 받고 너는 그러지 못해서 그런거냐면서 서운해 하지 말라는 둥 온갖 얘기로 나를 못난 놈으로 만들어 갔다. 내가 아니라고 했지만 그게 아니고서야 항상 오던 명절모임에 안 올 리가 없다고 했다. 친척도 거의 없어서 우리끼리 더욱 똘똘 뭉쳐야 한다, 얼마 안 되는 가족인데 몇 번 이러면 더 얼굴 보기 힘들다고. 가족? 누가 가족인데. 그 모임에 진짜 나는 없다. 그들이 보고 싶고 듣고 싶은 모습의 ‘나’만 있을 뿐.

이전 11화 10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