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해 Jun 28. 2021

유별나서 싫다

다름을 표시하는 방식


브런치에도 있다

글을 어렵게 쓰는 사람이 있다. 그들은 댓글 하나를 달아도 공감을 한다는 건지, 아닌지 알 수 없는 말을 적었다. 영어도 사투리도 아닌 표준 한국말인데도 해석이 불가능했다. 신춘문예 당선작들을 공부하며 본 것 같기도, 유명 외국 작가의 번역본에서 본 것 같기도 한 문체였다. 무슨 말인지 당최 이해가 되지 않는데, 일단 고개는 끄덕인다. 그래야 내 부족함이 탄로 나지 않을 것 같아서. 실제로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조금 쉽게 말해주세요!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문학도, 미술도, 영화도 그렇다. 흔히 말하는 작품성이란 건 어렵고 봐야 한다. 쉽게 이해되지 않아야 상을 받았다. 뭐 유명 작품이야 작가든, 평론가든, 이해력 좋은 누군가든 해석을 해주지만 브런치는? 이해가 되지 않으면, 묻고 싶어도 묻어야 했다. 두고두고 곱씹을 여유가 없다. 어렵게 쓰는 사람들은 대체 무슨 의도일까. 저런 글은 아무나 쓸 수 있어, 난 저들과 달라! 그런 우월감일까?


요즘엔 한 줄을 읽어도, 단번에 빡! 심장에 꽂히는 글이 좋다. 오히려 그런 글들을 보며 감탄을 한다. 엄지 손가락으로 쭉쭉 흘려보내다가 멈칫,하는 순간은 바로 이때다.



그 책, 저도 읽었습니다

책을 많이 읽는 한 대리가 있었다. 내 기준에 정말 신기했던 건, 누가 어떤 책을 말하든 "그 책 저도 얼마 전에 읽었어요."라며 술술 이야기를 했다. 마침 나도 얼마 전 읽었던 책이라 옆에서 가만히 듣고 있는데, 듣다 보니 이상하게 겹치는 부분이 있었다. 맞다! 책 맨 뒤에 있는 해설이었다. 작가의 숨은 의도 찾기며 감상평들이 해설 그대로였다. 정말 그게 그 사람의 감상일 수도 있으니까? 어쩌다 해설과 맞아떨어졌는지도 모르니까? 말을 하지는 않았다. 우연이 겹치면 필연이라는데. 그녀의 도서 목록과 겹칠 때면 난 매번, 해설을 각색하는 그녀를 목격했다. 그녀와 나의 도서 목록이 자주 겹쳤던 것도, 시기가 엇비슷했던 것도 우연이라면 우연이겠지만.


난 해설에 집착했다. 영화를 본 후에도 결말 해석 관련 글들을 꼭 찾아 읽었다.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아서도 봤지만, 이해가 되어도 내 생각이 맞나? 확인 차 읽었다. 그것도 아주 꼼꼼히. 그럼에도 시간이 지나면 줄거리도 등장인물들의 이름도 뚜렷하게 생각나지 않았다. 어렴풋이 큰 줄기만 기억했다. 전부를 기억하지는 못해도, 어딘가에 차곡차곡 쌓였다가 어느 순간 불쑥 튀어나올 때 환희를 느꼈다. 그 기쁨에 읽고, 봤다. 반대로 그녀의 목적은 소통이었다. 정말이지 하나도 빠짐없이 다 기억을 했다. 그게 해설이 됐든 어쨌든 다 기억을 하고 있다는 게 나로선 세상 놀라웠다.


와, 진짜! 그 정도 노오오오오력이면 책 좀 읽었다, 해석 꽤나 한다, 자랑해라, 자랑해!



글로 배웠습니다

육아서, 육아 관련 영상(정보)들이 넘쳐나고 있다. 아이는 이렇게 키워야 한다, 저렇게 훈육해야 한다 등등 정답도 해답도 한가득이다. 최근에는 여기도 오, 저기도 오...! 1 가정 1 오은영 박사님이다. 너도나도 그 톤으로 아이와 이야기하고 있다. 사람은, 사람과 똑같이 생긴 로봇에 반감이 있다고 한다. 마찬가지 아닐까. 오은영 박사님이 아닌데 다들 그렇게 말을 하고 있으니 사실, 좀 부담스럽다.

엄마는 당연히 화가 나야 하고, 아이는 분명히 혼이 나야 하는 상황이었다. 엄마의 얼굴은 분명 화가 났는데, 말투가 오은영 박사님이다. 그 엄마는 육아서도 많이 읽은 티가 났다. 화를 꾹꾹 눌러 담고 육아서에서 많이 봐왔던 그대로 말을 했다. 이상하게 더 무섭다, 느낀 시점은 바로 얼굴과 말투의 괴리 때문이었다. 뭔가 감정 없이, 상대의 반응에 관계없이 프로그램대로 정해진 답만 순서대로 말하는 A.I 로봇 같았다. 차라리 화난 얼굴 그대로, 안돼!라고 낮은 톤으로 말하는 게 더 인간적이었지도.


그렇게, 하라는 거지 똑같이, 하라는 게 아닌데! 하물며 똑같이, 하지도 못하면서 어설프게, 따라 하고 있었다. 아이와 엄마 둘만 있을 때는 괜찮다. 집에서는 A.I가 되든 괴리가 생기든 알 바 아니다. 그런데 놀이터에서! 본인의 아이가 다른 아이에게 해를 끼치고 있음에도, 도의적으로, 인간적으로 그건 아니다! 싶은 순간에도 나긋나긋하게, 육아서에 나온 그대로 말하는 엄마들이 있다. 친구들 앞에서 내 아이를 혼내지 않는다, 는 철칙을 지키는 엄마였다. 그럴 때면 피하는 쪽도, 혼나는 쪽도 우리 아이가 된다. 둘이 있을 때 잘 다독여주고 안아주면 되니까. 누구는 육아서 안 보고, 관련 영상들 안 찾아봤나? 다 봤다.


육아서에 나온 대로! 오은영 박사님이 말씀하신 대로! 말하고 싶으면 엄마와 아이 둘만 있을 때 했으면 좋겠다. 보는 것도, 듣는 것도 너무 부담스러워!

매거진의 이전글 자존감 도둑이 싫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