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래이스 Sep 10. 2024

25. 사실 마음은 한국이야

문득 한국에 가고 싶어졌다. 엄마와 아빠가 보고 싶었고, 오래된 친구들과 수다를 떨고 싶었고, 명절이라고 집안 식구들 다 모여 맛있는 저녁에 술을 마시고 싶었다. 이 각박한 세상에서 매일 출근하며 열심히 사회생활 하는 어린 사촌동생들을 만나 밥 한 끼 사주며 응원해주고 싶었고, 오랜 시간 후에 마침내 남자친구가 생긴 친구와 만나 이 나이에 미혼 여성으로서 느끼는 감정과 비혼, 노산에 대해 떠들고 싶었고, 나처럼 드라마 작가가 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과 만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고민, 걱정, 근심을 반으로 나누고 싶었다. 그 끝에 내가 실제로 할 수 있는 거라곤 '내년 이맘때 한국에 가겠다'라고 주변에 다짜고짜 메시지를 보내는 것뿐이었다. 


혹 누군가 이 글을 읽으며 '그럼 한국 오던가'라는 생각이 들었을까. 당장 이곳에서 벌려 놓은(?) 일이 있기 때문에 쉽지 않다. 아니, 저에게도 인생 계획이라는 게 있을 거 아닙니까! 인터넷에 해외에 사는 한국인들이 쓴 글을 읽어보니 나보다 상황이 심각하더라. 몇 년 만에 한국에 가서 엄마를 봤는데 엄마가 살짝 치매가 온 것 같다고 더 심해지면 어떻게 해야 하냐는 글이었는데 대부분의 댓글이 '어쩔 수 없지. 요양 병원 보내드려야지.', '네가 한국에 가서 엄마를 돌봐드릴 수는 없으니 좋은 요양병원을 찾아봐야지.' 등등의 의견. 순간 나는 '해외에서 얼마나 부귀영화를 누리고 산다고 나를 낳아준 엄마가 아픈데 옆에서 병간호도 못 하는 건가' 분노했지만 사실 그들은 해외에서 외국인과 결혼해 자식을 낳고 키우니 본인의 가족이 그곳에 있는 것이다. 본인도 엄마인 입장에서 배우자와 자식을 내버려두고 한국에 가서 엄마를 돌보긴 쉽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치매는 몇 달 병간호로 끝날 게 아니니까. 


3년 동안 한국에서 생활하고 갑자기 캐나다로 돌아오겠다 결정했을 때 사촌동생은 나에게 '언닌 참 불효녀야'라고 말했다. 부모님에게 얼굴을 자주 못 보여드리는 자식은 불효녀일까. 한국 갈 때마다 부모님을 뵈면 그 사이 더 늙어 있는 모습에 억장이 무너져 내린다. 컴퓨터도 스마트폰도 잘 적응하셨는데 이제 은퇴할 나이가 되니 키오스크는 영 어렵나 보더라. 사실 키오스크는 가게마다 기계가 다르고 시스템이 달라서 나도 그 앞에서 엄청 버벅댄다. 궁금한 게 있을 때마다 시차가 13시간이나 차이나는 곳에 사는 딸에게 물어볼 수도 없는 노릇이니 부모님은 갑자기 자식 없는 노부부가 되었다. 


그래서 내 마음은 한국에 있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곳. 내가 가장 사랑하는 나의 엄마와 아빠가 사는 곳. 말하지 않아도 내 맘을 알아주는 사람들이 있는 곳. 먹기 위해 사는 내가 좋아하는 음식들이 많은 곳. 그래서 언제든 상황이 되면 한국에 돌아갈 수 있게 발 한쪽을 빼지 않고 있는 느낌이다. 고향을 향한 사무치는 그리움은 해외에 나와 살아본 사람이 아니라면 절대 모를 것이다. 자발적으로 나와서 사는 나도 이 정도인데 일제강점기에 강제적으로 한국에서 살지 못한 사람들은 얼마나 한이 됐을까. 외국에 나오면 더 애국자가 된다는 말을 혹시 들어본 적이 있는가. 외국에서 살면 한국이란 나라 그 자체가 바로 내 부모처럼 느껴지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여기서 한국인 만나면 피하고 보는 아이러니...)     

이전 25화 24. 이민을 향한 착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