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ruwriting Sep 27. 2024

10. ‘엄마’라는 이름은 무엇인가



‘엄마’를 부를 때, 아니면 '엄마'를 떠올리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나를 세상에 낳아준 고맙고 무한 크기의 사랑을 보내는 사람, 내 삶의 바탕을 길러준 사람, 세상이 무너져도 언제나 든든한 나의 지지자가 되어주는 사람, 무엇이던 척척 해내는 만능을 보유한 사람, 어떨 땐 아버지보다 더 크게 집안의 든든한 기둥이 되어 있는 사람.... 얼마나 많은 생각들의 결정체로 이루어진 이름인가요?


그럼에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이름의 뒷면에 또 다른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같은 말을 아무리 반복해도 늘 새로운 것처럼 같은 질문을 하는 사람, 매일매일 가족이 궁금한 사람, 또 그만큼 동량의 잔소리를 품고 있는 사람, 세상에 듣기 싫은 모든 잔소리는 몽땅 잊지 않고 지칠 때까지 하는 사람, 잠시의 불편도 견디지 못해 시도 때도 없이 SOS를 보내는 사람...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같은 이름도 모두 저에겐 역시 ‘엄마’입니다.





엄마에 대한 이상이 있었나 보다


나와 가장 가까우면서 내가 가장 많이 화내고 함부로 해서 미안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왜 그렇게 자꾸 싫은 소리를 퍼붓는지. 별일이 아닌 일에도 모진 소리를 하는지... 엄마가 살아온 세상과 내가 살아가는 세상은 너무도 다른데 자꾸 동일시를 강요당하는 것이 거북하고 동의할 수 없어서 아직도 자주 삐걱거립니다. 그나마 살짝 농담처럼 피해 갈 여력과 테크닉이 생겨서 서로에게 다행이란 생각이 듭니다. 문득 파르르 할 때가 있긴 하지만...




엄마에 대한 강한 기억은 대략 세 가지 정도입니다. 첫 번째는, '닭사건'에서 보듯 강력한 생활력을 가진 엄마의 모습은 매우 현실적이고 억척스럽다는 점입니다. 아직도 이재에 밝고 세상 흐름에 민감한 걸 보면 타고난 것 같습니다. '닭사건'의 이야기는 연재 3화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runch.co.kr/@gruwriting/552


제가 갖고 있는 강력했던 엄마에 대한 기억은 가장 짧은 순간이었지만, 첫 아이를 낳기 직전 병원에서 한참 동안 머리를 쓰다듬으며 곱게 빗어주던 엄마의 모습이었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아무 말 안 했지만 제가 엄마가 되는 순간에 대한 복잡한 여러 생각이 함께 뒤섞였던 모습이었던 것 같습니다. 마지막은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세상이 무너진 사람의 모습이었습니다.



저는 제가 좀 기대고 고민도 털어놓을 수 있는 그런 엄마가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엄마에게 의지하기보다 엄마를 돌보는 수준으로 살아야 했던 시간이 조금 답답했고 뭔가 허기진 기분이 아직도 있습니다. 부모가 자식들에게 기대하고 바라는 모습이 있듯 저 역시 엄마에 대해 나름의 이미지를 그려두고 그에 맞지 않아 속이 상했던 것 같습니다.







내가 아무리 엄마라도 뭘 그렇게 다 알겠냐



엄마가 엄마 역할을 해 줬으면 싶을 때가 있었습니다. 신체적 양육 외에도 심리적으로 정서적인 안정감을 받고 싶었고, 기대고 싶은 대상 - 어른으로서 위안을 주는 그런 사람이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엄마는 야속하게도 제게 그런 만족은 주지 못했습니다. 나중에야 이해가 되는 건 그래도 엄마는 당신이 아는 한 충분히 애를 쓰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자식에 대한 애정이 없어서가 아니라 그걸 표현하거나 챙기고 보듬어줘야 하는 방법을 몰랐던 거라는 걸 이젠 압니다.


가끔은 당신이 서운할 때마다 반복하는 말이 있습니다.

"내가 아무리 엄마라도 뭘 그렇게 다 알겠냐! 엄마가 모를 수도 있지, 그걸 더 배운 니가 이해를 해 줘야지."

처음엔 어이가 없었지만, 생각해 보면 굉장히 솔직한 고백이구나 깨닫습니다. 아, 그래 엄마도 모든 걸 알 수 없었구나, 엄마 노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랐을 수도 있겠구나.



자식을 기르는 엄마로서 저는 아이러니하게도 그렇게 엄마가 어른 노릇을 좀 해주길 바랐으면서, 실제로는 되도록 어른 노릇을 하지 않으려 애쓰고 있습니다. 자식들 문화는 우리 때와 다르고 생각도 훨씬 개인적입니다. 저 역시 개인적인 성격면에서 뒤지지 않는 사람인지라, 그런 면에서 서로 각자의 영역을 존중하기에 자식들과 충돌이 없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그건 장점이겠죠? 서로 의지하고 즐겁게 웃고 힘든 것을 나눌 줄 아는 그런 시간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자식들도 자신들의 일상을 스스럼없이 말하고 의견을 구하기도 하고 스스로 판단하며 살고 있습니다. 모든 결정과 책임은 스스로의 몫이니까요. 제 성장기에는 이런 과정이 없었습니다. 아버지가 계실 땐 아버지의 의견을 중심으로 생활했었고 돌아가시고 난 후 이제 막 성인이 되던 때였지만 모든 것을 스스로 판단해서 살아야 했습니다. 엄마의 의견이나 생각은 아버지 생전에도 사후에도 제겐 큰 영향도가 없었습니다. 사실 꽤 서먹한 모녀 사이였지만 자식을 키우며 자연스레 관점이 바뀐 것 같습니다. 엄마가 계실 동안 좀 더 친해져야겠다고. 그러면서 점차 갈등도 생기고 투탁거리는 중이지만 사실 그러기 전에는 싸우고 대들고 따지고 할 일이 거의 없었습니다. 엄마의 잔소리를 나름 극복하는 방법을 터득하고부터는 더더욱. 엄마는 제게 특별한 요구도 비난도 하지 않았으니까요.       






현재는 영상이나 사진으로 남길 수도 있지만 지난 시간의 이야기들은 글로 남기지 않으면 알 수 없습니다. 한 사람의 인생은 나름의 역사를 갖고 있다고 믿습니다. 살아온 시간은 모두 각자 나름의 사정이 있었을 테고 파란만장하기도 했을 겁니다. 힘든 순간도, 행복한 순간들도 있었을 겁니다. 엄마를 마주할 때마다 내 삶은 어떠해야 하는지 자주 돌아봅니다. 누군가 말합니다. 아직 엄마와 함께 지낼 시간이 남아 있어서 그러는 거라고. 배부른 투정일지도 모른다고. 이젠 좀 더 웃을 일들을 만들고 함께 행복해야겠습니다. 앞으로 시간이 얼마나 있을지 모르지만, 또 남은 시간에도 분명히 서로 타박하고 으르렁 거리겠지만, 그마저도 나중엔 추억하겠지요. 조금은 가벼운 농담처럼 지내는 것도 괜찮겠습니다.




이전 09화 09. 뭘 한다고?... 나, 지금 회의 중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