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진 Jan 18. 2024

책속에서_불교를 철학하다

14

옆에 있다는 사실만으로, 존재 그 자체만으로 

좋은 감응을 주는 사람이다. 

존재 그 자체가 말 없는 선물이 되는 사람이다. 

무외시無畏施란 존재 그 자체가 누군가에게 선물이 되는 그런 보시다.

[이진경, 불교를 철학하다, 105]          



15

향기로운 풀은 향기로워서 좋고, 

지는 꽃은 지는 꽃이어서 좋다는 말이다. 

고인 물은 고여 있어서, 

흐르는 물은 흐르고 있어서 좋다고 함은 

특정한 하나의 척도로 분별하는 게 아니라 

각자가 갖는 미덕을 그 각자의 기준으로 ‘분별’하는 것이니,

이미 분별을 떠난 분별이다. 

이렇게 분별하면 모든 것이 아름답고 모든 것이 좋은 게 된다.

[이진경, 불교를 철학하다, 152]          



16

안목 있는 사람, 지혜로운 눈을 가진 사람이라면 

때로는 겉으로 보이는 명백함 속에 가려진 

안타까운 사정을 뚜렷하게 볼 줄 알 것이다. 

그리고 때로는 뚜렷한 것들이 섞여 

새롭게 출현한 것의 특이성이나 매력을 명료하게 

알아볼 것이다.

[이진경, 불교를 철학하다, 163]          



17

중도란 진위와 선악 같은 양자의 ‘중간’에 서는 것이 아니라, 

양자를 떠나서 사태의 ‘한가운데’로 들어가는 길이다. 

극단의 두 범주를 벗어나야만 보이는 

사태의 미묘한 실상에 섬세하고 정확하게 다가가는 것이다.

[이진경, 불교를 철학하다, 164]          



18

선악과 진위가 그렇듯 이항적인 대립개념 또한 

호오의 선택을 포함한다. 

하지만 중도中道는 호오의 선택을 비판하는 게 아니라 

이항적으로 대립하는 두 범주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보거나, 

두 개의 범주로 귀속시킬 수 없는 것이 있음을 보는 것이다. 

혹은 상반되는 두 범주가 중첩되는 사태에 대해 

그 의미나 이유를 질문하는 것이다.

[이진경, 불교를 철학하다, 164]          



19

어떤 규정성도 없음. 그것은 ‘공空’이다. 

어떤 규정성이나 본성이 없기에 연기적緣起的 조건에 따라 

그 조건이 규정하는 규정성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렇기에 공은 단지 ‘없음’을 뜻하는 ‘무無’가 아니다. 

그건 차라리 가능한 규정성들이 너무 많아서 

하나로 규정할 수 없는 상태라고 하는 게 더 적절하다. 

알도 될 수 있고, 식재료도 될 수 있고, 

남을 괴롭힐 무언가가 될 수도 있고, 실험재료도 될 수 있고…. 

규정성은 없지만 수많은 규정 가능성을 갖는 상태가 바로 공이다.

[이진경, 불교를 철학하다, 178]    



2024. 1. 18.

 


21화 책속에서_마음사전 (brunch.co.kr)

20화 책속에서_느낌의 0도 (brunch.co.kr)

19화 책속에서_나를 알기 위해서 쓴다 (brunch.co.kr)


매거진의 이전글 책속에서_슬픔의 노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