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원 Aug 08. 2022

작가의 말

나를 살게 하는 것들


  언젠가 나를 살게 하는 것과 살기 위해 하는 것을 구분한 적이 있다. 여기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살기 위해 ‘해야 하는’ 일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그저 숨 쉬듯이 자연스레, 적어도 내가 살아야겠다고 결심한 순간이 오면 물 흐르듯 어떤 일을 했다.
  애초에 살게 하는 것도, 살기 위해 하는 것도 각각 한 가지뿐이었지만 이제 와 불만은 없다. 지금은 논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글을 언제나 수단으로 사용했다. 내게는 목적이었던 적이 없었다. 살기 위해 쓰는 글은 나 자신을 자각하기 위한 도구였다. 하지만 상황은 언제나 역전되고, 수단이었던 것은 목적으로 변해 존재 그 자체의 가치를 뿜어낸다. 어느새 나는 글과 함께 공존하는 사람이 되었다. 그 말인즉슨 글이 나를 살게 하는 일에 포함되었다는 의미이다.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 이 말은 굳이 쓰지 않아도 될 만큼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어떤 관계는 유독 특별해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주석이 꽤 필요하다. 나는 그런 관계 속에 놓인 사람들이 서로의 결여를 포용하며 성장해나가는 이야기를 그리고 싶었다. 다만, 이 ‘특별한’ 관계는 이들에게만 한정된 이야기가 아니고, 이들의 결여는 단순히 개인의 것이 아니다. 그래서 단순한 이름으로 ‘길을 잃은 사람’ 두 명을 지칭하기 어려웠다. 언어에 한정되지 않는 이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작중 ‘나’와 ‘쌤’의 이름이 나오지 않은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다. 그 누구라도 그들이 될 수 있고, 그들도 언젠가는 길을 찾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또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 자체를 목적지로 설정할 수도 있다.
  결국은 답이 없는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고작 젊은 피 하나가 쓰기에는 오만한 글일지 몰라도, 이 과정조차 하나의 기록이라고 믿고 싶었다.
  서로의 결여를 채우기 위해 상대를 수단으로 사용하는 ‘나’와 ‘쌤’은 꼭 이 글은 쓴 나의 모습과 같다. 내가 글을 수단으로 썼듯이, 그들도 서로를 수단으로 썼다. 하지만 결말은 나와 같을 것이다. 서로에게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며 서로를 그 자체로 인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언젠가 한 쪽이 비어도, 이 두 사람이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페이지 너머에서 씩씩하게 잘 살아가리라고 믿는다.

  활동 때마다 열심히 피드백해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만약 피드백이 없었다면 이야기를 쓰는 내가 되레 이야기에 끌려가며 소설을 썼을 것 같다. 그중 퇴고 짝이 되었던 소정님과 직접 한글 파일로 감상평을 보내준 최지우, 그리고 일대일 산문 스터디로 같이 활동했던 피페포님께도 특별히 감사 인사를 전한다.

이전 10화 10. 무의미한 계절의 구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