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루키 Jan 14. 2024

샬롯의 여인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영국의 계관 시인, 테니슨의 시를 바탕으로 한 그림이다. 성에 갇혀 태피스트리를 짜며 거울로만 세상 밖을 보던 일레인은 기사 랜슬롯을 보고 사랑에 빠진다. 거울이 아닌, 자신의 두 눈으로 직접 세상을 보면 죽는 저주도 마다하지 않고, 일레인은 배를 타고 랜슬롯이 있는 카멜롯으로 떠나는 중이다.  _작품 해설, 『365일 모든 순간의 미술』


*

(작가, 미술 기법, 역사적 배경 등 일체의 객관적 사실을 배제한 하루키의 감각과 추상표현으로 쓴 감상입니다.)

John William Waterhouse <Lady of Shalott> , (1888) 출처: Wiki



+ 하루키 감상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는 영국인으로서 자부심이 강했습니다. 그가 좋아한 고전은 셰익스피어 보다 아서왕의 전설이었습니다. 잠들기 전 아서왕을 읽으면 신비로움에 취해 잠이 듭니다. 곧 꿈이 시작됩니다. 서기 400 ~ 500년 경 광활한 자연의 웨일스 혹은 더 북쪽과 남쪽을 아서왕, 원탁의 기사들과 함께 누비며 여행과 모험을 합니다. 때로는 원탁의 기사와 함께 싸우고, 때로는 아서왕을 도와 전설을 만듭니다. 고대 영국의 개국공신이 됩니다. 꿈속에서 그는 전설 속 영웅이 됩니다.


(늦잠을 잔) 오늘은 저녁을 먹고 산책을 늦게 시작했습니다. 달이 밝아 밤이었지만 낙엽의 색깔이 보일 정도로 밝았습니다. 집 근처 작은 호수로 향했고, 도착하자 어디선가 밤인데도 끼익 끼익 노 젓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누군가 보트를 타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스치듯 떠오른 테니슨Tennyson 버전 샬롯Shalott의 비극.

샬롯의 여인은 외부 세계와 접촉하는 것이 금지된 채 탑에 살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거울을 통해 세상을 보았고, 본 것을 태피스트리로 짜는 운명을 반복해 수행했습니다. 멀리서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을 볼 때면 (탑 안의) 그녀의 절망은 고조되어 갔습니다. 평범한 삶을 갈망하며 밤낮으로 태피스트리를 짭니다. 어느 날 말을 타고 지나가던 랜슬롯 경.* 살롯의 거울에 그의 늠름한 모습이 비치자 그녀는 감전된 듯 일어나 (방을 가로질러) 세 걸음을 걷습니다. 창문 너머 랜슬롯 경을 그녀는 두 눈으로 확인합니다. 갑자기 거울이 깨집니다. 그녀는 (저주로 인해) 곧 죽게 될 것을 깨닫습니다. 그녀는 밤이 되기를 기다렸다 탑을 탈출합니다. 보트를 찾아 뱃머리에 '샬롯의 여인The Lady of Shalott'을 새겼고, 가을의 어둠 속으로 배를 타고 출발합니다. 무작정 랜슬롯 경이 있는 카멜롯 성을 향해. 랜슬롯을 만나지 못하고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 그녀는 애가를 불렀고, 부르다 지치면 기도를 했습니다.

*  아서왕의 원탁의 기사 중 아서왕과 거의 동급의 영웅적 기사. 잘생기고 지혜롭고, 용맹함.

다음날 아침, 카멜론 성 밑 물가에 몇 명의 사람들이 차갑게 얼어붙은 흰 여인 주검과 한 척의 배를 발견하고 처리를 의논합니다. 카멜롯의 기사들입니다. 랜슬롯 경이 말없이 그녀를 보고 있습니다.


-

워터하우스는 정신을 차립니다. 서둘러 자신의 아뜰리에로 향합니다. 거의 뛰다시피. 지금의 영감을 놓칠 수 없습니다. 그려야 합니다. 반드시.



&



1. 워터하우스는 집에 도착하자마자 영감을 바탕으로 (완성 시기와 상관없이) 3개의 스케치를 완성합니다. 3명의 샬롯

(좌) 샬롯의 여인, 1888 (중) 랜슬롯을 바라보는 샬롯의 여인, 1894 (우) 나는 반쯤 병든 그림자라고 샬롯의 여인이 말했다, 1915 출처: Wiki



첫 번째, 비록 죽게 될지언정. 만날 수 없더라도, 당신을 향해 떠난다. 운명. 저주. 육체의 유한함의 방해가 있을지라도 ... (좌) 샬롯의 여인, 1888


두 번째, 흰 드레스를 입은 채 마치 판도라의 상자를 열기 직전의 흥분과 두려움. 긴장감까지 느껴지는, 탑에서 랜슬롯 경을 직접 두 눈으로 보게 된 샬롯. (중) 랜슬롯을 바라보는 샬롯의 여인, 1894


세 번째, 빨간 드레스를 입고 저주에 걸려 태피스트리를 만들고 있는 절망적 모습의 샬롯. (우) 나는 반쯤 병든 그림자라고 샬롯의 여인이 말했다, 1915


2. 다시 <샬롯의 여인>에 집중합니다. 샬롯의 표정, 흰 드레스, 그녀가 깔고 앉은 태피스트리(그림 2)가 눈에 들어옵니다. 주변 자연과 대비되는 색의 선명함. 그녀의 표정은 한없는 심연의 우수 같습니다. 그늘진 그녀의 눈. (그림 1) 그녀의 눈과 마주친 관람자는 그녀와 동일한 감정이 전이될 것만 같습니다. 마법처럼.


그녀의 피부보다 흰 드레스. 유독 도드라집니다. 흰색이 주는 기이함. 유령 같다는 느낌. (그림 3) 그녀가 완성한 태피스트리의 그림에서 아서왕과 원탁의 기사들, 전설, 영웅담이 그려진 것 같습니다. 이어질 수 없는 과거인 동시에 보고 싶은 역사. 동경.


3. 갑자기 주체할 수 없는 슬픔이 밀려왔습니다. 뱃머리에는 희미한 빛이 보일 듯 말 듯 한 랜턴이 걸려있었고, 그 아래에는 눕혀진 (못 박힌) 예수의 십자가. 난간의 3개의 초, 2개의 촛불은 꺼졌고, 마지막 초가 바람에 날려 곧 꺼질 것 같습니다. (그림 4) 보트에 짙게 드리워진 죽음과 간절함의 그림자.


...


시선을 돌리자 갈대사이로 제비를 발견합니다.(그림 5) 제비는 여름에 찾아와 가을에 떠나는 철새. 어쩌면 샬롯은 자신이 떠나온 곳으로 돌아가려는 것일 수도, 그 따뜻하고, 포근하며, 사랑받았던 그때로

왼쪽 부터 그림 1, 2, 3
왼쪽부터 그림 4, 5, 6

* 화가 -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1849 - 1917년, 영국)

+ 전기(1849-1869)


워터하우스는 1849년 로마에서 영국인 부모 사이에 태어나, 런던에서 자랍니다. 1864년 왕립 아카데미에서 정식 교육을 시작했고, 이 기간 동안 그는 라파엘전파 운동과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 존 에버렛 밀레, 윌리엄 홀먼 헌트의 작품 등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 중기(1870-1900)


워터하우스는 왕립 아카데미에서 공부를 마친 후 왕립 아카데미에 자신의 작품을 전시합니다. 그는 고전과 신화적 주제를 묘사한 그림으로 빠르게 인정을 받습니다. 1883년 워터하우스는 왕립 아카데미의 준회원이 되었고, 1895년에는 정회원이 됩니다.


워터하우스의 작품들은 당시 대중들의 취향에 부합하는 아름다운 여성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 후기(1900-1917)


후기에 접어들면서 현대 사회의 변화에도 관심을 갖습니다. 전기와 중기 작품들과는 달리, 보다 현실적이고 사회 비판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이는 워터하우스가 자신의 작품을 통해 단순히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던 의도로 보입니다.


워터하우스는 1917년(67세) 런던에서 사망합니다.


+ 비평적 관점


워터하우스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대부분 비현실적으로 아름다운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는 그가 이상적인 여성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했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이러한 묘사가 지나치게 비현실적이고 도식적이라는 비판을 합니다.



* * *


+ 회화 스타일


1.  고전 신화와 문학의 사용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신화의 장면을 자주 묘사합니다. 워터하우스의 철학은 이러한 이야기와 캐릭터가 시대를 초월하고 보편적이며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과 경험을 탐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생각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2. 디테일과 사실주의


그는 색, 빛, 그림자를 세심하게 사용하여 깊이와 질감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디테일에 대한 관심은 의복, 보석 및 기타 사물을 묘사하는 데까지 확장되었고, 역사적 연구와 세심한 관찰이 그 기반이 됩니다. 워터하우스의 철학은 사실적이고 몰입감 있는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관객을 다른 시간과 장소로 이동시켜 그가 탐구하는 감정과 주제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3. 낭만주의적 감성의 표현


그는 신화 속 여성들을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로 묘사함으로써, 관람자들에게 상상력과 감성을 자극합니다. 그의 작품들은 신화 속 여성들을 단순히 아름다운 모습으로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내면의 감성과 욕망을 섬세하게 표현함으로써, 관람자들에게 풍부한 감상 경험을 제공합니다.



+ 의식 안의 미술관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그리스 로마 신화, 셰익스피어의 작품들, 아서왕의 전설, 단테 신곡 등의 전설과 신화, 문학을 알고 그림을 감상하면 눈에 선명히 그려지는 신비함.  

출처: Wiki






"창작의 기쁨을 능가하는 것은 없습니다.

소음 가득한 생활 속에서 단 한 시간만이라도

자기를 잊는 시간을 가질 수 있으니까요." _1일 1클래식

/

잠시라도 현실을 잊자, 그(존 윌리엄 워터하우스)의 그림을 보며 신화 속 주인공이 되어보자. 삶은 아름다운 것 _하루키

C. Schumann: 3 Romances for Violin and Piano, Op. 22 - I. Andante molto




삶이 고양될지 혹은 무해할지, 의식 안의 미술관을 꿈꾸며 ... 감사합니다. 하루키





+ 출처


[1] 위키피디아: John William Waterhouse

[2] britannica: John William Waterhouse

[3] Tate: John William Waterhouse

이전 11화 보트 시합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