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식인의 서재 Jan 26. 2021

저탄고지 식단- 팔라펠

지중해식 빈대떡 만들기

(* 위의 사진은 내가 만든 팔라펠이 아님)


팔라펠을 처음 먹어본 것은 미국에서였다. 

애 친구의 (인도인) 엄마가 먹어보라고 음식을 만들어서 줬는데 미트볼 같은게 있다. 

먹었는데 맛은 빈대떡이다. 

오 우리나라에도 이런거 있어~ 빈대떡~! 하며 막 맛있게 먹었는데

알고보니 그게 바로 팔라펠 Falafel 이라는거였다. 


내가 살던 곳 몰에 가면 팔라펠 전문점이 있다. 저 미트볼 같이 생긴 것을 활용해 여러가지 디쉬를 만들어주는 음식점이었는데 저걸 샌드위치에도 넣어먹고, 국수 위에도 얹어먹고, 소스에도 찍어먹고, 샐러드에 고기 대신 먹고.. 여하튼 온갖가지 방법으로 먹는 듯 했다. 


중동음식이라고 한다. 병아리콩을 갈아서 빚어서 튀긴다. 밀가루는 들어가지 않는다. 

미국에서도 그렇게 싸지는 않은 음식이다. 


암튼 나는 팔라펠과 사랑에 빠지게 되었고 한국에 와서 팔라펠을 먹지 못해 너무 그리웠는데 

얼마전 코엑스에서 발견한 지중해식 음식점에서 맛있게 먹고 집에서 만들어 보기로 결심. 

장장 2박 3일에 걸쳐 만들어보았다. 

원래는 그렇게 오래 걸리는게 아닌데 내가 요리를 잘 못해서 오래 걸렸다. 


다음은 나의 좌충우돌 팔라펠 요리기. 

* 나는 요리 똥손이다. 만들다 보면 재료가 부족하거나, 없거나, 잊어먹고 안넣었거나, 타거나, 부서지거나.. 그게 일상이다. 

그래서 나의 요리 블로그는 멋지게 음식을 만드는 블로그가 아니라

"이렇게 요리를 못해도 맛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블로그이다 ㅎㅎ 



재료: 병아리콩, 고수, 양파, 쿠민(카레향향신료), 다진마늘, 소금, 후추 


먼저 병아리콩을 불린다. 

이렇게. 

물이 뿌연 이유는 베이킹 소다를 넣었기 때문이다. 그러면 껍질이 물러져서 더 잘 까진단다.

사실 베이킹 소다가 없기 때문에 베이킹 파우더를 넣었다. 그래서 그런건지 껍질이 정말 안까졌다. 


그런데 나는 한시간만 불리면 되는 줄 알고 

물에 넣어놓고 세시간 정도 지난 후에 "아이쿠 내정신좀 봐" 하고는 가서 열심히 물을 따라 버렸다. 

껍질을 까야한다는데 이걸 하나하나 다 까란 말인가! 

하며 하나하나 다 까다가 도저히 안되겠어서 온라인에 찾아보니 두 손으로 비벼서 까란다.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두시간 걸려서 깠다. 

그러고 나서 다시 읽어보니 24시간을 불려야 한단다. 

그래서 다시 물을 붓고 다음 날까지 기다렸다. 

(24시간 불린다고 더 잘 까지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콩이 불었으면 물기를 다 빼고 (잘 빼는게 중요하다. 물기가 많으면 뭉치지가 않는다) 

콩을 간다. 


물론 나는 콩을 가는데 필요한 기계가 없다. 

푸드 프로세서를 사용하라는데 그냥 우리애들 이유식 만들던 소형 믹서를 사용했다. 

당연히 잘 안 갈린다. 칼날이 헛돈다. 물을 넣으면 안되기 때문에 뭉쳐서 안 갈아진다. 

그래도 간신히 다 갈았다. 

첫날은 양파랑 고수도 같이 넣고 갈았는데 더 안갈려서 오늘은 콩만 먼저 갈았다. 





잘 안갈려서 콩이 그냥 콩 모양 그대로 남아있는 것도 많다. 

할 수 없다.


그 담에 양파와 고수를 간다. 

물을 안넣기 때문에 역시 잘 안갈려서 결국엔 양파를 꺼내서 칼로 다져서 넣었다. 


쿠민을 넣어야 하는데 찾아보니 쿠민이 집에 없는거다. 그래서 이마트 쓱배송으로 주문하고 

다음 날이 되었다. 4만원 이상 주문해야 무료배송이기 때문에 하는 김에 고수랑 양파도 더 주문했다. 

콩은 전날 더 불려두었고. 

오늘 쿠민이 와서 다시 요리 시작. 

콩 껍질 까는데 또 두시간 걸리고.  


모든 재료를 이렇게 그릇에 다 넣었다. 

이렇게 찍어놓고 보니 좀 근사해보인다. 실상은 그렇지 않은데 말이다. 




콩 간 것, 양파와 고수 간 것, 큐민 (그냥 대충 원하는 만큼), 다진 마늘, 소금과 후추를 넣고 

손으로 버무린다. 

원래는 다 같이 넣고 갈아야 하는거였다. 내 손이 믹서다. 



그 다음에 손으로 빚는다. 

동그랗게 만들어야 하는데 그러면 속이 안 익을까봐 소심해져서 납작하게 만들었다. 



그 다음에 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튀겨내야 하는데 

나는 아보카도유를 쓴다. 일반 식용유 보다 비싸다. 그래서 기름이 아까워서 도저히 deep fry 를 못하겠다. 

(애 음악 레슨비 대느라 기름 한 방울도 아껴쓰는 힘겨운 삶을 살고 있다)


그래서 딥후라이를 안하고 그냥 반쯤만 기름에 잠기게 넣고 소심한 후라이를 했다. 여러번 뒤집어줬다. 


보시다시피 후라이 팬에 넣기도 전에 다 부서져서 모양이 자기 맘대로다. 

맛있으면 됐지 뭐 하고 지글지글 튀긴다. 


 

voila! 

나의 첫 팔라펠. 

너무너무 맛있다. 


마침 요리금손인 남편이 만들어 놓고 간 "완벽한" 인도 커리가 있어서 거기 찍어먹었더니

입에서 살살 녹는다. 

가장 좋은건 난이나 밥은 탄수화물 덩어리인데 이건 저탄고지라는거. 


팔라펠 나처럼 요리 못해도 맛있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이렇게 간헐적 단식의 즐거움을 찾아본다. 

작가의 이전글 간헐적 단식-식사를 거절하는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