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헤바 Mar 23. 2024

28살에 퇴사했습니다

프롤로그

나는 2013년 1월에 퇴사했다. 내가 무엇을 하며 살고 싶은지 깊게 고민한 적이 없다. 부모가 원하는 삶을 살아서 생각할 기회가 없었다는 말이 더 알맞겠다. 아무 생각 없이 수능을 보고 대학에 가고 취직을 하고, 숨 가쁘게 살았다. 정신 차리고 보니 어느새 직장 생활 6년 차가 되었다.


스물일곱 살에 내 인생에서 가장 큰 사건이 있었다. 어릴 때부터 집이 편하지 않았다. 알코올 중독자인 아빠와 통제적이고 강압적인 엄마 밑에서 자랐다. 매일 부모님의 싸움은 내 안에 불안을 더 자극시켰다. 욕과 폭력이 일상인 가정환경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숨죽여 싸움이 잦아지길 기다리는 거였다. 잠들기 전에 시계를 확인하면 매일 똑같은 시간이었다. 새벽 3시에서 새벽 4시 사이. 내가 출근 준비하는 시간은 아침 6시. 학교 다닐 때나 회사를 다닐 때나 내가 잘 수 있는 시간은 겨우 두 시간에서 세 시간이었다. 학교에서는 매일 졸아서 선생님께 불려 가기 일쑤였고 회사에서는 일에 대한 실수가 잦았다.


"OO씨! 일 좀 똑바로 해!!"


오늘도 혼났다. 의자에 힘 없이 털썩 주저앉았다. 나 조차도 내가 왜 이러는지 모르겠다. 이제 다 그만하고 싶었다. 금요일 저녁. 그날따라 무슨 용기가 생겼는지, 퇴근해서 버스 터미널로 갔다. 나는 부산으로 가는 버스 티켓을 구매했다. 컴컴한 밤. 비가 많이 내렸다. 내 발목은 축축해졌다. 미쳐 우산을 정리하지 못해서 내 발목에 기대어 있는 우산. 우산처럼 그날은 나도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었던 날이었다.


부모도 있고 친구도 있지만 나는 늘 혼자 있는 것 같았다. 세상과 동떨어져 있는 느낌. 그 외로움이 나를 부산까지 오게 한 건 아닐까. 소주 한 병을 사들고 눈에 보이는 숙소로 들어갔다. 내 손에는 펜과 종이 한 장. 기댈 곳도 설 곳도 없어 보이는 내 인생. 담담하게 유서를 쓰고 있었다.


소주를 병 채로 들이켰다. 눈을 떠보니 나는 죽지 않았다. 다행인 걸까. 아닐 걸까. 죽는 것도 쉽지 않았다. 경찰은 내가 있는 곳까지 찾아왔다. 같이 온 부모님은 나를 지옥 같은 집으로 다시 데려갔다.


부모님은 내가 왜 그랬는지 물어보지 않았다. 사춘기 없이 지나가서 오춘기가 왔냐며 첫 말을 내뱉은 엄마 그리고 무관심한 아빠. 나를 한심하게 바라보는 동생. 이 일은 단순한 해프닝으로 마무리되었다.


월요일 아침. 마치 아무 일 없다는 듯이 출근했다. 항상 밝게 웃으면서 직장 사람들에게 인사를 하는데 그날은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었다. 마음속으로 울고 있었다. 답답한 사무실에서 내 인생을 계속 보내기 싫었다. 


나는 왜 다시 회사에 있을까? 다시 한번 제대로 살아보라고 기회를 준 것 같았다. 누구를 위해서도 아닌 오직 나를 위해서. 내 키보드 소리는 경쾌했다. 일이 아닌 사직서를 작성했다.


나는 스물여덟 살에 퇴사했다.

그리고 세계여행을 떠날 결심을 했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