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유로운 콩새 Apr 15. 2021

"한의원 개원", 홍보는 하지 않겠습니다



한의대 졸업 후.

개업을 할까. 취직을 할까. 선택의 귀로에 서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개업도 어렵고 취직도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제 마음은 개업에 더 쏠려있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와 미래의 꿈을 가지고 저만의 그림을 그려가면서 완성해보고 싶었습니다.



1. 저는 개업을 하고 싶었습니다.


제 한의원을 가지고 싶었습니다. 북한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병원에 취직하고 늘 조직에 매여있는 생활을 했습니다. 직장 생활은 그렇다 치더라도 짜여진 체계 속에서 사유재산의 취득이 허용되지 않았던 사회에서 오랫동안 살다가 남한에 왔으니 내 소유인 것 같은 개인  한의원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답니다. 

작은 공간이라도 내가 주인이 된 공간을 가지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이름으로 사업자등록증을 내걸고 한의원을 개원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사업운영에 대한 개념이 있어야 하고, 직원들을 통솔할 수 있는 리더십이 이어야 하고, 무엇보다 장소를 임대하고 인테리어 해서 환자 치료가 가능한 형태를 갖추려면 '돈'이 있어야 했습니다.


대한민국 땅에 친인척이라고는 단 한 명도 없는 혈혈단신 제게, 그나마 믿을 수 있는 징표는 오직 "한의사 면허증" 뿐이었습니다.  전문직 면허가 있으면 은행에서 돈 빌리는 것이 조금은 자유로울 수 있다는 이야기는 익히 들었지만 과연 빌릴 수 있을지, 또 얼마나 빌릴 수 있을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은행에 가서 사정해야 할 판입니다. 


면허증을 가지고 어떤 은행으로 갔습니다. 당시 그곳 은행장은 여성분이었고 어찌어찌하여 은행장님 앞에 섰습니다. 될지 안 될지 모르지만 이 은행이, 은행의 책임자인 이 은행장님이 저를 최대한 신뢰할 수 있게 설득했습니다.


         " 북한에서 의사였고 한국에 와서 한의대 졸업했고 한의원을 개원하려고 하는데 돈이 없습니다. 

          북한에서 가지고 있던 경험을 살려서 이러저러한 한의원을 만들고 싶습니다. 

          첫 3년, 다음 5년, 다시 10년, 그리고 20년 될 때는 이런 모습으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저와 함께 해주십시오. 도와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감성으로 지점장님의 마음을 움직여보고자 개인사까지도 주저리주저리 말씀드렸습니다. 

6살 된 아들을 북한에 두고 왔습니다. 한국사회에서 꼭 성공해서 아들을 데려오고 싶습니다. 

아들이 너무너무 보고 싶지만  참으면서 학업에 매진했고 이제 그 열매를 맺기 위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돈이 없습니다. 도와주십시오. ㅎㅎㅎ


너무나도 절절했을까요?

마침 여성지점장님이셔서 그러셨을까요. 아들 두 분을 두셨고 그중 한 명은 해외 유학 중이라고 하시더라고요.

유학 중인 아들이 너무 보고 싶은데... 6살 된 아들을 북한에 두고 오셨으니 얼마나 보고 싶겠냐고. 

인간적으로 마음을 열어 주셨습니다. 결국 저는 대출을 받았고 첫 개원을 합니다.
전문가라는 증표의 면허증 한 장이 가진 힘!! 실감했습니다.


2. 드디어 개업했습니다. 나의 한의원입니다. 


"나의 한의원"이라는 표현이 조금은 성실하지 못한 표현임을 압니다. 제 이름으로 사업자 등록증을 냈다고 해도 한의원이 전적으로 나 개인의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았고 함께 일하는 직원 모두의 한의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다른 직원분들은 저와 생각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죠. ㅎㅎ

이 부분은 나중에 다른 파트에서 열어보기로 하죠.~


개업을 하면 보통 처음부터 홍보를 하죠. 한국에서는 거의 정설로 되어있는 듯합니다. 

하지만 저는 한의원 개업 후 홍보를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홍보를 하지 않았습니다.

처음 개원했을 때 주변의 많은 분들이 조언을 주셨습니다.

홍보를 하라고, 해야 한다고요. 한국에서는 개업 첫 시작에 홍보로 많이 알려져야 그 사업이 성공한다고요.

그렇지만 저는 고집을 부렸고 그 흔한 전단지 하나 뿌리지 않고 개업했습니다

그리고 개업 첫날 환자는 딱 " 7 명"이었습니다.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 이유가 반드시 정답일 수는 없겠지만 당시의 저의 솔직한 마음이었습니다.



제가 홍보를 하지 않으려고 했던 이유는 첫째로 : 


언감생심, 혼자서 김치 국물을 마시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환자가 너무 많이 오면 큰일 나겠다 싶었습니다.

저는 한국의 시스템을 잘 모릅니다. 한의원을 찾아오게 될 한국 환자분들의 성향도 모릅니다.

더군다나 사업체를 운영해본 경험도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이유는 제 실력이 확실하게 받쳐줄 것이라는 믿음이 없었습니다.

소심했고, 두려웠고, 허둥거리는 제 모습이 그려져서 엄두를 낼 수 없었습니다.


갑자기 많은 환자들이 내원하게 되면 준비 안된 저 자신 때문에 오히려 환자들이 실망하게 되고 나중에 오시던 분들까지도 떨어지게 될 수 있다는 판단을 했었거든요. 

차분하게, 느긋하게 준비하고, 파악하고, 적응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했었습니다. 하. 하. 하.

이거 너무 어리석은 생각 일가요? 

저의 한의원에 환자가 막 몰려오게 될 것이라는 교만한 생각 일가요?




제가 홍보를 하지 않으려고 했던 이유는 둘째로 : 


의료가 왜 상업화되어야 하지? 하는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환자가 아프면  병원에 오는 거고, 어느 병원을 가든 그건 그냥 환자 마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생명을 걸고 하는 일에, 그 고귀함과 신성함에 대한 행위를 

내가 왜 상업적인 광고로 흐리게 해야 하는 건가 하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저는 의료는 인술이라고 배웠고 그렇게 생각하고 살았습니다.

마음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면 광고 같은 건 필요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한국의 의료인들이 의료에서 사람을 기본으로 놓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절대로 아니므로

               오해는 없으셨으면 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던 당시의 심리상태를 표현한 것뿐입니다.
               그리고 이 글은 제가 한국에서 적응해가는 과정 중의 어떤 상황을 돌아보는 글입니다.)


다분히 북한에서 가졌던 사고방식이 많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죠.

개업 초기 어떤 인터뷰에 이 내용이 실렸었고 곧 한의사들의 커뮤니티에도 누군가가 내용을 올려놓았더라고요. 

댓글들을 보니 별로 반응이 좋지 않더군요.

잘난 체하는? / 

언제까지 그런 생각을 할 수 있는지 두고 보자는? / 

한국사회가 녹녹지 않는 사회임을 곧 알게 될걸? / 

ㅎㅎ 두루 이런 내용들이었습니다. 


당사자인 제가 느끼기에는 조금 비꼬는 느낌처럼 받아들여지더군요.~^^~

 



                                   ** 10년도 넘은 이야기 입니다. **




[ 계속~]





매거진의 이전글 북한 의대, 한국 의대 무엇이 다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