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히르찬 Jun 21. 2024

ETF와 ETN의 차이

ETF이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희찬입니다. 


ETF 투자를 하다 보면 항상 같이 따라오는 존재가 있는데요, 바로 'ETN'입니다. ETF 투자자라면 ETN을 절대 모르면 안 되는데요, 오늘은 ETN이 무엇인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들어가기 전 [구독] 눌러주시면 더 좋은 컨텐츠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ETF이란, 무엇일까?


ETN이란 'Exchange Traded Note'의 약자로, [상장지수증권] 혹은 [상장지수채권]이라 부릅니다. 


'상장지수채권'이라 부르니까 채권이란 자산으로 만들었다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서의 '채권'은 투자자산을 부르는 채권이 아니라, '신용'을 의미하는 겁니다.


자산운용사에서 펀드의 형태로 운용하는 ETF와 달리 ETN은 '증권사의 신용'으로 운용되는 투자상품입니다. 즉 신용에 의해 만들어지고 운용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채권'이라 부르는 겁니다.


다시 말해 ETN은 증권사에서 만들고 운용하는 투자상품이란 뜻입니다.


ETN의 경우 ETF와 비교하며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ETF와 ETN의 차이점


1) 자산운용사와 증권사

첫 번째 차이점은 자산운용사와 증권사의 차이인데요.


ETF는 펀드 상품이기 때문에 오로지 자산운용사에서만 만들고 운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ETN의 경우 증권사가 만들고 운용하는 상품이죠.


그로 인해 ETF의 경우 자산운용사의 규모를 보지만, ETN은 증권사의 규모를 봅니다.



2) 운용 구조가 다르다

두 번째 차이점은 '운용 구조'의 차이인데요. 


ETF의 경우 완전복제 혹은 부분복제를 통해 추종하고자 하는 지수와 같은 구조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200 지수를 바탕으로 한 ETF를 만든다면, 실제로 자산운용사가 코스피200 지수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모두 매수한 뒤 ETF를 만들게 됩니다.


또한 이렇게 매입한 주식은 '신탁재산'으로 보관되죠.


ETN의 경우 사실 완전복제/부분복제라는 개념 보다는 추종하는 지수의 '수익률'에만 맞춰있는 상품인데요. 


앞서 ETN은 '신용'에 의해 만들어진다 했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200 지수를 바탕으로 한 ETN을 만든다면, 증권사는 ETF처럼 코스피200 기업을 모두 매수한 뒤 운용하는게 아니라, 코스피200 수익률에 맞춰만 놓은 겁니다.


쉽게 말해 꼭 코스피200 주식으로 ETN을 만든 게 아니라, 다른 자산 및 다른 전략을 통해 코스피200 지수와 동일한 수익률을 내주겠다 '약속'한 상품입니다.


코스피200 ETF를 만들었다는 뜻은, 자산운용사가 실제 코스피200 주식을 매입했다는 뜻입니다. 이에 따라 코스피200 지수가 1% 오르면 코스피200 ETF도 똑같이 1% 오르게 되어 있죠. (물론 다른 비용이 있어 지수와 100% 동일한 수익률이 날 순 없습니다.)

코스피200 ETN은 코스피 지수의 수익률만 맞춰준다 약속한 상품이기 때문에 꼭 코스피200 주식을 매입해 운용하는 게 아닙니다. 다른 무언가를 통해 코스피200 지수와 동일한 수익률을 약속하는 상품이죠.


이러한 이유로 ETN은 신용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는데요. 왜냐하면 추종지수와 동일한 수익률을 내주겠다 약속했지만, 실제 그 지수의 자산을 매입해 운용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수익률의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만, ETN은 ETF와 다르게 '수익률 약속'을 해주기 때문에, 추종지수와 매우 유사한 변동을 보입니다. 즉 ETF처럼 추적오차율의 존재가 거의 없다는 뜻이죠.


이에 따라 신용리스크가 없다는 가정하게, ETF 보다 ETN의 추종지수 오차율이 더욱 낮습니다.



3) 증권사 파산시 투자금 전액 손실

세 번째 차이점은, '투자금 보존의 여부'인데요.


ETF의 경우 실제 자산을 매입하게 되면 그 모든 자산은 '신탁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쉽게 말해 ETF의 주식과 현금 등은 은행이 보유하게 된다는 뜻이죠.


이로 인해 ETF의 상장폐지나 자산운용사의 파산이 이어져도 자신이 투자한 투자금은 상장폐지 그 당일의 NAV 만큼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ETN의 경우 ETN 자체만 상장폐지 되면 투자금을 상장폐지 당시의 지표가치 만큼 돌려받을 순 있지만, 만약 증권사가 파산하게 되면 모든 투자금을 잃게 됩니다.


이에 따라 ETN의 경우 증권사의 신용 및 규모를 잘 살펴봐야 됩니다. 다만 국내에서 ETN을 만들 수 있는 증권사는 애초에 규모가 크고 신용이 높기 때문에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ETF와 다르게 투자금 전액 손실 발생 여부가 존재하니, 이를 꼭 참고해야 됩니다.



4) ETN은 만기가 존재한다

ETF의 경우 만기가 없는 게 특징입니다. 그래서 5년, 10년, 30년 상관없이 계속 보유할 수 있죠. 


물론 만기가 존재하는 ETF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에 새로 출시된 '만기매칭형 채권ETF', 혹은 미국ETF인 SPY, QQQ, DIA, GLD와 같은 'Trust' ETF는 만기가 존재합니다.


ETF와 다르게 ETN은 만기가 존재합니다. 보통 1년 ~ 20년 기간으로 만기가 설정되어 있는데요, 즉 만기가 되면 ETN은 자동 상장폐지가 되는 겁니다.


물론 상장폐지가 되는 그날의 지표가치만큼 투자금을 다시 돌려주긴 하지만, 만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꼭 신경써야 되는 겁니다.


자료. 네이버증권


간혹 ETN을 보면, 마지막에 'B' , 'C'와 같은 알파벳이 적혀 있는데요. 이는 해당 ETN의 수요가 많아 만기가 된 이후 또다시 상장된 겁니다.


즉 위에 보이는 '상섬 레버리지 천연가스 선물ETN'은 초기 A가 있었을테고, 그 뒤에 만기가 된 후 'B'가 만들어지고, 또 만기가 돌아오면서 새롭게 'C'가 만들어진 겁니다.




ETN을 해야 되는 이유?


그럼 우리가 ETN을 해야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사실 ETF만 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실제로 필자도 ETN 투자는 거의 하지 않습니다. 다만, 국내ETF는 아직까지 종류가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투자를 할 수 없을 때도 존재합니다. 이럴 때 우리가 ETN을 통해서 투자를 해봐도 좋습니다.


자료. 네이버증권


예를 들어, 천연가스 투자를 하고 싶을 때 ETF에서 찾으면 천연가스ETF는 없습니다. 하지만 ETN에서는 존재하죠. 더군다나 ETN에서는 천연가스를 레버리지 2배, 혹은 인버스 등으로 투자도 가능합니다.


사실 ETN은 '레버리지/인버스' 투자를 할 때 주로 사용하고는 합니다. 필자는 애초에 레버리지/인버스 투자를 잘 하지 않기 때문에 ETN 이용을 할 필요가 없는 건데요. 만약 확실한 방향이 보일 때는 ETN을 통해 고수익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자료. 네이버증권


또 만약, 나스닥 지수의 하락이 보이고 예상된다면 나스닥 인버스 2배 ETN으로 투자해 볼 수 있는 것이죠.


다만 레버리지/인버스 투자는 너무 위험하기 때문에 필자는 권유하지는 않습니다만, 간혹 전략적으로 필요할 때가 존재합니다. 혹여나 확실한 방향이 보인다 싶고 자신만의 특별한 전략이 있다면 ETN을 충분히 이용해 볼 수 있죠.



§경제/증시/투자를 다루는 단톡방 = 참여코드 147012

오늘의 내용이 도움이 됐고 앞으로 좀 더 자세하게 공부하고 싶다면 필자의 브런치를 [구독]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전 08화 합성ETF와 환헤지ETF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