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월 Jul 31. 2024

'끄실란' 고기가 맛있다

일하고 있는 곳에 여름이면 이런저런 벌레들이 출몰을 한다. 건물 안에는 습기를 따라온 지네가 아무도 모르게 들어와 공간 한 귀퉁이에서 낮은 포복으로 천천히 기어가고 출입문이 열고 닫힐 때의 틈을 타 잽싸게 시원한 곳에 들어온 파리는 마치 제 집인 것처럼 큰 소리를 내며 천정을 날아다닌다. 

건물 밖에는 거미가 자기들만 안전한 거미줄을 치고 자기네 영역 자랑을 한다. 건물 안에서 일을 하는 나는 거미를 본 적은 없다. 건물의 키를 훨씬 넘는 언덕 배기 밑에 건물이 자리 잡고 있어서인지 거미는 언덕과 바로 접해 있는 건물 뒤편에 집을 지었다. 


며칠 전 환경미화를 하는 A 씨가 토치를 손에 들고 건물 안으로 들어왔다. 한 바가지쯤 되는 땀을 닦으며 한숨 돌리러 들어온 것이었다. 내가 물었다. 

"토치는 뭐 할라고요?"

"거미가 건물 뒤쪽에 너무 많아서 손으로 잡지는 못하겠고 토치로 불사를까 해서요."

"거미는 해충도 아닌데... 거미를 죽이면 다른 벌레들이 설치지 않을까요?"

나는 화형 당하는 거미가 안쓰러워 A 씨를 말리고 싶었다. A 씨는 거미가 너무 많아서 볼썽사납던데, 라며 말끝을 흐렸으나 거미는 해충이 아니라는 내 말에 신경이 쓰이는 것 같았다. 땀을 식히며 생각을 정리하는 듯 보였다. A 씨는 다시 밖으로 나갔다. 


10분도 안 되어 A 씨가 다시 들어왔다. 

"말을 듣고 보니, 보기 흉한 거 없애려다가 다른 벌레들이 설칠 수도 있겠다 싶네요. 그냥 놔둘라고요. 그런데, 난 토치 이런 거 다루기 무서웠는데 지금 시험 삼아 한번 불 켜보니 이거 재밌네요."

마치 토치를 처음 보는 사람처럼 A 씨는 신기한 듯 쳐다보았다. 

"무섭기는 뭐가 무서워요? 저는 향초 불 켤 때 가끔 써요. 집에 성냥이나 라이터가 없으니까 토치가 필요하더라고요."

"아니, 그런 거는 작은 거고, 이거는 바비큐 할 때 쓰는 큰 거잖아요. 나도 하나 사서 바비큐 할 때 토치 써봐야겠어요. 왜, 그 불에 '끄실란' 고기가 더 맛있잖아요?"

"맞아요. 맞아요. 불에 끄실라서 먹으며 더 맛있지요. 국룰이지요."


A 씨와 내가 고기이야기에 죽이 맞아서 이야기가 척척 오고 갔다. 옆에서 우리 이야기를 듣고 있던 동료가 말이 한다. 

"근데, '끄실란'이 뭐예요? 그게 무슨 고기예요?"


그 말을 들은 A 씨는 깔깔대며 웃었고 나는 순간 당황했다. 

'어, '끄실란'은 사투린데 A 씨가 어떻게 알고 있지?'

"A님, 경상도예요? '끄시르다'는 거는 경상도 사투리예요? 난 A님 사투리 쓰는 거 한 번도 못 봤는데요?"


A 씨는 말했다. 

"우리 외갓집이 경북 영천이거든요. 외갓집 가면 다 경상도 사투리라. 나는 외갓집에 놀러 많이 가서 경상도 사투리 많이 썼고 많이 알아요."

동료는 다시 물었다. 

"아니, 그래서 끄실란(?), 끄시르다(?)가 뭔데요?"

"끄시르다, 라 해서 불사르다 아니면 불에 그을리다는 뜻이죠. 바비큐나 고깃집 가면 사람들이 토치에 불 붙여서 고기에다가 불을 한번 사악 끄실라가꼬 구워주잖아요? 그러면 고기가 참 맛있죠."

A 씨가 말했다. A 씨의 말에 나는 살을 덧붙였다. 


"고기를 앞뒤로 디끼가면서 불에 살살 끄실라가 묵으면 맛있지요. 참, 디끼다는 건 뒤집는다는 경상도 사투리예요. 또 뭔 말인지 모를까 봐서 사족으로 붙입니데이~"



어릴 적 우리 가족의 겨울 단골 반찬은 까맣게 잘 마른 곱창김이었다. 겨울이면 마른 김을 두세 축을 사서 찬장에 쟁여 두고선 밥상 때마다 구운 뒤 가위로 잘라 간장과 함께 밥상에 놓았다. 구운 김만 있으면 겨울 반찬은 만고 땡이었다. 밥상을 차릴 때마다 엄마는 우리들에게 말했다. 

"김 예닐 곱 장 불에 끄실라라"

'끄실르다'는 것은 불에 아주 살짝 닿게 하거나 굽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주로 김을 구울 때 많이 썼다. 


명절이나 제사 때 전을 구울 때 한쪽이 잘 익으면 뒤집어야 한다. 그때 우리는 이렇게 말했다. 

"이쪽은 익었다. 인자 디끼라.(혹은 디비라)"


어릴 적 딱지치기를 할 때, 상대편의 딱지를 내가 칠 차례가 되면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인자 니꺼 완전히 디끼뿔낑끼네 단디 봐라이"


지금도 "고기 타요. 어서 뒤집어요."라고 말할 때 나는 팔에 소름이 오소소 돋곤 한다. 

"고기 탑니다. 퍼뜩 디비이소."라고 해야 성에 차서 그렇다. 


내 고향 고깃집 이름을 아직도 기억한다. 아마 절대 잊지 못할 거다. 그 고깃집 이름은 다음과 같다. 

탄다 디비라


글자만 보고 서울/경기 사람들이 뭐 하는 곳의 이름인지 알까? 새삼 궁금해졌다. 




이전 21화 불뚝성과 찔뚝, 그 어딘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