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oo Feb 14. 2017

✔︎ 우리들 꽃








우리들 꽃





아파 해보지 않고 절로 활짝 피어난 꽃이 있었던가. 몽우리 속에 담긴 것이 꽃인지 서로가 모른 채, 힘든 시간을 보내지 않았던가. 



지금, 가슴 속에 담긴 것이 그런 우리들 몽우리라면, 피어나는 것은 꽃 만이 아닐 것이다. 



태양 아래 일면식一面識 없는 사랑도, 아픔도, 스스로 그렇게  비에 젖어가며 동시에 자라난다는 것을,



사랑의 꽃을 피우는 일이 아픔의 가시도 함께 키운다는 것을, 



그 꽃들이 언젠가는 결국 사라지리라는 것을 모른 채, 마냥 아름다우리라 바라보는 우리들 꽃은 아니었을까.   

W66-170214P141004비밀의정원/양떼목장/정동진/헌화로/추암/영덕/임경대

(BGM 권용욱, 인생)  https://www.youtube.com/embed/KI9jde8eWbA  



✔︎ The flower of us

There was some flower that bloomed all over by itself without pain. Do not knowing there was a flower in the bud, we had a hard time. Now if it is such a bud put in our heart, the blooming is not only a flower. Not knowing under the sun an utter stranger, even love and pain grow themselves old at the same time wet  in rains, the flowering of love is nurturing a thorn of pain as well, and  the flowers are eventually to be gone someday, it might be our flowers to be seen beautiful all the time for us to look at it.








작가의 이전글 ✔︎ 길없는 길 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