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번? 20번? 아마 생각만큼 그리 많이 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저것 지시할 것도 많은데 무슨 질문을 하냐'고 물을 수도 있다. 혹은 ‘내가 정답을 알고 있는데 굳이 구성원에게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을 필요가 있느냐’고 의아해할 수도 있다. 그래서 보통 질문하기 전에 지시를 한다.
그런데 혹시 7:3의 법칙 들어 봤는가?
많은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효율적 의사소통을 위한 황금 비율이다. 대화 시간의 70%는 상대의 말을 듣는 데에 쓰고, 내가 말을 하는 데엔 30%만 사용하라는 것이다. 그럼 상대가 70%를 말하도록 하려면 어떤 커뮤니케이션 기법이 필요할까? 바로 질문이다. 질문을 통해 상대가 말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세계적인 리더십 교육 기관인 CCL, 창조적 리더십 센터에서 119명의 성공한 글로벌 기업 CEO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다. "성공하는 리더의 필수 덕목이 뭐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1위를 차지한 것이 바로 '질문하는 리더' 였다. 시간 관리, 자기 계발 보다 '질문'에 대한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한 것이. '질문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리더', '질문할 기회를 놓치지 않는 리더'라는 항목도 4위와 6위에 올랐습니다. 그만큼 리더에게 질문은 중요하다.
그리고 지시를 받는 구성원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 초등학교 때로 한 번 돌아가서 구성원들이 받게 될 느낌을 생각해 보자. 학교를 마치고 집에 와 숙제를 하려고 책상 앞에 앉았다. 그 순간 엄마가 방문을 열고 말씀하십니다. “숙제해라!” 그 말을 듣는 순간 어땠는가? 이상하게도 숙제가 하기 싫어졌던 적, 있지 않는가? 분명 숙제를 하려고 결심했는데도 말이다. 그 이유가 뭘까? 바로 엄마가 ‘시켰기 때문’이다. 이렇게 우리는 남이 시키는 건 이상하리 만치 하기가 싫어진다.
사람들은 누구나 본능적으로 ‘자기 결정권’을 갖고 있다. 일방적인 지시는 자기 결정권을 없애 버린죠. 엄마의 '숙제 해라'라는 한 마디가 자기 결정권을 없애 버린 것이다.
조직에서도 마찬가지다. 구성원들이 항상 리더의 지시만 받는다면, 그 구성원은 자기 결정권이 없는 일만 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결국 시키는 일만 하는, '노예'와 다름없다는 느낌을 가지게 되고 이런 느낌이 결국 회사를 떠나게 만든다.
물론 이런 과정은 힘들다. 시간도 훨씬 더 많이 걸리고, 구성원이 나와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면 그 직원을 설득해야 할 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노력을 통해 구성원을 신나서 일하게 만들 수 있다. 구성원을 ‘시키는 일만 하는’ 노예에서 ‘내가 스스로 할 일을 찾아서 하는’ 주인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이다.
리더가 질문만 잘 해도 구성원을 신나서 일하게 만들 수 있다. 여러분도 한번 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IGM의 마이크로 러닝 컨텐츠 '비즈킷'을 정리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