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arpe diem Sep 20. 2020

EP8. 사랑의 온도는 몇 도?

365일, 평균 36.5도 유지하기



[prologue]
요즘 교사들의 삶을 어쭙잖게나마 대변하고 싶어  글에 많은 분들의 구독과 응원과 격려가 쏟아지는 이번 주말, 학교 이야기를 계속 써야 하나 혼자 고심했다. 그러나, 학교 이야기뿐 아니라 ‘ ‘사랑이라는 키워드로  주변을 그리고  사람들을 그리고   마음을 글을 쓰며 돌아보기로 했으니 편안한 일요일 아침,  마음과  지난 시간을 돌아보는 글을 가볍게 적으며 한숨 돌려야겠다.


2013년 영화 ‘연애의 온도’의 한 장면



 

 7년 전, 한동안 내 상태 메시지는 ‘연애의 온도’였다. 당시 개봉을 앞둔 영화의 제목이기도 했고, 자꾸 입에 맴돌아 영화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막연히 매력적인 그 말이 마음에 들어 꽤 오랫동안 상태 메시지를 바꾸지 않고 있는 내게 친한 동생이 안부도 물을 겸 뜬금없이 말을 걸어왔다.

“언니, 몇 도야?”
“글쎄…. 36.5도?”
“왜?”

너무 뜨겁거나 차가우면 오래 못 가잖아. 

  그러니까 인간의 체온 36.5도, 아닌가?”
”맞네. 그럴싸하다. “


온 마음 다 쏟을 거 뭐 있나. 상대와 나의 마음을 딱 절반씩만 나누면 충분하다.


생활처럼, 습관처럼 그렇게 젖어드는 사랑이라면 유별나진 않아도 잔잔하게 오래 가진 않을까? 가끔은 뜨겁고 때로는 차가워도 평균을 지나치게 벗어나지 않는 범주의 따스함이라면 믿고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안고, 본의 아니게 기다리게 된 영화를 본 소감은 ‘감정이입’ 한 단어면 충분했다. 갑자기 다가와 한 달 동안 뜨겁게 사랑하고 별 거 아닌 일로 장렬히 불태우고 푸시시 꺼져 버린 사랑 앞에 무기력하게 지쳐있던 차에 영화 속 여자 주인공인 ‘장영’에게 스스로를 투영해 남자 주인공 ‘동희’에게 쌍욕을 마음껏 쏟아내며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별 거 아닌 시시콜콜한 사랑 이야기에 격분한 나도 우습지만 그럴싸한 영화 제목으로 잘 포장한 영화감독도 참 대단하다 혀를 내두르던 찰나, 그럼 사랑이 뭐 별건가 반문하니 할 말이 없어져 입을 다물었다.



 더는 뜨거울 수도 차가울 수도 없어 미지근하기만 했던 사랑의 끝자락에 서서 포옹하고 입을 맞춰도 공허하기만 하다고 따져 물을 수조차 없다는 게 절망스러워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내 오랜 연애는 저체온증에 시름시름 앓기만 했다. 연애의 온도가 사람의 체온과 같아야 오래갈 수 있지 않을까 무심결에 내뱉은 건 적당히 식어버린 사랑이라면 알맞게 덥히려 노력하는 마음이면 충분하다는 결론에 기인한 것이다.


때론 뜨겁게 때론 차갑게
아프면 아픈 대로 좋으면 좋은 대로 그렇게.
매거진의 이전글 EP7. 사랑의 결실은 반드시 결혼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