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스티브 잡스도 몰랐던 미국 대학 장학금


애플 창업자 잡스도 몰랐던 미국 대학 재정보조/장학금
양부모가 어렵게 자신의 학비를 대자 리드 칼리지 중퇴




시가 총액 기준 삼성을 훨씬 앞지르는 글로벌 IT 기업 애플을 세운 스티브 잡스의 생모는 대학원생이었던 미혼모였다. 그의 생모는 잡스를 다른 가정에 입양 보냈다. 생모는 "아이를 대학에 보낸다"는 조건으로 입양 가정을 찾았다. 첫 번째 입양 대상 가정에서는 '딸을 원한다'라며 입양 예약을 파기했다. 두번째 대상 가정의 양부모 중 아버지는 고등학교도 못 나온 사람이었다. 대학에 꼭 보내준다는 잡스 생모의 조건을 들어 주기 어려웠으나, 며칠을 생각한 양부모는 '대학에 보내주겠다'라는 약속을 하고 아기 잡스를 받았다.


가난한 삶을 살았던 잡스는 고민 끝에 리버럴 아츠 칼리지인 Reed College에 입학을 했다. 리드 칼리지는 명문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등록금이 하버드, 스탠퍼드와 같은 비싼 대학이었다. 잡스는 양부모가 평생 모은 재산을 자신의 등록금을 내는 데 쓰는 것을 알고 6개월 만에 자퇴를 했다. 그리고 1년간 등록을 하지 않고 강의를 몰래 들었다. 이후 이야기는 독자들이 잘 알 것이다. 잡스는 가난한 가정에 주는 미국 대학들의 재정보조를 몰랐던 것 같다. 똑똑한 잡스도 몰랐던 미국 대학 재정보조/장학금이다. 


가난해서,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미국 명문대학에 가지 못하는 일은 없다. 미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해외 유학생의 20%가 미국 대학들이 주는 재정보조/장학금을 받아서 공부하고 있다. 하버드 대학의 경우 연간소득으로 6만 5000달러 미만의 학생에게는 학비 전액을 포함한 기숙사비, 식비까지 지원하고 있다. 스티브 잡스가 다녔던 리드 칼리지도 미국 시민권자는 물론 국제학생들에게도 많은 재정보조를 해주는 대학이다. 스티브 잡스는 왜 이런 사실을 몰랐을까? 


미래교육연구소는 미국 대학들이 제공하는 재정보조/ 장학금을 받아서 경제적 어려움 없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와주고 있다. 연간 40여억원을 미국 대학에서 받아주고 있다. 이를 활용해 가난한 학생들이 미국 대학에서 어려움 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 미래교육연구소 미국 대학 장학금 컨설팅





매거진의 이전글 B급 학생들이 장학금 받고 가는 A+급 미국 대학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