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준쌤북스 Mar 01. 2024

질보단 양이다.

 며칠에 한 번씩 질이 좋은 글을 쓴다. 

 매일 글을 쓴다.


 둘 중에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글을 쓰는 사람들은 이 두 가지 선택 중에 고민한다. 글을 쓰는 사람들은 항상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한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많은 생각을 한다. 메모도 하고, 좋은 글감을 찾기 위해 독서도 한다. 여기서 문제점이 하나 있다. 분명 많은 노력을 하긴 하다. 하지만 정작 글은 쓰지 않는다.


 많은 글감을 가지고 있으면 어떻게 활용을 해야 할까? 결국엔 생각보다 몸이 먼저 움직여야 한다. 보통 사람들은 글을 머리로 쓴다. '앞으로 어떻게 써야지!', '언젠가는 이렇게 써야지!' 늘 상상한다. 재미있는 건 사람의 기억력은 우리가 생각한 만큼 좋지는 않다. 생각을 하고 컴퓨터 앞에서 글을 쓸려면 무엇을 써야 할지 막막해진데.


 글을 쓸 때 사람들이 중요하게 보는 것은 제목과 첫 문장이다. 결국엔 글의 질이 좋아야 제목과 문장들이 이쁘게 나온다. 그렇지만 이 부분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정작 다음을 넘어가질 못한다. 안된다. 우선 다음으로 넘어가서 써야 한다. 다 쓰고 나서 제목과 첫 문장을 써도 늦지 않다.


 얼마큼 써야 할까?


 여기서 의문점이 들 수도 있다. 그럼 대체 하루에 어느 정도 써야 할까?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답이 없다. 하루에 몇 시간을 쓸 수도 있고, 몇 분을 쓸 수도 있다. 수십 페이지를 쓸 수도 있고, 한 페이지를 정확하게 쓸 수도 있다. 사람마다 스타일이 다르지만, 참고할 부분은 있다.


 바로 유명한 작가들이 어떤 방식으로 글을 썼는지 참고하면 된다. 이 부분을 알고 싶어서 많은 책을 조사했다. 딱 한 가지 공통점이 나왔다. 평균 아침 6시부터 12까지가 그들이 글 쓰는 최적의 시간이다. 한 가지 추가할 점은 매일 썼다는 것이다. 그 시간 동안은 바깥세계와 단절하고, 글만 썼다. 


 어쩌면 그냥 의자에 엉덩이 붙이고 계속 쓰는 게 정답일 수도 있다. 그냥 묵묵히 남들의 신경을 쓰지 않고, 자신의 글의 질이 좋든 안 좋든, 계속 양으로 밀어붙인다. 다 쓴 다음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있으면 글의 내용을 수정한다. 


 정답은 나왔다. 글쓰기는 질이 아닌 양으로 승부해야 한다. 사실 필자도 생각만 많이 해왔다. 잘 쓰고 싶어서 메모만 하고, 정작 쓰지는 못했다. 하지만 다행이다. 지금이라도 브런치북에 매일 글을 연재한다. 지금의 글의 질은 좋지 않아도, 나중에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 만족하는 글이 나오질 않을까? 


 그냥 매일 쓴다. 그게 정답이다. 

이전 02화 나는 작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