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저나 Oct 19. 2021

반사체와 발광체

모두 착각하고 있다.

우린 모두 반사체다.

그런데 우린 모두 잘 못 알고 있다.

내가 아닌 상대방은 발광체라고.


그래서,

지금 나의 빛이 강하거나 약한 것은

발광체인 상대방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라고

탓을 하거나 혹은 덕분이라고 고마워한다.


반사체는 발광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한낱 돌덩이에 불과하다.


그래서

나 자신은 하찮은 돌덩이가 아니라

'소중한 별'이라는 존재를 확인받고 싶은 마음에

다른 별에게 더 빛을 내라며 

원하고 바라보고 요구한다.


하지만 사실,


두 개의 별 모두는

각자의 별 중심에서 솓아나 오는 

아주 조금의 빛만을 가질 뿐이고,


그 조금의 빛을 서로 나누어서 비추어주고 

그 빛이 다시 반사되어서 돌아와,

서로를 더욱더 빛나게 한다.


하지만

두 개의 별 중 하나라도

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채,


상대의 별만이 발광체라 여기면서

왜 더 많은 빛을 쬐여주지 않냐며,

왜 더 따스한 빛을 쐬어주지 않냐며,

왜 더 지속적으로 빛을 쏴주지 않냐며 

탓하고 비난하면


똑같이 아무런 힘도 없고

그저 반사체일 뿐인 그 상대별은

어떻게 할 줄 몰라 당황하다가

나중에는 그 궤도에서의 공전이 힘들어질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 궤도를 이탈하여 

영영 없어져버릴지도 모른다.


꼭 알았으면 좋겠다.

그 두 개의 별이 돌고 있는 궤도의 중심에는

빛을 만들고 있는 또 다른 항성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는 걸.


같은 궤도 안의 두 개의 반사체는

중심의 그 항성의 존재를 각자 느끼면서 

서로 궤도에 의지하며 공전해 나가야 한다.

그래야 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우리만의 우주가 존재하고 유지될 수 있으니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