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정엽 Sep 13. 2021

남부의 면화사업과 노예제도의 강화

미국의 노예제도 08

미국 남부의 경제를 받치고 있는 핵심 작물은 화였다.


남부의 핵심 작물, 면화


일명 백색 황금이라 불릴 정도로 귀한 대접을 받는 화는 남부의 주요 생산물이었고 유럽과 북부에 공급, 면직 산업의 기초 원료로 사용되었다.


최고의 전성기 때는 전 세계에 70%나 공급될 정도로 양이 어마어마했고 면화 왕(King Cotton)이라 불릴 정도로 세계 경제에 끼치는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었다.



남부의 면화 농장에서 일하는 모습 <출처 : 위키피디아>



이러한 계기가 된 것은 1793년에 엘리 휘트니(Elias (Eli) Whitney)가 화씨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조면기를 만든 이후부터였다.


엘리 휘트니의 조면기 발명


휘트니가 만든 조면기는 단순한 원리를 이용, 면화 솜에서 씨를 분리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당시 기준으로 약 50명의 노예가 할 일을 하루 만에 할 수 있을 만큼 효과가 매우 높았다.


그러자 면화가 대박을 가져다주는 수익성 있는 작물로 순식간에 탈바꿈되었다. 결국 조면기의 발명은 노예제도의 기반을 한층 더 강화시켜주는 효과를 가져왔다.



엘리 휘트니가 만든 조면기 모습 <출처 : 위키피디아>


화의 생산력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자 남부 농장주들은 노예제도의 신봉자에서, 절대적인 지지자로 바뀌었다.


결과적으로 휘트니의 조면기가 더 많은 노예의 삶을 힘들고 비참하게 만든 것이다.


면화산업의 성장과 노예제도의 강화


화산업의 폭발적 성장에 맞춰 노예들은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주었고, 남부 농장주의 욕심은 끝없이 커져갔다.


이들에게 노예가 없는 농장은 결코 상상할 수 없는 일상이 되었다.



1850년경 조지아 면화 밭의 노예 가족  <출처 : 위키피디아>



이제 노예제도는 단순히 사람을 사고파는 범위에서 벗어나 전문적인 매매시장의 범위까지 확대되었다. 50만 명의 노예가 1860년 경에는 400만 명 까지 늘어난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이다.


농장주들은 재산을 늘리듯 노예끼리의 결혼을 통해 자식을 많이 낳게 했다. 


노예의 수를 늘려가며 사고파는 행위가 합법화된 것은 물론 하나의 자산 증식을 위한 상품으로 인식되었다.


한 마디로 사람이 아닌, 말을 하는 가축과도 같은 존재였다.


탈출하는 노예와 1793년의 도망노예법


이러한 상황을 견디지 못한 노예들은 농장에서 자유를 찾아 멀리 도망을 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를 불법적인 행동이라고 공표했고,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 막아 버렸다.



도망친 노예를 잡으면 100달러를 준다는 현상금 포스터 <출처 : 위키피디아>



1793년에 제정된 ‘도망노예법(Fugitive Slave Act of 1793)’은 농장주의 땅에서 탈출한 노예를 다시 되찾아 올 수 있는 권리를 보장했다.


남부에서 탈출한 노예들이 북부로 도망을 가더라도, 노예 주인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었다.


이 법을 통해 자유를 찾기 위해 도망친 수많은 노예들은 붙잡히게 되면 언제라도 남부의 주인에게 되돌아가야 함을 뜻했다.


가혹한 폭행과 심각한 인권 유린


이는 단순히 남부로의 귀환을 뜻하는 것은 아니었다.


심한 경우 목숨을 잃기도 하고 팔다리가 잘리거나 채찍질로 인한 흉터는 기본적으로 생겨났다.



채찍질을 당한 노예 고든의 모습 <출처 : 위키피디아>



당시 미국에서의 노예는 사실상 개인의 자유가 불가능할 정도로 인권 유린이 심각했는데, 부모 중 한 명이 노예인 경우에는 무조건 노예의 삶을 살아야 했다.


태어나는 순간 가족과의 이별을 당연시해야 했기에 심지어는 갓 태어난 아기를 일부로 목을 졸라 죽이는 끔찍한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노예의 고통을 이어 주기 싫어서였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삶의 방향은 정해져 있었다. 순응하거나 멀리 북부의 자유주나 캐나다로 도주하는  이외에는 방법이 없었다.


1850년에 강화된 도망노예법


아울러 매매를 통해 노예를 사고파는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었다. 정부는 이러한 노예의 매매 행위를 법적인 사유재산으로 인정해 주고 있었다.



2차 ‘도망노예법'을 지지하는 그림 <출처 : 위키피디아>



이를 보다 구체화한 것이 정치적 타협으로 생겨난 2차 ‘도망노예법(Fugitive Slave Act of 1850)’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를 보다 못한 북부에서는 지속적인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고 점차 사람들의 의식 속에 노예제도가 종교적, 경제적으로 잘못됐다는 생각이 퍼지고 있었다.


북부의 노예제 폐지 운동 확대와 남부의 저항


1830~40년도를 기점으로 북부의 노예제도 폐지 운동(Abolitionism)이 크게 일어났는데 사회적, 정치적으로 급진주의가 발생한 시기였다.


수많은 개혁가가 노동자의 생활양식과 방식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시점이었다.



1787년 영국의 노예제 반대 캠페인 이미지 <출처 : 위키피디아>



이러한 운동의 중심에는 노예제 폐지가 최우선 행동이었다.  남부는 이에 대해 강력하게 저항하고 있었다.


결국 정치적,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어 북부와 남부의 갈등은 노예제로 인해 계속 깊어져 갔다.


오랜 시간 동안 미국은 노예제도의 갈등과 경제적 여건의 차이로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끌어안고 있는 상태로 질질 끌려오고 있었던 것이다.



이전 07화 갈등의 시작이 된 드레드 스콧 대 샌드퍼드 판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