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n Oct 01. 2023

04 일에 몰입하는 인재를 채용하려면?

HR편

스타트업 CEO인 제이크는 다른 무엇보다 일의 몰입을 중시합니다. 대기업을 다닐 때 딱히 사람들과 관계가 나쁜 건 아니었지만 사교성이 좋은 것도 정치를 잘하는 것도 아니다 보니 조직이 커지면서 일에 몰입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하고 싶은 서비스와 사업에 집중해 보고자 창업을 했고 현재 잘 성장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함께 회사를 성장시킬 직원을 채용함에 있어서도 무엇보다 일에 몰입하고 일에 재미를 느끼는 사람을 채용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그런 사람을 채용할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다른 것보다 일에 집중하려는 사람을 채용하고 싶은 건 모든 창업자들의 바람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에 몰입하는 인재를 채용하고 싶다’의 전제를 살펴보면 해당 기업의 인재상이 [몰입하는 인재]라는 걸 알 수 있어요. 그런데 대부분의 창업자들이 일에 몰입하는 인재를 데리고 오고 싶어 하는 것과 인재상이 몰입하는 인재인 것은 조금 다릅니다. 인재상으로 명문화되어 있는 게 훨씬 적극적인 채용 전략이라고 볼 수 있죠.


어찌됐든 몰입하는 인재를 데리고 오려면 몰입이 무엇인가부터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몰입한다는 건 다른 것에 신경 쓰지 않고, 특정 무언가에 몰두한다는 말인데요. 저는 몰입의 시작점을 두 가지로 보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해당 업무에 관심이 있거나 재미있어서 자발적으로 집중하는 케이스고, 두 번째는 외부 요인에 의해 책임감으로 집중하는 케이스입니다. 관심이 있어서 자발적으로 집중하는 케이스의 경우, 호기심에서부터 출발합니다. 호기심이 생기면 관찰을 하게 되고, 관찰을 하게 되면 더 많은 것들이 보이고 분석되면서 관심으로 발전되는 거죠. 이런 점을 고려하면 살면서 호기심이 있었던 것들이 있었는지, 그 호기심을 어떻게 풀었는지, 관심 있던 걸 치열하게 해 본 적이 있는지가 평가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재미가 아니라 책임감 때문에 몰입하는 사람도 뛰어난 인재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인생은 항상 재밌는 일만 있는 건 아니라서 재미만 찾는 사람들은 흥미로운 일이 아니면 몰입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자발적 몰입 케이스의 취약점이라고 볼 수 있어요. 반면 책임감을 기반으로 몰입하는 사람은 주제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지속적인 몰입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책임감은 소속 집단에 대한 로열티 혹은 개인 역량 평판에 대한 두려움 혹은 윤리적인 신념에서 기반하곤 해요. 이를 고려하면 소속됐던 집단에 얼마나 애착이 있었는지, 동료에게 가장 듣기 싫은 평판은 무엇인지, 동료들과 업무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질문들이 평가 항목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유형의 인재들을 유인하기 위한 방법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문제를 보여주고(자발적 몰입형), 어떤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하길 바라는지(책임감 몰입형)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내용이 채용 공고에 들어가야 하고, 홍보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자유로운 근무 시간이나 휴가, 비용 지원, 동아리 활동, 워케이션 등을 메인으로 내세워 브랜딩 하거나 채용 공고에 그런 내용을 적극적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있습니다. 채용 공고는 인재가 회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파악하는 공간입니다. 즉, 지원자는 공고를 통해 회사를 파악하고, 회사는 공고를 통해 지원자에게 회사를 알리는 거예요. 공고에서 복리후생이나 휴식을 지원하는 제도를 강조한다면 당연히 그런 걸 최우선순위로 두는 지원자들이 지원하게 됩니다.


만약 일에 몰입을 우선하는 사람을 채용하고 싶다면 채용 공고에서부터 현재 부서에서 풀어야 할 문제를 내세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해당 포지션은 어떤 역할과 책임, 권한을 갖게 될지를  보여줘야 합니다. 몰입하는 인재들은 풀어야 할 문제와 해야 할 역할에 집중하기 때문이죠. 원하는 인재를 채용하려면 채용 공고부터 그 인재상에 맞는 내용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ChatGPT에게 물어봤습니다

일에 몰입하는 인재를 채용하려면?

구체적인 직무를 설명한다.

문제 해결과제를 제시한다.

이전 경험과 프로젝트를 파악한다.

면접에서 열정과 몰입도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을 한다.

조직의 문화와 목표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한다.


몰입하는 인재를 채용하기 위한 팁

보통 몰입하는 인재들은 현 직장에서도 몰입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회사에 한 눈 팔지 않는 편입니다. 때문에 다이렉트 소싱을 통해 그런 인재들을 파악해 놓고, 장기적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가야 합니다.

해당 인재들이 몰입이 흐트러지는 상황은 반드시 옵니다. 회사에서 서운하게 했을 수도 있고, 프로젝트가 엎어지거나, 리더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때 이직을 제안해 볼 수 있습니다

이전 03화 03 커리어 보다 회사에 몰입하는 사람을 채용하려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