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8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운명(運命)의 의미

by 캡선생 May 17. 2022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운명과 관련해서 함께 이야기되는 것이 자유의지다. 엄밀하게 이야기하자면 이 둘은 정반대의 개념은 아니지만(뒤에 나올 과학적 관점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명이 정해졌으면 자유의지는 없고, 자유의지가 있으면 운명은 없다"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이야기되기 때문에 세트로 묶여서 언급되곤 한다. 즉 동전의 양면처럼 여겨지는 것이 운명과 자유의지인 것이다.


자유의지(Free Will)와 운명(Fate)은 정반대의 개념으로 이해되곤 한다. 사진 출처: 유튜브 'ISKM TV'자유의지(Free Will)와 운명(Fate)은 정반대의 개념으로 이해되곤 한다. 사진 출처: 유튜브 'ISKM TV'


자유의지는 상당히 중요한 개념이다.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냐 없냐에 따라 도덕을 더 나아가서는 삶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도 달라지기 때문에 수많은 철학자들이 오랫동안 이에 대해 논의해왔다. 그러나 아직도 확실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다.


예를 들어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없다면(모든 게 정해진 거라면) 죄를 지은 사람을 처벌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가 있냐?"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처벌을 한다는 것은 크게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자를 교화하여 '재범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데,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없다면 이 두 가지가 무의미해지기 때문이다.


이쯤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는 분이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자유의지가 있다는 거냐 없다는 거냐?


일단 과학의 입장을 알아보자. 과학은 크게 거시적 세계를 다루는 고전역학(Classical Mechanics)과 미시적 세계를 다루는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으로 나눌 수 있다. 쉽게 말해 고전역학은 눈에 보이는 큰 세계를 다루고 양자역학은 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세계를 다룬다고 보면 될 것 같다.


큰 세계를 다루는 고전역학(Classical Mechanics)과 작은 세계를 다루는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 사진 출처: energywavetheory.com큰 세계를 다루는 고전역학(Classical Mechanics)과 작은 세계를 다루는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 사진 출처: energywavetheory.com


그리고 이 두 역학 모두 자유의지는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고전역학은 결정론적이다. 혼돈이나 복잡계가 갖는 비결정론적 특성은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무지의 산물이다. 따라서 자유의지와 관련한 논의를 고전역학적 틀 내로 국한한다면, 엄밀한 의미에서 자유의지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기 쉽다.

양자역학은 비결정론적이다. 하지만 두 가지 이유에서 자유의지에 대해 부정적인 결론으로 이끈다. 첫째, 완벽하게 무작위적인 결정을 자유의지라고 부르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 둘째, 뇌는 양자역학이 아니라 고전역학의 결정론으로 설명되고 있지 않는가?

- <김상욱의 과학공부> 중 -


한 모임에서 위와 같이 과학은 "인간에게 자유의지는 없다"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고 말했더니 참석자 중 한 분이 화를 내시며 감정적으로 반응한 적이 있다. "절대 그럴 리가 없다"는 말과 함께. 아마도 본인의 삶이 부정당한 느낌이어서 감정적으로 반응하신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위와 같은 과학적 결론을 인정할 수 없는 분들에게 희소식이 있다. 운명학에서는 자유의지에 대해 다른 의견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명리학은 무엇인가? '운명(運命)'이라는 말에 이미 많은 것이 들어 있다. 이 말 자체가 이미 운명은 결정되어 있지 않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운'(運)은 '운용한다, 운전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명(命)'은 주어진 요소들을 가리킨다. '명'과 '운'을 합친 말이 '운명'이고, 이것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명리학'이다.

- 강헌의 <명리> 중 -


비유하자면 과학은 우리를 자동차 뒷자리에 탄 '승객'으로 보는 반면 운명학은 운전대를 잡고 있는 '운전자'로 보는 것이다. 즉 자동차라는 주어진 조건(命:명)은 있지만 그것을 운전할 수 있는 자유의지(運:운) 또한 인간에게 주어졌다고 보는 것이 운명학의 입장이다. 이 지점에서 내가 운명학에 대해 갖고 있던 의심이 관심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다음과 같이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면 나에게 주어진 자동차는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운전하면 좋을까?


<같이 보면 좋은 글>

https://brunch.co.kr/@kap/170

https://brunch.co.kr/@kap/176


Photo by Alex Padurariu on Unsplash





매거진의 이전글 운명이 뭐길래?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