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이 Feb 11. 2023

외노자 알바생이 보는 하와이

시야를 넓혀서 세상 바라보기


돈을 따라가면 세계 역사, 경제, 정치, 사회가 읽힌다고 그랬나. 나도 돈(=알바)을 따라가다 보니 하와이가 한눈에 보인다.


하와이 왕국 100년 사, 외국의 도움을 받아 통일을 이룩한 나라

외세의 침략으로 인해 주권을 빼앗기고, 언어와 문화, 민족의 정체성까지 박탈당했던 슬픈 역사

원주민에게 면역력이 없는 바이러스와 전염병이 퍼져 인구가 84%나 감소했던 아픔을 가진 민족

사탕수수 농장주들의 경제적 이득과, 태평양의 전략적 군 요충지에 대한 필요에 의해 편입된 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보존한 휴양지이자 매년 수백만 명이 방문하는 지상낙원


그리고,

문화 부흥 운동으로 전통 언어, 예술, 관습, 가치관을 조금씩 되찾아 가는 하와이...




1. 크리올 어, 피진 어


내가 하와이에서 공부할 때 어렴풋이 배운 하와이 특유의 언어사.


1800년 대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은 하와이에서 가장 큰 산업이었으며, 그로 인해 하와이만의 독특한 문화가 탄생할 수 있었다. 이 역시 다 돈 때문인데...


1840년 대부터 사탕수수 농장에서 여러 번 파업이 발생한다. 노동에 대한 정당한 보수 지급과 노동자의 생활환경 개선을 요구했다. 하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으니, 농장주가 값싼 외국인 노동력을 수입해 쉽게 대체할 수 있었기 때문.


중국, 포르투갈, 일본, 한국, 필리핀, 스페인, 러시아, 노르웨이 등지에서 이민온 사람들이 농장에서 같이 일하게 된 상황. 이러한 극단적인 세계화 지구촌 환경에서는 모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그 집단에서도 의사소통을 위한 공용어가 필요하였고, 여러 언어가 섞인 단어 위주의 하와이 크리올 어와 문법적으로 조금 더 발전된 피진 어가 탄생했다.




2. 인천-하와이, 한국인 이민 120주년



1900년, 하와이가 공식적으로 미국령으로 합병되면서, 하와이제국의 국민들은 미국 국적을 갖게 되었다. 그로 인해 외국인 계약직 노동자가 불법이 되었고, 당시 상당수 일본인이었던 외국인 노동자가 모여 노조를 만들어 파업을 한다. 


그리하여 1903년 1월 13일, 파업한 노동자를 대체할 새로운 외국인 노동자로 한국인 102명이 하와이에 도착한다. 


초기 이민자들은 이만리 타국에서도 플랜테이션의 힘든 노동을 견디면서도 한국의 독립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잃지 않았다. 독립운동가와 한국전쟁 유공자, 그리고 여성지도자의 업적은 여전히 높게 평가되고 있다.


한인 이민 역사를 공유하는 인천과 하와이는 특별한 관계이다. 하와이 이민 50주년에는, 하와이 한인들의 도움으로 전쟁 중이었던 한국의 공업발전을 위한 교육기관인 인천의 인하대학교를 설립하였고, 하와이 이민 100주년에는, 인천-하와이 자매결연을 맺어 문화 교류와 협력을 도모했다.


2023년, 한국인 이민 120주년을 맞이하였다.




3. 제주-하와이, 화산에 의해 형성된 섬



제주도와 하와이는 1986년 자매결연을 맺었다. 화산섬이라는 지질학적 특성과 환경보전, 문화계승, 관광산업 등 공통점이 많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한다.


하와이 섬 중 오아후는 제주도보다 조금 작고, 빅 아일랜드는 제주도의 5.6배 크기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사탕수수 수확을 위한 과도한 화학비료 사용으로 인해 오염된 하와이의 지하수

군사적 목적으로 자연을 이용한 결과로 잔존하는 환경오염이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한 사건

과학 연구와 기술 발전을 위한 자원의 활용에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생태계 훼손과 전통적 가치 침해

등 여러 문제가 현재진행형이다.




4. 고령화 사회와 의료 시스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수용과 존중은 하와이 만의 공동체 문화가 알로하 정신에 깃들여 있다. 그로 인해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고 소수자를 배려하는 다양한 사회 정치적 현상을 보인다.


미국은 보험이 굉장히 비싼데 심지어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의료 비용까지 상당하다. 게다가 하와이는 물가와 주거비를 포함한 최저생계비가 높은데 소득 수준이 낮아서 전문직 인력이 다들 빠져나가는 추세라고 ㅠㅠ


특히 의사와 간호사와 같은 의료종사자들의 수요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한다. 특히 이번 코로나 때 간호사가 부족해서 본토에서 인력을 보충해와야 했는데 시급 300불을 드리며 모셔왔다고. 하와이에서 일하는 간호사는 연봉도 높은 편이라 정말 좋은 직업이라고 한다. 특히 고령화가 심화된 하와이 사회에서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병인, 사회복지사 등의 직업은 앞으로도 각광받을 것이라고 한다.


또한 하와이는 존엄사 관련 법안(2019년)을 통과시킨 10개 주 중 하나이다.




아름다운 섬 하와이에는 여전히 수많은 쟁점을 품고 있다. 만약 내가 하와이에 오래오래 산다면 고려해야 할 문제도 더욱 많을 것이다. 교육, 복지, 부동산, 환경, 정치 등등. 일단 지금은 잊고 살아야지 정들라.


와우, 하와이 6년 살면서 이렇게 자세히 안 건 처음이네. 역쉬 사람은 돈을 줘야 공부하는구나. 대학원생들이 힘든 이유가 돈을 내고 공부해야 해서였나 보다 ㅠㅠ







https://brunch.co.kr/brunchbook/kim20064789

<남편이 미워질 때 보는 책>

https://m.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Contents.ink?barcode=480D211040150#

<외국인 남편 덕분에 배운 자존감 대화법>

https://class101.net/plus/ko/products/DCNO3sPxKUBstRcB0ui9


매거진의 이전글 “불법체류 하셔서 추방당하게 되실 거예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