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성수 Mar 17. 2021

漢詩를 우리 시로 읽으세요 3

겨울 山寺에서 생긴 일

    山中雪夜산중설야  눈 덮인 산사에서      

                                  李齊賢이제현(1287-1367)     

 

 紙被生寒佛燈暗               종이이불 차갑고 법당 등불도 어두워,    

 沙彌一夜不鳴鐘◎           사미승은 밤중에 종치는 것도 잊었네.    

 應嗔宿客開門早               나그네 일찍 문을 연다고 나무란다면     

 要看庭前雪壓松◎           앞 뜰 눈에 휘굽은 소나무 보고 싶어서-  

                                    <우리시로 읽는 漢詩>     

 

 한 폭의 山寺 설경을 보는 듯합니다. 보통의 서경적인 시가 생동하는 경치를 감각적으로  그려내는 데 열중하는 것에 비하여 이 시는 詩中 인물의 순간적이고, 잔잔한 움직임을 통하여 독자로 하여금 경치를 스스로 상상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수법을 쓰고 있습니다. 화자는 작중 인물의 행동과 산사의 설경을 필연적으로 관련시키면서 자연과 인간이 물아일체를 이루는 경지를 담담하고 간결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 시를 최고의 절창이라고 칭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묘경(妙境)을 번역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고감도의 의역(意譯)이 아니고서는 감당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紙지被피生생寒한佛불燈등暗암.

  紙被는 종이 이불, 生寒은 ‘한기가 서리다’입니다. 면화가 들어오기 전에는 종이를 타서 이불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니 깊은 山寺의 겨울은 더욱 춥기 마련입니다. 이럴 때 佛堂에 켜있는 등불도 밝을 리 없겠죠. 추운 겨울 날씨에 눈까지 내리는데 등불도 어두워야 시의 분위기가 어울릴 것입니다. 이렇게 차가운 겨울밤은 다음 句에서 사미승이 쉽게 잠이 들기 어려운 이유가 됩니다. 그래서 서술어의 어미는 인과관계를 맺어주는 연결어미를 써야 하지만 ‘어두워-’라고 연결어미를 생략하는 것이 더 좋아 보입니다. 佛燈은 부처님 존전의 등이니 ‘법당 등불’이라고 했습니다. 불당보다는 우리 어감으로는 법당이 나을 것 같아서 ‘종이이불 차갑고, 법당 등불도 어두워’라고 했습니다.      

  

  沙사彌미一일夜야不불鳴명鐘종. 

  사미승은 절간에서 잡일이나 심부름하는 중이니 밤중에 법당의 종을 치는 것은 그의 몫입니다. 그런데 不鳴鐘이라 했으니 본래는 ‘종이 울리지 않는다’이지만 시의로 보아서 사미승이 ‘종을 치지 않은 것’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사미승이 맡은 일은 밤이 깊은 후에 새벽종을 울리는 것인데 추위에  밤이 깊어서야 잠들어 종치는 것도 까먹었던 같습니다. 추운 산사의 적막한 겨울밤, 폭설, 여명에 드러나는 설경, 범종소리마저 울리지 않는 고요- 이러한 정경이 시에 옮겨져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정황에서 법고(法鼓) 치는 것을 까먹은 사미승을 나무랄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시인이 여기에서 노리는 것은 사미승과 숙객을 통해서 산사의 경치와 자연과 하나가 된 정경입니다. 이러한 자연합일(自然合一)의 경지에서는 山寺의 종을 울리는 형식적인 절차는 번거로운 일일 뿐입니다. 만약에 여기에서 종소리가 울린다면 오히려 물아일체의 경지가 손상을 입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미승 밤중에 종치는 것도 잊었네.’가 되었습니다.      

  

  應응嗔진宿숙客객開개門문早조.   

  應은 ‘당연히’ ‘틀림없이’라는 뜻이지만 구태여 따로 번역할 필요 없이 추측이라는 詩意로 서술어에 반영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嗔은 ‘성내다’라는 뜻인데 이 장면을 ‘종을 치지 않은 사미승을 꾸짖는다’라고 번역한 예를 보았는데 그래서야 앞서의 모든 시경(詩境)이 깨지고 맙니다. 이렇게 완벽한 물아일체의 경지에서는 지게문을 여는 작은 행동마저도 허용되지 않을뿐더러 그에 대해서 성을 낸다면 또한 속 좁은 행동일 것입니다. 그래서 시인은 지게문을 여는 사소한 행동마저도 山寺의 설경이 손상을 입을 정도로 고즈넉하다는 정경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그러므로 ‘嗔’을 ‘나무라다’로 하고, 그 주체는 주지스님이 아니라 숙객의 행동에 대한 대자연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숙객보다는 '나그네'가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주체 표지 없이 ‘나그네 일찍 문을 연다고 나무란다면-’이라고 했습니다.     

 

  要요看간庭정前전雪설壓압松송.  

  그렇다면 4구는 산사의 나무람에 대한 숙객, 즉 작자의 반응일 것입니다. 여기에서 서술어가 될 수 있는 것은 要看이고 ‘보고 싶어서-’ 정도로 옮겨 보았습니다. 庭前은 ‘뜰 앞’이고, 雪壓松은 ‘ 눈을 흠뻑 뒤집어쓴 소나무’입니다. ‘壓’은 쌓인 눈의 두께를 실감있게 보여주는 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 소나무는 쌓인 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굽어 휘어졌을 것입니다. 결국 숙객이 눈 덮인 산사의 경치를 보기 위해서 문을 열고 나왔다가 그 문 여는 소리를 낸다고 책망을 듣게 되었고, 이에 대한 시인의 변명으로 옮겼습니다. “너무 그리 나무라지 마시오. 눈 맞아 휘어진 노송을 보지 않고서야 어찌 견딜 수 있겠소? 믿기지 않거든 그대들도 나와서 보시지요.” 라는 의미가 아닐까요? 


  실제로 ‘겨울 산사에서 벌어진 일’은 기껏 눈이 많이 내려 쌓인 일이고, 아침에 숙객 하나가 조심스럽게 문을 열어 본 일 뿐입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사실은 고즈넉한 산사와 자연합일로 이루어진 설경입니다. 이렇게 풍부한 시상을 이렇게 짧은 시로 그려냈기에 이 시는 걸작이 된 것입니다. 이 시구가 唐 시인 李商隱의 ‘童子開門雪滿松-동자가 문을 여니 소나무에 눈이 쌓였네.’을 본뜬 것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품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