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미국 국기 - 성조기

성조기에 대한 이해

  나라마다 국기가 있다.

우리는 중앙에 태극 문양이 있으니까 태극기(太極旗).

중국은 붉은(紅) 바탕에 별이 다섯(五星)이라서 오성홍기(五星紅旗).

프랑스는 파랑, 하양, 빨강의 세 가지 색(三色)으로만 구성되어서 삼색기(三色旗).

미국은 성조기(星條旗).

영어로는 Stars and Stripes.

왼쪽 윗부분에 별(Star)이 있으니까 별 성(星).

나머지 부분에 빨간색 일곱 개와 하얀색 여섯 개 도합 열세 개의 줄(Stripe)가 있으니까 줄 조(條).

별(星)과 줄(條)이 있는 깃발(旗), 성조기(星條旗).




  성조기 왼쪽 위 파란 바탕에 있는 흰 별은 모두 50개이다.

별이 50개인 이유는 현재 미국이 50개 주(state)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별 하나에 주 하나인 셈이다.

띠가 열세 개인 이유는 독립 당시의 주가 열셋이었기 때문이다.

즉 미국은 독립 당시 13개 주에서 시작해서 그 후에 주가 더해지고 더해지고 해서 지금의 50개 주가 된 것이다.

그 의미를 성조기에 담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옛날 성조기에는 그 성조기를 만들 당시의 미합중국에 들어온 주의 수만큼만 별이 있기도 하다.

성조기의 별을  51개로 알고 있는 사람을 만난 적이 있다.

왜 그렇게 생각하냐고 물었더니 50개 주에 워싱턴 디씨를 합하면 51이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워싱턴 디씨는 주(state)가 아니다.

주는 50개.

그래서 별도 50개.




  우리 태극기는 네 가지 색을 사용한다.

바탕의 흰색, 태극의 붉은색과 파란색 그리고 네 괘의 검은색.

성조기는 세 가지 색만을 사용한다.

하얀색, 붉은색, 파란색.

이 세 가지 색은 성조기에서 뿐만 아니라 미국의 인기 스포츠 로고에서도 볼 수 있다.

메이저리그 야구(MLB) 로고, 타자가 방망이를 들고 야구공을 노리는 모습인데 여기에도 이 세 가지 색깔이 쓰인다.

전미농구협회(NBA)의 로고, 농구공으로 드리블하는 모습에도 이 세 가지 색깔.

전미 미식축구리그(NFL) 로고에도 이 세 가지 색깔.

그 밖에 이 세 가지 색깔만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을 생활 속에서 만날 수 있다. 





  광복절에 태극기를 다는 방법과 현충일에 태극기를 다는 방법은 다르다.

광복절에는 늘 하던 대로 깃봉과 깃면 상단을 떼지 않고 달지만, 현충일에는 깃봉과 깃면 상단 사이에 깃면의 너비만큼 간격을 두고 태극기를 단다.

이렇게 현충일에 다는 방식을 조기(弔旗) 게양이라고 한다.

그런데 미국은 조기를 게양할 때 우리와 사뭇 다르다.

성조기를 아예 깃대 세로 중간에 단다.

즉 깃대 한 중간에 성조기가 달리는 것이다.

깃대 중간에 달기 때문에 조기를 영어로 표기할 때에는 half-staff 또는 half-mast라고 쓴다.

깃봉에서 깃폭만큼만 띄우는 우리와 달리, 깃봉과 멀리 떨어져서 아예 깃대의 세로 한 중간에 성조기를 다는 미국.





  이곳 미국인 교회 몇 군데를 가보았는데 모두 예배당 한켠에 성조기가 세워져 있었다.

우리하고는 다르다.

한국에서든 미국의 한인 이민교회에서든 예배당 안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것은 우리 정서와 거리가 있는 것 같다.

이곳의 대형 한인교회 몇 곳을 가보았지만 태극기를 게양한 곳을 본 기억은 없다.




작가의 이전글 영원과 진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