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말 이모가 돌아가셨다
이모는 김포 개화리 외갓집 김씨네 세 자매 중 막내였다
큰 이모는 서곳 구래골로 시집가서 살다 돌아가셨고
둘째는 우리 어머니로
인천 고물상을 하던 아버지에게 시집와서 잘 살고 가셨다
셋째 이모는 인천 석바위로 시집가 숱한 궁핍과 싸우느라 고생 많이 하셨다
이제 큰 이모, 엄마, 막내 이모 순으로 순서대로 가신 셈이다
그중 막내 이모가 2남 3녀를 낳아 키우며 끼니가 어려워 제일 힘들게 살았다
이모부는 없는 살림에도 술고래였다
막걸리에 밥 말아먹을 정도로 주태배기
한 번도 깨어 있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막내 이모는 살림이 지난했어도 그런 중에도 제일 밝으셨다
말할 때 보면 늘 웃으며 말을 하셨다
화내는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인자한 모습이 속세를 초월한 보살 같으셨다
세 자매의 우애는 깊었다
서로 보살피고 서로 좋아했다
그 막내 이모가 영면에 들었다
세상을 관조하고 살았던 분이다
아무리 빈곤한 삶이 힘들게 할지라도
웃음을 잃지 않았던 여인이다
그 환한 모습이 쉽사리 떠나질 않는다
우리 집이 간석동 일 때
철마다 무, 배추며 각종 푸성귀를 우마차에 싣고 집으로 날랐다
밭작물은 거의 이모네서 공급해 먹었다
70년대 그 당시 운송 수단은 우마차였는데
시속이 한 10킬로 정도였을게다
소의 걸음은 엄청 느릿느릿했다
오늘 장례 이틀째
인천 연수동 소재 적십자병원
장례식장으로 간다
막내 이모의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할 셈이다
한 편의 드라마 같은 전설이 막을 내리는 길이다
부디 영면하시길 빌 셈이다
곧 세 자매는 저승에서 반갑게 조우할 것이다
잘 살다 왔노라고 서로 반갑게 손을 마주 잡고 반가워할 것이다
치매도 그네가 가는 길은 막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