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인 Oct 24. 2021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가 있을까


 ‘신낙관주의’의 또다른 강력한 내러티브는 우리의 세상이 점점 더 평화로워지고, 민주주의의 물결은 마침내 역사의 승리자가 된다는 것. 특히 스티븐 핑커는, 그의 전작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서부터 뚝심있게 "인류의 폭력성은 감소하고, 더 평화로워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논쟁의 중심에 서왔다.




 인류가 저질러온 폭력 중 가장 극단적인 형태의 폭력은 단연 전쟁이다. «지금 다시 계몽»은, 우리가 점점 평화로워지고 있다는 증거로 가장 극단적 폭력인 '전쟁'이 감소하고 있다고 말한다. «계몽»이 전쟁의 감소세를 보여주는 증거로 인용하고 있는 그래프는 세 개다. 그 중 첫번째 그래프는 1500년 이후 열강 사이의 전쟁 햇수 비율('그림 11.1', p.249)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하지만, 여기서도 스티븐 핑커는 ‘열강 사이의 전쟁 햇수 비율’이 감소한다는 기술적 사실의 의미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맥락을 누락하고 있다. 이 첫번째 그래프가 그려진 기간 동안 "열강 사이의 전쟁”은 줄어들었을지 모르겠지만 그 동시에, 분쟁의 일반적인 양상이 변해왔다. 즉 분쟁의 일반적 성격이 '열강 사이의 전쟁'으로부터 식민지 정복과 내전, 학살 따위로 옮겨져왔다는 중요한 사실관계를 언급하지 않고, "전쟁이 감소"한다며 '평화'의 추세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그 의미를 크게 오도할 수 있다(Guilhot, 2018). '전쟁 햇수'라는 단위도 문제적이다. 같은 기간 동안 발휘할 수 있는 살상력 역시 증가해왔다는 사실관계를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쟁의 종합적인 추이를 파악하려면 최소한, 17세기 열강 간 전쟁과 식민지 정복, 20세기의 내전 등, 살상력의 차이가 큰 서로 다른 형태의 분쟁들을 동일한 차원에서 비교할 수 있는 단위로 그 수를 파악해야 한다. 즉 그 분쟁의 희생자 수를 헤아리는 게, ‘열강 사이 전쟁 햇수 비율’보다 타당한 접근일 테다.


 그럼, 스티븐 핑커는 이런 사실을 몰랐을까? 스티븐 핑커는 불과 몇 페이지 뒤에서 전쟁의 희생자 수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바로 그가 전쟁이 줄어든다는 근거로 인용하고 있는 두 번째 그래프다('그림 11.2', p.252). 단, 이번에는 그래프가 1500년이 아니라 1946년부터 시작한다. 그래프에 의하면, 1946년 이후 전투 사망자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그럼, 1945년 이전에는 비슷한 통계 자료가 없었던 걸까? 그렇지도 않다. 핑커가 인용하고 있는 자료는 전투의 직접 사망자만을 집계하지만, 간접 사망자까지 포함해 그보다 더 긴 시계열을 형성하고 있는 자료가 있다. 핑커가 책의 2부 전반에 걸쳐서 인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그래프가 ‘Our World In Data’라는 웹사이트에 정리되어 있는 자료들로 그려진 것인데, 이 웹사이트에서는 1400년 이후의 분쟁의 직간접 사망자 통계 역시 정리되어 있다. 아래의 그림1이 그 자료를 바탕으로 그려진 그래프다.


그림1. 분쟁 사망자 수


 대략, 17세기 초의 30년 전쟁, 1800년 전후의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등, 몇 번의 큰 전쟁들이 중간의 휴지기들을 끼면서 큰 골짜기들을 만드는 형국이다. 무엇보다, 20세기 전반기에 벌어진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은 그 이전 몇백 년 동안 벌어진 그 어떤 전쟁에 비해서도 높이 솟은 골짜기를 만들고 있다. y축을 로그 스케일로 바꿔준 아래 그림2의 그래프에서는, 갈수록 분쟁 사망자 수가 늘어나는 추세를 우상향하는 추세선을 통해 비교적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스티븐 핑커가 그토록 강조하는 1945년 이후의 '장기 평화'가 그 이전 시대 "전쟁들 사이에 낀 휴식기(«계몽», p. 248)"와는 다른 새로운 "장기적" 추세를 형성하고 있는지는, 그림1이나 그림2의 그래프에서는 불분명해 보인다.


그림2. 분쟁 사망자 수(로그 스케일)


 아래 그림3은 15, 16, 20세기 분쟁 사망자들의 100년 동안의 추세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 한 축 위에서 겹쳐지도록 그린 그래프다(Aguilera, 2020).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이 가장 높은 골짜기를 만들어내는 것은 물론이고, 스티븐 핑커가 강조하는 1945년 이후의 ‘장기적 평화’ 시기의 그래프 역시 15, 16세기의 그래프를 웃돌고 있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3. 15•16•20세기 분쟁 사망자 수(로그 스케일)


(중략)

 



 '신낙관주의'는 '데이터'와 '팩트'에 충실하면 종교와 이데올로기가 오염시킨 세계의 진실을 볼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데이터와 팩트는 결코 스스로 말하는 법이 없다. '탈정치'를 지향하는 스티븐 핑커의 '신낙관주의'는 두 철학자의 비평처럼, "시작할 때부터 망한 프로젝트"다. 건강, '부(wealth)', 삶의 질, 행복, 불평등, 환경, 평화, 민주주의…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인류는 계속 '진보'해왔다는 스티븐 핑커의 '팩트'의 귀결은 이렇다: "우리가 지난 수십년 간 해온 것이 무엇이건, 그것이 분명히 잘 기능하고 있고, 따라서 우리를 지금 여기까지 끌고 온 정치 경제 질서를 고수해야 한다는 것(Burkeman, 2017).” 스티븐 핑커에 의하면, 그 ‘정치 경제 질서’란 곧 ‘계몽’이 낳은 고전적 자유주의였다.


 분명, 핑커의 주장대로 인류는 많은 측면에서 과거에 비해 진보했다. 하지만 매순간 모든 측면에서 진보만 하는 건 아니다. 지금 진행 중인 진보가 앞으로도 줄곧 전개될 지도 확신할 수만은 없다. 진보가 항상 일직선을 그려오지도 않았다. 스티븐 핑커는, 근거 없는 낙관론을 지지할 생각은 없다고 잘라 말한다. 인류가 지금까지 진보를 이루었다는 걸 알고, 지식과 이성을 통해 그 진보를 더 진척시킬 수 있다는 것이 그의 메세지라고 한다. 이런 그의 메세지에 기어코 반대해야 할 이유는 찾기 어렵다. 다만, 정말 ‘진보’를 추구한다면, 그래서 ‘진보’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결코 그의 스토리텔링에 의해 일관되게 매끄럽게 설명되지 않는 그 사실관계에 대해서 우리는 더 예민해져야 한다. 계몽이 곧 고전적 자유주의는 아니며, 계몽의 진보가 곧 자유주의의 성취는 아니다.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저 데이터를 들여다보면 된다는 순진한 ‘신낙관주의’의 주장에 대해서는, 어떤 데이터도 그 스스로 혼자 말하지는 않는다는 걸 새삼 상기시켜보자. 빈곤, 평화, 민주주의에 이르기까지, ‘신낙관주의’가 주장하는 ‘팩트’에는 항상 신낙관주의자들의 해석의 층위가 있었다. ‘신낙관주의’의, 혹은 핑커의 기대와는 달리, 어떤 사실도 사람들의 이해관심 바깥에서 개체적·원자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빈곤과 건강, 수명, 교육, 행복, 평화와 민주주의 등, 사회 지표들의 ‘진보’에 관심이 있다면, ‘신낙관주의’ 일각의 물신적 팩트주의가 질식시킨 사실관계의 함의를 복원하고, ‘신낙관주의’의 정치적 귀결을 제대로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작업은 곧, 사실관계에 기초한 합리적 정치 커뮤니케이션을 모색하는 진보적 실천이기도 할 것이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7479373&memberNo=29538049


이전 10화 복지국가가 더 행복할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