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계원 May 12. 2021

빨래방은 어디까지 진화할 수 있을까?

최근에 내가 산 가전제품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이 무엇이냐? 고 묻는다면 단연코 의류 건조기라고 할 것이다. 의류 건조기를 사고 싶은 마음은 몇 년 전부터 있었다. 그렇지만 햇살에 그냥 놓아두어도 빨래는 잘 마르는데, 비싼 돈 들여서 건조기를 사고 전기료 써 가면서 빨래를 인공적으로 말릴 필요가 뭐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구매를 몇 년간 미루어 왔다. 그런데 망설이다가 의류 건조기를 사고 나니까 신세계가 열렸다. 비 오고 날씨 안 좋은 날 빨래 말리는 걱정에서 완전히 해방되었고, 그날 한 빨래를 바로 건조해 입을 수 있어 여분의 옷을 더 이상 사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이면서 환경친화적인 효과는 덤으로 얻었다.


그런데 비싸고 덩치 큰 세탁기와 건조기를 꼭 사야 할까? 집도 좁은데 대형 가전제품이 집의 소중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공간 낭비라는 생각도 들었다. 요즘은 집 근처 가까운 곳에 빨래방이 많이 생겼다. 운동화 빨러 빨래방에 가면서 빨래방이 이렇게 진화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1. 빨래방의 필요성


대부분의 도시 아파트 집들은 공간이 좁은데, 넘치는 옷들로 인해 방마다 놓인 옷장, 큰 세탁기와 건조기, 펼치면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빨래 건조대, 다리미대 등 의류에 관련된 가전 가구들이  좁은 방 하나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집집마다 이런 의류 관련 제품들을 다 완벽하게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을까? 특히 좁은 원룸의 경우에는 세탁기, 건조기, 빨래 건조대, 다리미 등 의류 관련 가전 가구만 빼도 집에 공간적 숨통이 트인다. 식구가 적은 1~2인 가구의 경우에는 일주일에 한두 번 하는 빨래를 위해 좁은 원룸에 이런 가전제품들을 다 구비해 놓을 것이 아니라 근처 빨래방에서 해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다.


3~4인 가구의 경우에도 평상시에 자주 하지 않는 큰 이불 빨래를 위해 대용량의 세탁기와 건조기를 살 것이 아니라, 집에는 식구수에 적합한 용량의 세탁기를 쓰고, 큰 용량의 빨래는 빨래방에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내 경우에는 집에 세탁기와 건조기가 있지만, 운동화를 빨러 가끔씩 빨래방에 간다. 집에서 손세탁으로 운동화를 빨면 햇볕에 놓아두어도 신발안까지 신속한 건조가 어려워 신발에서 안 좋은 냄새가 났다. 물론 집의 세탁기와 건조기를 이용해서도 운동화를 빨 수 있지만, 가족의 수건이나 속옷을 빠는 세탁기와 건조기에 운동화까지 같이 빨고 싶지 않아서 빨래방을 이용한다.  빨래방에는 운동화 전용 세탁기와 건조기가 있어서 1~2시간 안에 금방 세탁 건조가 된다. 기존에는 세탁 때문에 여분의 운동화를 샀었는데, 요즘은 그날 세탁해서 바로 신기 때문에 여분의 신발을 많이 사지 않는 장점도 있다.


운동화 세탁기 건조기


요즘 내가 눈독 들이고 있는 가전제품은 스타일러 또는 에어드레서라고 하는 의류관리기이다. 한두 번 입은 겉옷을 빨기도 애매하고 그렇다고 그냥 입기에는 냄새나고 찝찝할 때 사용하기 딱 적합한 가전제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모직 의류 같이 일반 물빨래도 어렵고 세탁소에 가야만 했던 의류의 경우에는 에어드레스에서 관리하면 세탁소 가는 비용도 줄이고 의류 손상도 많이 줄일 수 있다.


그런데 큰돈 들여서 세탁기, 건조기, 에어드레서 등을 집에 다 사놓고 싶지는 않다. 빨래방에 가서 동전 넣고 필요할 때만 한 번씩 이용하고 싶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020801072303024001


2. 빨래방의 단점


물론 빨래방은 장점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직접 이용해 보았더니 단점도 많이 보였다.


첫 번째로 가격이 비싸다. 한번 이용하는데 보통 4~5천 원이 든다. 세탁에서 건조까지 다 끝내려면 8천 원에서 1만 원 정도가 든다. 1주일에 한 번씩 이용한다고 해도 1년이면 4~5십만 원이 든다. 1~2백만 원짜리 세탁기와 건조기를 사서 10년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두 번째로는 이동이 번거롭다. 집에서는 그 자리에서 세탁하고 건조할 수 있지만, 세탁방은 빨랫감을 싸 들고 가야 한다. 같은 건물 안에 있으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부피가 큰 세탁물을 들고 걷거나 자동차를 가지고 이동해야 한다. 적어도 일주일에 1~2번은 세탁하러 가야 한다면, 부피 큰 세탁물 들고 다니는 것이 분리수거장에 쓰레기 버리러 가는 것보다 더 번거로운 일이 될 것 같다.


세 번째는 기다리는 시간 낭비가 많다. 집에서는 세탁 건조하는 동안 TV도 볼 수 있고, 낮잠도 잘 수 있고, 밥도 먹을 수 있고, 그 외 많은 다른 활동들을 할 수 있어 세탁물 기다리는데  따로 시간을 쓸 필요가 없다. 그런데 빨래방에서는 특별히 할 일이 별로 없다. 휴대폰을 보거나 하면서 멍하게 1~2시간 기다리고 있다가, 완료되면 찾아와야 한다. 물론 중간에 다른 볼일을 보러 나가도 되지만, 빨래하고 나서 중간에 수동으로 건조기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멀리 갔다 오기도 어렵다.


네 번째는 창업비용이 많이 든다. 빨래방은 이용자뿐만 아니라 창업자에도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드는 구조이다. 초기 투자 비용이 1억 이상 들기 때문에 쉽게 폐업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 쉽게 생각하고 셀프 빨래방 문을 열었다가는 투자비 회수도 어려울 수 있다. 빨래방 창업에 대한 비용은 한화투자증권의 아래 블로그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https://m.blog.naver.com/trihanwha/221663898590


3. 빨래방이 진화할 방향은?


빨래방에서 식구들 운동화 빨면서 빨래방이 진화할 방향을 다각도로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는 공유경제를 활용한 경제성 확보이다.  가정집에 큰 세탁기와 건조기를 놓고 일주일에 한두 번만 사용한다면 감가상각비를 고려한 원가가 많이 들어가게 되고, 집의 공간을 차지하는 비용까지 고려하면 생각보다 큰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빨래방에 놓인 세탁기와 건조기를 하루에 1명이 사용할 경우와 하루에 10명이 사용할 경우의 감가상각비와 임대료를 고려한 1회 요금의 원가는 다를 것이다. 지금보다 빨래방 이용자가 많아지고 공급자도 늘면 수요공급의 시장 논리에 맞추어 이용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 집에서 빨래할 때의 원가보다 경제성이 좋아질 수 있다. 또 안마의자도 비싼 의자를 집에 사놓고 일주일에 몇 번 사용하지 않으면 낭비고 집에 공간만 차지한다. 빨래방에 놓고 천 원 미만의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하게 해도 이용자 수만 많아지면 경제성이 확보될 것이다. 공유경제적으로 생각하면 내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쉽게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줄이고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의류 관련 가전제품의 완비이다. 빨래방에 세탁기, 건조기뿐만 아니라, 의류관리기, 신발관리기 등 의류와 신발을 위한 풀 가전제품이 완비되어 있으면 좋겠다. 얼마 전에 삼성전자와 LG전자에서 신발관리기라는 새로운 가전제품을 곧 출시할 계획이라는 뉴스를 보았다. 집에서 다 구매해서 쓰기 어려운 제품들을 빨래방에서 한꺼번에 이용 가능하면 좋을 것 같다. 


http://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33816


세 번째는 공간 이용의 복합화이다. 단순히 빨래방 역할만 하지 말고, 다용도면 좋겠다. 기다리는 동안 커피도 마실 수 있고,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카페도 같이 운영했으면 좋겠다. 또 기다리는 동안 책도 한 권 읽을 수 있으면 좋겠고, 안마의자도 이용 가능했으면 좋겠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빨래방 이용법은 주말에 느지막이 일어나서 빨아야 할 빨랫감을 들고 빨래방에 와서 돌려놓고, 그 사이에 금방 내린 커피 한잔과 브런치를 먹으면서, 읽고 싶었던 재미있는 책이나 잡지를 한 권 보는 것이다.  중간에 피곤하면 안마의자에서 피곤을 풀고, 족욕기에서 족욕을 해도 좋을 것 같다. 이렇게 빨래하면서, 식사도 해결하고, 책도 읽고, 피로도 풀고 하면 주말 한 나절을 여유롭게 잘 보낸 것 같은 느낌이 들 것 같다. 이런 복합 공간이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에 생겨도 좋을 것 같다. 또 기존의 세탁소들도 세탁소+빨래방+북카페 등을 같이 하는 방식으로 복합 공간으로 재탄생해도 좋을 것 같다. 생각해 보면 기발하고 다양한 복합화 방식이 있을 것 같다.


빨래방이 어디까지 진화할 수 있을지 그 끝은 누구도 모를 것 같다.


글 : 이계원(공유경제연구소 대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