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란초 Aug 04. 2021

사랑이라고 느끼는 순간

오래 참음

자녀를 키우며 여러 가지 기술력이 상승했다. 멀티태스킹 능력이라든지, 독심술, 복식호흡을 이용한 창법 등등. 육아를 하며 얻게 된 인격 '오래 참음'이라 할 수 있겠다.


   천방지축 아이들을 데리고 하루를 살아내기에 인내력이 부족하면 하루가 삐걱거릴 때가 많다. 여전히 '쓰읍' 소리와 함께 '엄마가 열 센다. 하나, 둘..!'이라고 하거나 '엄마가 몇 번 말했어!'라고 할 때도 많다. 그러나, 요즘 아이들을 대하며 아이들이 사랑을 느끼는 순간은 그 임계점을 넘을 때 엄마의 반응을 통해서라는 걸 깨닫게 된다. 첫째 아이가 '사랑해주셔서 감사해요.'라고 말하는 순간들을 떠올려봤다.


   자기 전, 한 시간 가까이 책을 읽어줘도 '한 권만 더 읽어주시면 안돼요?'라고 묻는다. '그만 자자'라는 말을 꾹 누르고 한 권 더 읽기 시작할 때 '엄마, 사랑해주셔서 감사해요.'라고 한다.


   운동화를 신고 나갔는데 불편하다며 운동화 끈을 계속해서 다시 묶어달라고 한다. 세 번까지는 괜찮다가도 네 번째가 되면 '불편해도 좀 참아봐'라고 말하고 싶지만 꾹 참고 소리 없이 운동화 끈을 고쳐줄 때 '엄마, 저를 사랑해주셔서 감사해요'라고 한다.


   놀이터에서 '5분만 더 놀게요'를 이미 수차례 반복해도 마지막 한 번을 참지 못하고 다그치면 그날의 외출은 행복한 결말을 맺지 못할 때도 있다.


   첫 째는 정말 가만히 있지 않는 아이였다. 돌 무렵, 걷기 시작하며 한시도 가만히 있지 않고 돌아다니던 때가 있었다. 따라다니기 너무 힘들었는데 한 어르신이 지나가며 그런 말씀을 하셨다. '오 리를 가자하면 십 리를 가줘야지.'


   그 말의 뜻을 이제는 조금 알 것 같다. 아이들도 어느 정도가 엄마의 한계인지를 안다. 그 이상을 내어줄 때 아이들은 그걸 '사랑'으로 느낀다. 한 번 더 수용받을 때 아이들의 마음이 커진다고 생각한다.


   근력 운동을 할 때와 마찬가지다. 정말 한계라고 느낄 때 '한 번 더' 동작을 하면 운동이 되는 것처럼, 내 인내심의 한계를 넘어 '한 번 더' 참고 아이들의 마음을 채워줄 때 내 마음의 근육이 자란다. 수용받는 경험들을 통해 아이들의 마음도 한 뼘 더 자라 있겠지!

매거진의 이전글 가까운 사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