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무용지물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줄타기인생 Jan 05. 2020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짧은 생각

그냥 학문적 영역에 무지한 일반시민 입장에서 보면...

 식민지 근대화를 둘러싸고 논쟁이 일어날때마다 양 측 모두 '근대화'에 대한 컴플렉스가 있다고 느껴지는 건 나만 그런가? 식민지 근대화론자도 반대론자들도 근대화를 긍정적인 이미지로 간직하고 있다. 막 나라가 부강해지고 시장이 발전하고 뭐...박정희가 얘기한 그런 근대화 맞지요?


 식민지 근대화론자들은 일제강점기 덕에 한국의 발전 기틀이 마련됐다고 주장하는 이들 같고. 반대론자들은 한국이 근대화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었는데 일제강점기때 강탈당했다 혹은 일제강점과 무관하게 독립 이후 근대화가 이뤄졌다. 이런 주장을 하는 인상을 받는다.

근데 제 3의 영역도 분명히 있다. 근대화를 그냥 어떤 사실관계로 파악하고 그것이 강제적이건 무엇이건 간에 일제강점기를 통해서 기틀이 마련되거나 이식됐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인데 사실 나는 이 입장이 더 정확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꽤 오래 해왔다. 조선이 할 수 있었는데 못했어. 이런 가정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조선은 망할만 해서 망했다. 여운형 선생도 독립운동 초기 체포됐을때 '망할만 했던 정부여서 망했다'고 하셨다던가. 그런 아쉬움의 풀이는 대체역사소설이 할 일이지요. 그리고 그 맹아론이 학문적으로 아직까지 유효한지도 궁금하고.


 일본이 남긴 공장이 유효했나 아니냐에 대해서도 ‘다 쓰레기 같아서 쓸 게 없었다'고 했으나 실제 통계를 뜯어보니 영향력이 컸다는 반론도 결국 있었다. 그렇다면 도대체 그 '근대화'라는 것은 무엇인가. 고작 이런 수준이라면 너무 지금까지의 논박들이 허망하지 않은가?

 근대화가 없었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건 어떤 의미인가? 그건 내가 이해하기는 이런 의미다. 일제강점기때도 시장 형성이 안됐고, 노동력도 조직되지 않았으며, 그에 따른 개개인의 자아형성이나 민족의식 형성도 실패했고, 산업도 없었다. 그 정도 되어야 근대화 실패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분명 일제 강점기때의 변화가 있었을 텐데. 그걸 부정할 수 있는가.


 역으로 또 다른 생각을 해보자면, 일제 강점기가 근대화에 기여했다면 일제가 가했던 폭력은 사라지지 않는 것인가? 이는 별개의 문제인데 마치 공과판단처럼 얘기하는 것도 내가 볼때 오묘하다. 이를 테면 식민지 합병이 합법이냐 불법이냐...이런 논의를 하는 거 자체가 웃긴 것 처럼. 법의 틀을 벗어나 그냥 세계사적 관점에서 폭력적인 행위인 것이지 근대화 여부가 피식민지 억압을 정당화시켜줄 수는 없다.


 다들 근대화라는 목표에 대해서 강박을 가지고 이 문제를 해석한다는 인상을 나는 버릴 수 없다. 일제때 근대화가 됐으면 또 뭐 어떤가? 인간 삶과 역사라는 게 원래 그렇게 아이러니 한 것 아닌가. 현재의 한국사회가 자랑삼을 만한 것들은 그러한 아이러니 하에서 한국사회가 어떻게든 성취한 게 아닌가? 이 기사에서 나오는 '일제 강점기에도 조선인의 삶이 궁핍했다'는 것이 과연 근대화가 없었다는 반박이 될 수 있는가? 박정희의 근대화는 보릿고개를 없앴고 한국인이 수행한 것이니 모두 다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인가...내 생각에 수탈과 차별은 근대화의 과정에 있어서 분리할 수 없는 것이다. 일본이 무진전쟁 과정에서 내부에서 벌였던 폭력은 조선 식민지 형성 과정에서 응용됐고, 이후 한국의 1960~1980년에서도 흔적을 남기지만 그렇다고 이게 조선반도에서만 일어났던 일인 것도 아니다. 그 모든 고난을 겪고 21세기의 한국은 근대화가 됐는가? 독립국가 대한민국에서 같은 한국인에 의해 발생하는 수탈과 차별은 무엇인가? 그것은 착한 수탈?...그냥 물음표가 가득가득한 주제일뿐.


매거진의 이전글 긴 문장. 짧은 문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