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국희 Sep 08. 2021

부정적 경험을 피해야 행복일까?

부정적 경험의 이유와 그 후에 어떻게 대처했는지가 핵심!

우리는 늘 기분 좋은 일만 경험하면서 살 수 없다.


내 뜻대로 되는 일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일도 있고(때로는 내 뜻대로 되지 않을 때가 더 많고)

우연히 돈을 줍기도 하지만, 우연히 돈을 잃어버리기도 하며,

누군가 좋은 관계를 유지하지도 하지만, 누군가와 싸우거나 갈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렇게

길을 잘 걸어갈 때도 있지만,

튀어나와 있는 보도블록에 걸려 넘어지기도 하는 것이 우리 인생이다.

길을 잘 걸어갈 때는 기분이 좋고,

튀어나온 보도블록에 걸려 넘어질 때는 기분이 나쁘다.


그런데 말이다. (넘어지지 않고) 길을 잘 걸어가는 것은 좋은 일일까?

반대로 튀어나온 보도블록에 걸려서 넘어지는 것은 나쁜 일일까?


쉽게 말해, 나를 기분 좋게 만들어주는 일은 좋은 일인가?

내 인생 전체로 봤을 때, 진정으로 나를 행복하게 하는 일인가?


반대로, 나를 기분 나쁘게 만드는 일은 나쁜 일인가?

즉 내 인생 전체로 봤을 때, 진정 나를 불행하게 만드는 일인가?


우리는 인생에서 이런 질문을 하고 어떤 답을 내리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는 질문이 잘못되었다.

잘못된 질문에 대한 답을 하는 것은 역시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기 쉽다.

이런 잘못된 질문은 일단 질문을 제대로 고친 후에 다시 살펴보아야 한다.

그럼 올바른 질문은 뭐냐고?


긍정적 사건을 경험한 이유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사건에서 나는 무엇을 학습했으며, 좋은 기분을 어떻게 관리했는가?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이유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사건에서 나는 무엇을 학습했으며, 나쁜 기분을 어떻게 관리했는가?

이것이 올바른 질문이다.


좀 더 살펴보자. 긍정적 기분을 유발했다고 우리에게 늘 좋은 건가? 아니다.

누군가를 괴롭히고 긍정적 기분을 느끼는 사람은 잠재적으로 범죄자가 될 수 있다.

마약을 하고 기분이 좋은 것은 그 사람의 정신과 신체를 파괴한다.

아무리 기분이 좋아도 아이스크림만 먹고살거나, 캐러멜 마끼야토만 먹고살면,

비만과 당뇨병에 걸려서 수명이 단축되고, 건강에 문제가 생긴다.

담배를 피우고 기분이 좋은 것은 장기적으로 그 사람의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술을 먹고 기분이 좋은 것은 장기적으로 그 사람을 치매에 걸리게 만들 수 있다.


어떤가? 기분 좋은 게 다 좋은 건가? 아니다.

기분 좋은 원인이 무엇인지에 따라 그것에 대한 평가가 달라져야 한다.


운동을 하고 좋은 기분을 느껴야 좋은 것이다.

생산성 있는 일을 하고 좋은 기분을 느껴야 좋은 것이다.

공동체에 기여하는 일을 하고 좋은 기분을 느껴야 좋은 것이다.

부모님께 사랑한다고 말하고 좋은 기분을 느껴야 좋은 것이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먹고 좋은 기분을 느껴야 좋은 것이고,

책을 보고 새로운 것을 깨달으면서 좋은 기분을 느껴야 좋은 것이며,

산책을 하거나, 음악을 들으면서 좋은 기분을 느껴야 좋은 것이다.


Photo by bruce mars on Unsplash


이런 일도 흔하다.

콘서트에서 광란의 밤을 보냈다. 너무 좋았다. 그런데 다음날 너무 허무해졌다.

여행을 가서 신나게 구경하고 놀았다. 그런데 돌아와서 너무 허무해졌다.


이렇게 하면 어떨까?

콘서트에서 광란의 밤을 보냈다. 다음날 콘서트에 대한 일기를 쓰고,

콘서트에서 있었던 진행 순서에 따라 다시 음미해보았다.

콘서트에서 찍은 사진 등을 정리하면서 추억을 더 풍성하게 만들었다.

콘서트의 의미와 가치도 생각해보았다. 계속 기분이 좋았다.


여행을 가서 신나게 구경하고 놀았다. 돌아와서 날짜별로 일기를 쓰면서 기억을 더듬어보았다.

사진을 정리하면서 여행을 음미하였다.

멋진 추억을 만들어준 사람들에게 감사하는 마음도 품어보았다.

여행의 의미와 가치도 생각했다. 계속 기분이 좋았다.


그럼 부정적 기분을 유발하는 건 어떤가? 나쁜 건가? 아니다!

특별 과제를 하다가 피곤해졌다. 이렇게 해서 인센티브를 얻게 된다.

매일 동일한 생활 패턴으로 공부하고 일하는 것이 지루하다. 하지만 이것이 내 삶에 도움이 된다.

매일 건강식을 먹으려니 좀 힘들다. 그러나 이것이 내 건강을 지켜준다.

업무상 갈등이 있는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껄끄럽다. 그러나 이 사람과 대화를 잘해야 일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양질의 자료를 얻기 위해 신경을 썼다. 프로젝트를 따냈다.


돌부리에 넘어져서 다쳤다.

그리고 앞으로는 조심해서 살펴야 하겠다는 것을 학습했다. 그럼 좋은 거다.

시험에서 기대한 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았다.

앞으로 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는 것을 학습했다. 그럼 좋은 거다.

옷을 따뜻하게 입고 다니지 않아서 감기에 걸렸다.

앞으로는 옷을 따뜻하게 입어야겠다는 것을 학습했다. 그럼 좋은 거다.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었다. 죄책감을 경험하였고, 다른 사람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어떤가? 아직도 기분 좋은 일은 좋은 거고, 기분 나쁜 일은 나쁜 거라고 생각하는가?


아니다. 기분 좋은 일이 진짜 좋은 일이 되려면,

그다음의 관리와 평가가 중요하다.

의미 있고, 가치 있고,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에서 기분이 좋아야 좋은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건 오히려 나쁜 것일 수 있다.


기분 나쁜 일도 그 다음의 관리와 평가에 따라 좋은 일이 될 수 있다.

의미 있고, 가치 있고,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에서 기분이 나쁘다면, 사실 좋은 것이다.

그리고 기분 나쁜 일에서 학습을 했다면, 배웠다면,

그리고 더 좋은 방향으로 변하게 되었다면, 그건 좋은 것이다.


긍정적 경험만 추구하고, 부정적 경험을 피하는 것은 우리를 오히려 불행하게 할 수 있다.

의미 안에서 재미를 추구하고, 의미로 재미를 재평가하고 관리할 때 진정 행복해질 것이다.


*참고문헌

Delle Fave, A., Brdar, I., Freire, T., Vella-Brodrick, D., & Wissing, M. P. (2011). The eudaimonic and hedonic components of happines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indings. Social Indicators Research100(2), 185-207.


Fowers, B. J. (2016). Aristotle on eudaimonia: On the virtue of returning to the source. In Handbook of eudaimonic well-being (pp. 67-83). Springer, Cham.


Henderson, L. W., & Knight, T. (2012). Integrating the hedonic and eudaimonic perspectives to more comprehensively understand wellbeing and pathways to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2(3), 196-221.


Huta, V. (2016). Eudaimonic and hedonic orientation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research findings. In Handbook of eudaimonic well-being (pp. 215-231). Springer, Cham.


Huta, V. (2017). An overview of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concepts. In L. Reinecke & M. B. Oliver (Eds.), The Routledge handbook of media use and well-being: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ory and research on positive media effects (p. 14–33). Routledge/Taylor & Francis Group.


Huta, V., & Ryan, R. M. (2010). Pursuing pleasure or virtue: The differential and overlapping well-being benefits of hedonic and eudaimonic motive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11(6), 735-762.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52(1), 141-166.


Waterman, A. S., Schwartz, S. J., & Conti, R. (2008). The implications of two conceptions of happiness (hedonic enjoyment and eudaimonia) for the understanding of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9(1), 41-79.


*표지 사진 출처

Photo by Zhuo Cheng you on Unsplash

작가의 이전글 행복에는 행복이 없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