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호성 Jul 18. 2016

최진 이야기

완벽을 추구하는 허술한 아가씨

최진님은 내가 처음으로 만난 UX 기획자다. 지난 회사에서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가 나올 때마다 했던 이야기가 있다.

A: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시작합시다!"
B: “그럼 기획은 누가 하나요?"
A: “적당히 나눠서 해야죠."

나에게 기획자라 하면 개발해야 할 것을 완벽하게 정리해서 가져다주는 마법사였다. 하지만 당시 그 일을 해줄 수 있는 사람은 없었고 매번 그 지점에서 갈등이 생기곤 했었다.


8퍼센트에 처음 왔을 때 “오. 이 회사에는 기획자가 있네?”라고 생각했었다. 밑도 끝도 없이 일하기 편하겠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당시만 해도 기획자에게 어떤 결과물을 기대해야 하는가? UI와 UX는 어떻게 다른 건가? 기획자와는 어떻게 일하는 것이 좋은가? 등등을 전혀 몰랐었는데 이제 진님을 통해서 하나씩 배워가고 있다. 어떻게 생각해 보면 B2B 플랫폼 개발자에서 B2C 서비스 개발자로 바뀌면서 알아야 할 것들을 배워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내가 기획 했으니 너는 들으라. (이효진 대표님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요.)

자 그럼 내가 8퍼센트의 최진님을 통해서 알게 된 'UX 기획자의 역할'을 살펴보자. (내가 잘못 알고 있다면 진님 탓이다)


사람들을 토론의 장으로 데려온다.


기존까지 생각하던 기획자는 모든 것을 고려한 이후에

개발자: “더 이상 변경은 없는 거죠? 이대로 개발만 하면 되는 거죠?”
기획자: “네!"

를 할 수 있는 문서를 건네주는 사람이었다.

이렇게 마법같이 한번에 최적의 솔루션을 찾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제는 기획자에게 기대하는 바가 달라졌다. 100%를 한 번에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고, 혹시나 가능하더라도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도 알고 있다. 60%를 빠르게 만들어서 회사 내 구성원들을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이 기획자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은 어렵다. 당연히 그 상태에서는 생산적인 논의도 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해 놓은 것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은 다들 손쉽게 하지 않는가. 기획자가 가져온 초안을 바탕으로 CS팀은 고객이 되어 기능을 검토하고, 그래픽 디자이너는 결과물을 상상하고, 개발자는 다른 모듈과의 연관성, 사용해야 할 라이브러리를 검토한다. 여기서 부터가 적극적인 시작이다.

8퍼센트의 연결고리 최진. 직접 그린 그림에서 힙합 매니아임을 알 수 있다

좋게 말하면 8퍼센트에서는 최진을 중심으로 일이 돌아간다. 하지만 실제는 그냥 이리저리 치이고 여기저기 불려 다니는 인터럽트 인생이다.

답을 찾아 준다.

그냥 주는 것이 아니라 찾아 준다는 것이 중요하다. 제품을 만들다 보면 결정해야 할 것들이 너무나도 많다. 버튼의 위치, 폰트의 크기, 안내 문구, 페이지 전환을 할 것인가? 에러 상황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등등. 이런 질문들에 대해 답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명확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디자인을 할 때 “이런 식의 구현이 가능한가요?”라고 물으면 개발자가 답을 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고객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 주는 것이 기획자의 역할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 답은 영업팀에서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고객서비스팀에서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그 질문을 기획자에게 던지고 기획자는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준다.

프로덕트 팀의 피어리뷰 시간에 아기새님이 진님에게 전달한 피드백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걷는다.


요구사항의 정리부터 기획, 디자인, 개발, QA, 릴리즈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지켜보는 한 사람이 있다. 기획자다. 이 사람이 제 역할을 하지 않으면 '방과 방 사이' 같은 일이 발생한다. 기획자는 프로젝트를 시작되게 한 고객의 요구사항이 정확히 다시 고객의 손에 전달될 때까지의 과정을 지켜본다.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걸으며  방향이 빗나갔을 때에는 바로잡고 놓친 사용자 패스가 있을 때에는 이를 채워 넣는다. 때로는 최초의 가정이 틀렸을 때 빨간 버튼을 눌러 컨베이어 벨트를 멈추는 역할을 한다. 결국 모든 과정이 완료되어 고객에게 제품이 전달되었을 때 기획은 끝이 난다.

제품에 대한 책임을 진다.


원래 결정하는 자가 책임을 지는 법이다. 제품이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얻지 못할 때 사람들은 그 책임을 돌릴 곳이 있다. 기획자다.

쟤가 그렇게 하라고 했어요. (흥. 난 몰라)  

물론 8퍼센트는 그 책임을 서로 미루지 않고 다 함께 진다. 하지만 진님은 그 책임을 무겁게 느끼고 있다. 외부에서 쓴소리가 들려올 때 받는 스트레스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정도가 내가 생각하는 UX 기획자가 하는 일이다. 다른 회사의 UX 기획자가 하는 일과 얼마나 다를지는 모르겠다. 크게 깨닫지 못하고 있었는데 글로 정리하고 보니 UX 기획자는 서비스를 만드는 회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사람이다. 새삼 감사한 마음이 든다. 사실 진님은 지금까지 이야기한 UX 기획 외에도 UI 설계도 함께 맡고 있다. 진님이 8퍼센트에서 하는 일을 좀 더 알고 싶다면 진님이 직접 쓰신 글을 읽어 보자.


진님은 브런치에 글을 쓴다. 무려 나보다 5배나 많은 구독자를 가지고 계신 인기 작가(질투로 인해 표현이 좀 꼬인 것을 이해해 달라) 이시니 램프의 요정 GENIE의 브런치를 방문해 보시길 바란다. 직접 그린 그림과 함께 글을 쓰시기 때문에 브런치 메인의 웹툰 작가 리스트에서도 종종 찾을 수 있다. 때로는 긴 글 보다 한 장의 그림이 훨씬 더 많은 것들을 전달할 수 있음을 알기에 참 부러운 능력이다. 그러고 보니 진님의 추천으로 나도 개인 블로그에서 브런치로 넘어와서 재미있게 글을 쓰고 있으니 이 자리를 빌려 감사함을 표해야 하겠다. 진님의 구독자 수를 따라잡을 때까지 열심히 해보겠다.


청순한(?) 외모도 갖고 있고 일에서는 완벽을 추구하지만 신은 역시 공평하다. 사람이 허술하다. 어떻게 허술하냐고 하면 일단 동영상을 보자. 동영상이 많은 것을 이야기해준다.

그 누군가는 이렇게 말했다.

처음에는 시크한 이미지여서 다가가기 어렵지만 조금만 지나면 이런 허술한 점들을 아주 손쉽게 발견할 수 있어서 사람들을 편하게 해주는 반전 매력이 있다.


처음에 진님과 일을 했을 때에는 자신의 기획안에 대한 불안감과 일을 이끌어 나가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느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그런 것들이 점점 느껴지지 않는다. 발전하고 있다는 증거다. 진님은 자신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한다. 그 질문을 내게 던진다면 내가 만나본 유일한 UX 기획자이기에 진님이 UX 기획자로 어디쯤에 있는지 나는 잘 모르겠다고 답해야겠다. 하지만 지금처럼 치열하게 고민하고 노력한다면 내가 만난 최초의 UX 기획자가 최고의 UX 기획자로도 남을 것이라고는 확실히 말해줄 수 있겠다.


진님의 인생사진으로 마무리!



같이 일하는 동료에 대한 글을 쓰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조직도(회사 내에서 별 의미는 없지만)에서 상하 관계에 있는 사람에 대한 글을 쓰는 것은 꽤 부담스러운 일이다. 그래도 이 기회를 빌어 동료에 대한 고민을 깊게 해본다.

함께 일하는 다른 동료들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에 더 있다.

박문수 이야기

뿌 이야기


매거진의 이전글 말랑말랑 세미나 - 고수들의 협상 공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