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준호 Feb 22. 2024

엘리어트 파동 : 이론 - 동인 파동 / 터미널

Terminal Impulse Wave (터미널 파동)

터미널 (Terminal Impulse)


 터미널 파동이라는 패턴은 다른 말로 대각 삼각형 또는 다이고날 (Diagonal triangle)이라고도 불리는 패턴이다. 터미널과 삼각형은 대각 삼각형이라는 터미널의 또 다른 이름과 같게도 서로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터미널과 임펄스 파동은 모두 동인 파동이지만, 분명한 차이점으로 인해 구별된다. 바로 임펄스 파동은 임펄스의 4파가 1파의 가격대를 침범하지 않는 반면, 터미널 파동은 거의 항상 터미널의 4파가 1파의 가격대를 침범한다. (차트 1-1 참조) 또한 임펄스 파동은 추세를 따라 움직이는 세부 파동 3개가 모두 항상 동인 파동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5-3-5-3-5 형태로 진행되지만 터미널 파동은 추세를 따라 움직이는 세부 파동 3개가 조정 파동으로 구성되어 3-3-3-3-3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동인 파동으로 구성되어 5-3-5-3-5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차트 1-1


혼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잠시 설명하자면, 기존의 엘리어트 파동이론에서는 터미널을 다이고날 패턴이라고 부르며 이것을 수렴형과 확산형으로 나뉘어 구분 짓는다. 하지만 후에 글렌닐리의 Neely Method에서는 다이고날이라는 단어가 아닌 터미널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수렴형과 확산형의 구분을 따로 짓지 않는다. 어떻게 부르든 의미는 같다. 이 책에서는 주로 터미널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것이다.


패턴 형성 규칙


1) 2파는 절대 1파 시작점을 상향 혹은 하향 돌파하지 않는다.

2) 3파는 가장 짧은 동인 파동이 될 수 없다

3) 4파는 1파 가격대와 중첩되는 경우가 많으나 2파 종점을 상향 혹은 하향 돌파하지 않는다.

4) 5파의 절단은 터미널 패턴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5) 3-3-3-3-3 형태의 터미널 패턴이라면 (주로 엔딩다이고날) 모든 파동이 항상 지그재그 계열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6) 터미널 5파에서만 삼각형이 나올수 있다. 만약 삼각형 패턴이 나온다면 2-4 추세선을 가짜 돌파하면서 패턴이 완성될것이다.


터미널 파동이 나오는 위치


임펄스 1번 파동

임펄스 5번 파동

지그재그 A파동

지그재그 C파동

플랫 C파동


터미널 패턴의 형태


수렴형 대각 삼각형 - Contracting Diagonal 

터미널 파동에서는 보통 1번 파동이 연장된다. 1번 파동이 연장될 때 수렴형 다이고날 패턴의 형태를 갖출 것이다. (차트 1-2 참조) 3번 파동은 1번 파동의 길이의 보통 38.2%~61.8%의 길이로 진행된다. 또한 3번 파동은 5번 파동보다 길어야 하는데, 5번 파동은 3번 파동 길이의 61.8%을 많이 넘지 않을 것이다. 2번 파동의 종점은 1번 파동의 61.8% 아래에 위치할 수 없다. 또한 4번 파동은 절대 3번 파동의 61.8% 이상 되돌리지 말아야 한다. 임펄스 패턴의 교대 규칙처럼 1파가 연장되는 터미널 패턴의 2파는 4파보다 더 많은 시간과 복잡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패턴이 마감된 후 전체 터미널이 형성된 시간의 25% 혹은 50%의 시간 내에 완전히 되돌려질 것이다.


차트 1-2

 

확산형 대각 삼각형 - Expanding Diagonal

터미널 파동에서 5번 파동이 연장될 경우에는 3파가 1파보다 길게 형성되며 확산형 다이고날 패턴의 형태를 갖출 것이다. (차트 1-3 참조) 5번 파동은 1번 파동의 시작점과 3번 파동의 종점의 길이의 합보다 커야 하며 4번 파동은 3번 파동을 절반이상 되돌려야 한다. 임펄스 패턴의 교대 규칙처럼 5파가 연장되는 터미널 패턴의 4파는 2파보다 더 많은 시간과 복잡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패턴이 마감된 후 전체 터미널이 형성된 시간의 25% 혹은 50%의 시간 내에 완전히 되돌려질 것이다

차트 1-3


터미널 3번 파동의 연장

글렌닐리는 3번 파동이 연장된 터미널이 가장 발생하기 어려운 패턴이라고 썼다. 3번 파동이 연장된 터미널 패턴은 기본 임펄스의 모양과 비슷하게 형성될 것이며, 기본 임펄스 패턴의 3파가 1파와 5파의 종점과 2파와 4파의 종점을 이은 채널링의 상단선을 돌파하며 형성되는 것과 같은 채널링이 그려질 것이다.

 

임펄스 파동의 5파로서의 터미널 패턴


터미널 패턴이 임펄스 파동의 5파 자리에서 진행될 때 엔딩 다이고날 이라고도 불린다. 이때 터미널 패턴으로 형성되는 5파는 2-4 추세선을 거짓 이탈하며 진행될 것이다. 엘리엇은 이전의 파동이 너무 급하고 강하게 움직였을 때 5번째 파동으로 엔딩 다이고날이 출현한다고 말했다. 엔딩 다이고날의 세부 파동은 모두 A-B-C 형태로 진행되며 항상 3-3-3-3-3 형태로 이루어진다. 엔딩 다이고날 패턴은 추세가 힘을 다하면서 등장하는 패턴이므로 주로 수렴하는 형태의 수렴형 다이고날의 모습으로 진행될 것이다.


터미널 마감 검증 방법


터미널 파동이 마감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임펄스 파동과 같다. 2-4 추세선을 활용하는 것이데, 터미널 패턴이 마감되었을때 임펄스 보다 더 빠른 시간 안에 2-4 추세선을 돌파할 것이다.





이전 02화 엘리어트 파동 : 이론 - 동인 파동 / 임펄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