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준호 Feb 22. 2024

엘리어트 파동 : 이론 - 조정 파동 / 지그재그

ZigZag Wave (지그재그 파동)

Nature does not proceed in a straight line, it is rather a sprawling development.

일직선으로 나아가는 것은 없다, 만물은 오히려 여러 갈래로 뻗어가며 성장한다

Robert Smithson, 

Jack D. Flam (1996). “Robert Smithson, the Collected Writings”, p.155, Univ of California Press 



Corrective Wave : 조정 파동

    조정 파동은 동인 파동이 지속시키는 추세의 방향과 반대의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는 파동이다. 조정 파동은 이전 파동을 되돌리는 역할을 하며 추세의 방향이 위인지 아래인지의 따라 위로 움직일 수도 아래로 움직일 수도 있다. 또한 조정 파동이라고 해서 항상 추세를 역행하면서 이전 파동을 크게 되돌리지 않는다. 조정 파동은 옆으로 길어지는 기간 조정의 형태로도 진행될 수 있다. 즉, 조정 파동은 가격 조정 (sharp correction)과 기간 조정 (side-way correction)의 형태로 진행된다. 조정 파동은 지그재그, 플랫, 삼각형 그리고 복합 패턴으로 구분된다. 동인 파동과는 달리 조정 패턴은 다양한 패턴의 형태들과 복잡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조정 패턴이 진행될 때에는 그것이 어떤 형태로 진행되는지 확실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조정 파동의 세부파동은 ABC 알파벳으로 레이블링 된다. (차트 1-1 참조) A파와 C파는 동인파동의 1,3,5파와 처럼 조정파동이 추구하는 방향성을 따라 진행되며 B파는 동인파동의 2,4파와 같이 조정파동의 방향성과 반대로 움직여 이전 파동을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WXY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데, W파와 Y파는 A파와 C파와 역할이 같으며 X파는 B파와 비슷하게 이전 파동을 되돌린다. 조정파동은 항상 세 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지만, 5개의 파동으로 진행되는 패턴들도 존재한다. 바로 삼각형과 삼중 복합 패턴이다. 이어지는 글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삼각형은 ABCDE로 구성되며 A, C, E파가 조정 파동이 추구하는 방향성을 따라 진행된다. 삼중 복합 패턴은 WXYXZ로 구성되며 WYZ파가 조정 파동이 추구하는 방향성을 따라 진행된다. 삼각형의 B, D파 그리고 삼중 복합의 두 개의 X파동은 모두 이전파동을 되돌리는 역할을 하는 파동이다.


차트 1-1

자 그럼 조정 파동의 각 패턴들이 어떤 형태로 진행되고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규칙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조정 파동 - 지그재그 (ZigZag)


    지그재그는 세 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격조정 패턴이다. A-B-C로 레이블링 되며 A파와 C파는 항상 동인파동으로 구성된다. 반명 B파동은 조정 파동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지그재그는 5-3-5의 형태로 구성되어 파동이 진행된다. 지그재그는 가격조정 패턴답게 지그재그의 B파가 A파 전체를 되돌리지 못한다. (지그재그의 B파는 거의 항상 A파의 61.8% 혹은 그 이하를 되돌릴 것이다.) 또한 C파는 거의 항상 A파의 종점을 넘어설 것이다.


패턴 형성 규칙


    지그재그 파동의 기본 원칙들은 이러하다

1) B파동은 절대 A파동을 100% 이상 되돌리지 못한다 (만약 B파동이 A파동을 78.6% 이상 되돌린다면, 그것은 플랫패턴이 형성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2) A파동과 C파동은 항상 동인파동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파동의 유사성 법칙에 따라 A파동이 터미널의 형태로 진행되었다면 C파동 역시 그러할 것이다.

3) B파동은 항상 조정 파동의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


지그재그 파동이 나오는 위치


지그재그 파동은 조정패턴이 나오는 위치에서 나오는 것뿐만 아니라 터미널 패턴의 모든 파동에서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흔하게 보이는 파동이다.


임펄스 2번 파동

임펄스 4번 파동

터미널 1-5 파동 (3-3-3-3-3 형태로 진행된다면)

터미널 2,4 파동 (5-3-5-3-5 형태로 진행된다면)

지그재그 B파동

플랫 A파동

플랫 B파동

삼각형 모든 파동

복합 패턴 모든 파동



차트 1-2

차트 1-2는 일반적인 지그재그의 형태를 잘 보여준다.


지그재그는 그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일반형 지그재그

일반형 지그재그는 가장 일반적으로 나오는 지그재그 패턴이다. (차트 1-3 참고) B파동은 A파동의 61.8% 이상 되돌리지 못한다, 만약 그 이상 되돌린다면, 지그재그 패턴이 아니거나, B파동의 종점이 미달형으로서 A파동의 61.8% 이하에서 마감될 것이다. C파동은 거의 항상 A파동의 61.8% 이상의 길이를 형성할 것이다.  C파동은 A파동의 1.618%로 길게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일반형 지그재그는 채널링을 그렸을 때 그것의 C파동이 A파동과 접한 추세선을 돌파할 수도 아니면 접하는 위치에서 종결될 수도 있다. 만약 C파동이 A파동의 1:1 비율의 길이로 진행되고 A파동과 접한 추세선과 접하는 위치에서 종결된다면. 복합조정의 한 부분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부분은 추후 다룰 복합 조정 패턴 챕터에서 더 구체적으로 다루도록 할 것이다.

차트 1-3

미달형 지그재그

글렌 닐리는 미달형 지그재그가 가장 드물게 나타나는 지그재그의 변형 형태라고 썼다. 미달형 지그재그라는 말은 지그재그의 C파동이 절단되었다는 뜻이다. 미달형 지그재그는 채널링을 그렸을 때 그것의 C파동이 A파동과 접한 추세선보다 한참 모자란 위치에서 종결된다. (차트 1-4 참조) C파동은 A파동의 38.2%~61.8%를 형성할 것이다. 미달형 지그재그가 나타난다는 의미는 반대로 가는 추세의 힘이 매우 강하다는 의미이므로 빠른 속도로 전체 지그재그 패턴을 되돌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글렌 닐리에 따르면 미달형 지그재그는 삼각형의 내부파동 중 한 부분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차트 1-5 참조) 


차트 1-4

패턴의 세부파동이 조금 헷갈릴 수 있어 부연 설명을 하자면, 위 차트에서 나온 미달형 지그재그의 B파는 플랫으로 진행되었고 C파는 임펄스의 5파가 절단되어 C파가 조금 위에서 종결되었다. 고로 지그재그 B파의 종점이 세부파동 임펄스 3파 보다 위 가격대에 나오게 되었다. 


이 미달형 지그재그는 수렴형 삼각형의 B파동을 구성하였다. (차트 1-5 참조)

차트 1-5


연장형 지그재그

연장형 지그재그는 C파동이 A파동에 비해 과하게 길어지는 지그재그 파동을 말한다. (A파의 1.618% 이상) 지그재그가 연장될 때 모습은 임펄스 파동의 움직임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패턴 형성 중에는 이것이 연장형 지그재그인지 알아차리기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차트 1-6 참조) 

차트 1-6

만약 연장형 지그재그가 나타난다면 그것은 삼각형으로 한 부분 혹은 삼각형의 세부 파동의 한 부분 으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차트 1-5 참조)

차트 1-5

- 삼각형의 A파동 (플랫)의 A파가 연장형 지그재그로 진행되었다.


지그재그의 연속


    지그재그 파동은 연속해서 진행될 수 있다. 그 말은, 지그재그 패턴 이후 다른 지그재그 패턴이 진행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총 세 개의 지그재그가 한 개의 조정파동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되었을 때 복합 조정의 형태로서 W-X-Y로 레이블링 된다. 두 개의 지그재그가 진행되는 패턴은 이중 지그재그(Double ZigZag)라고 불리며 W-X-Y로 구성된다. 여기서 W파와 Y파에 지그재그 파동이 등장한다. 또한 세 개의 지그재그가 진행되는 패턴은 삼중 지그재그(Triple ZigZag)라고 불리며 W-X-Y-X-Z로 구성된다. 복합 패턴의 X파동은 어떤 형태의 조정 패턴이 로든 진행될 수 있으며 그전 파동의 지그재그를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다만, 복합 지그재그패턴의 X파동은 보통 지그재그 형태의 조정패턴이 등장할 것이다. 복합 형태의 지그재그 패턴에는 무조건 단순 지그재그만 W, Y, Z파 자리에 올 수 있다. 복합 지그재그 패턴과 관련해서는 추후 다루게 될 복합 패턴 챕터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지그재그 마감 검증 방법


글렌 닐리는 추세선의 개념을 적용하여 각 파동의 패턴들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임펄스의 2-4 추세선과 같은 개념으로 지그재그에는 0-B 추세선을 이용해 지그재그 패턴의 마감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0-B 추세선이라는 말은 지그재그의 시작점과 B파동의 종점을 연결한 추세선을 의미한다. 지그재그 패턴이 마감되었다면 추후 가격 움직임이 0-B추세선을 C파동이 형성된 시간 이하의 시간에 걸쳐 돌파할 것이다. 지그재그가 연장이 되지 않았다면 C파동은 그것이 형성된 시간 이하의 시간에 걸쳐 완전히 되돌려질 것이고 그렇지 않다 해도 최소 81% 이상 되돌려질 것이다.

이전 03화 엘리어트 파동 : 이론 - 동인 파동 / 터미널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