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준호 Feb 25. 2024

엘리어트 파동 : 이론 - 조정파동 / 삼각형

Triangle Wave (삼각형 파동)

조정 파동 - 삼각형 (Triangle)


    삼각형은 기간 조정 패턴으로서 5개의 파동이 존재한다. 엘리어트는 삼각형의 세부 파동 5개를 파동이라는 표현보다 다리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 하나의 패턴에 각 5개의 파동은 길이와 시간적인 면에서 이전 파동과 비교해 보았을 때 굉장히 작을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삼각형은 지그재그 계열의 조정파동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렇기 때문에 삼각형은 3-3-3-3-3 형태로 진행되는 패턴이다. 단 모든 형태의 삼각형의 E파가 삼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무제한 삼각형일 확률이 클 것이다) 삼각형은 패턴이 진행되는 중반 지점에서는 패턴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거의 알 수 없다. 하지만 삼각형 패턴이 만들어내는 추세선을 통해서 삼각형의 마지막 파동 E파동이 끝났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삼각형 E파 이후 나오는 파동을 추진 파동 (Thrust)라고 말한다. 삼각형은 그 형태에 따라서 수렴형과 확산형 두 가지로 나뉜다. 


수렴형 삼각형


수렴형 삼각형은 5개의 소파동이 점점 짧아져 수렴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삼각형 패턴이다. 기본적으로 각 파동은 직전 파동의 길이보다 짧게 진행된다. A> B> C> D> E 형태로 짧게 진행되며 거래량 역시 줄어드는 특징을 보인다. (차트 1-1 참조)


차트 1-1


수렴형 삼각형의 가장 중요한 형성 조건들은 이러하다

- D파동은 C파동 보다 짧아야 하고, E파동은 D파동 보다 짧아야 한다.

- A파동은 수렴형 삼각형에서 가장 짧은 파동일 수 없다.

- B파동은 수렴형 삼각형에서 가장 짧은 파동일 수 없다.

- D파동은 C파동의 38.2% 길이를 초과해야 한다.


이 조건은 모든 수렴형 삼각형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삼각형 패턴 이후에 진행되는 파동을 추진 파동 (Thrust)라고 부른다. 삼각형의 종류에 따라서 이 추진파동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제한된 추진파동을 진행시키는 수렴형 삼각형 패턴을 제한 수렴형 삼각형이라고 부르며, 길이에 제한이 없는 추진파동을 진행시키는 수렴형 삼각형 패턴을 무제한 수렴형 삼각형이라고 부른다.


제한 수렴형 삼각형


특징

- 제한 수렴형 삼각형은 항상 지그재그의 B파동과 임펄스의 4 파동에서만 나온다.


제한된 추진 파동

제한 수렴형 삼각형이 B파동과 임펄스의 4파동에서 나온다는 말은, 삼각형 이후의 파동은 항상 그 패턴을 마감시킨다는 의미이다. 제한 수렴형 삼각형 이후에 분출되는 파동은 삼각형의 가장 긴 파동의 100%~161.8%를 형성할 것이다.


무제한 수렴형 삼각형


특징

- 무제한 수렴형 삼각형은 삼각형의 E파 또는 복합 조정 패턴의 X파동과 Y파동 그리고 Z파동 그리고 터미널의 5파동에서 나온다.


제한이 없는 추진 파동

무제한 수렴형 삼각형이 복합 조정 패턴의 X파동과 Y파동 그리고 Z파동에서 나온다는 말은 삼각형 이후의 파동이 패턴의 마지막 파동일 수도, 중간 파동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무제한 삼각형 이후의 추진파동은 그 길이를 가늠할 수 없을 것이다.



확산형 삼각형


확산형 삼각형은 5개의 소파동이 점점 길어져 확장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삼각형 패턴이다. 기본적으로 각 파동은 직전 파동의 길이보다 길게 진행된다. A <B <C <D <E 형태로 길게 진행되지만, 각 파동의 길이에 관한 비율적 함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차트 1-2 참조) 글렌닐리는 이 패턴이 나올때 매매하는것은 굉장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확산형 삼각형의 특징인 세부 파동이 이전 파동보다 길어지게 되어 박스권이 돌파되는 것같은 착각에 빠지게 하기 때문이다. 그는 확산형 삼각형이 진행중일때 확산형 삼각형인지 확인할수 없다고 말했으며, 확산형 삼각형의 특징들이 보이면서 패턴이 형성중이라면 매매를 피하라고 조언하였다.

차트 1-2


확산형 삼각형의 가장 중요한 형성 조건들은 이러하다

- C파동은 B파동 보다 길어야 한다.

- E파동은 삼각형에서 가장 긴 세부 파동 이어야 한다

- E파동은 삼각형의 A파와 C파를 이은 추세선을 넘는다.

- 지그재그의 B파동으로 진행되지 않을 것이다.

 

이 조건은 모든 확산형 삼각형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한 확산형 삼각형


특징

- 제한 확산형 삼각형은 5파가 절단되는 임펄스의 4파 혹은 C파동이 미달형 형태로 진행되는 미달형 플랫의 B파동에서만 나온다.


제한된 추진 파동

제한 확산형 삼각형 이후의 파동이 절단 형태로 나타난다는 말은, 확산형 삼각형이 현재 추세가 매우 약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신호이다. 즉, 제한 확산형 삼각형 직후의 파동은 삼각형의 가장 긴 파동인 E파동 보다 짧게 나오며, 보통 E파동 길이의 61.8%를 형성할 것이다.


무제한 확산형 삼각형


특징

- 무제한 확산형 삼각형은 항상 복합 조정 패턴의 X파동과 W파동 그리고 이중 조정이라면 Y파동, 삼중 조정이라면 Z파동에서만 나온다.


제한이 없는 추진파동

무제한 확산형 삼각형이 복합 조정 패턴의 X파동과 W파동 그리고 이중 조정이라면 Y파동, 삼중 조정이라면 Z파동에서 나온다는 말은 삼각형 이후의 파동이 패턴의 마지막 파동일 수도, 중간 파동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무제한 삼각형 이후의 추진파동은 삼각형을 모두 되돌릴 수 있으며 그 길이를 가늠할 수 없을 것이다.


삼각형 마감 검증 방법


삼각형의 B-D 추세선은 동인파동의 2-4 추세선, 지그재그, 플랫의 0-B 추세선과 같은 역할을 한다. 삼각형의 B파 종점과 D파 종점을 이은 추세선이 돌파된다면, 그 삼각형 패턴의 E파가 이미 종결된 것이며 그 삼각형 패턴 이후의 추진파동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수렴형, 확산형이든 제한, 무제한 삼각형이든 모든 삼각형에 적용된다.




이전 05화 엘리어트 파동 : 이론 - 조정 파동 / 플랫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