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덕근 Oct 18. 2020

취약한 건 약점이 아니다

최근 독서모임에 지정된 책이 <리더의 용기>였다. 극찬을 하시던 그분의 말에 호기심이 잔뜩 일어 봤는데 정말 좋은 책이었다. 이 책의 저자는 수치심에 대해 오랜 기간 연구한 대가였다. 그리고 적잖은 책과 강연을 하면서 리더에게 필요한 것, 더 나아가 개인에게 필요한 많은 부분을 다뤘다. 그중에 가장 인상 깊은 구절은 다음이었다.


취약성은 약점이 아니다


사람들과 대화하다가 내가 모르는 것을 발견했을 때, 그 부분이 내 전문성과 연결되어 있거나, 당연히 알아야 할 것이라 생각한 것을 제대로 답하지 못할 때 수치심이 든다. 약점에 노출된 느낌도 함께. 그 감정은 나를 그 상황에서 도망가라고 소리친다.


취약성을 약점이라고 취급하는 문화에 속해 있다면 누구든 취약함을 드러내려 하지 않을 것이다. 취약하지 않은 것, 즉 내가 잘하는 것 또는 내게 유리한 것만 하려 할 것이고 새로운 도전을 시도할 수 없다. 이런 상황은 회의에서도 나타나는데 누군가 발언한 말이 얼토당토 없다고 모두가 비웃는다면 그 사람은 다시는 의견을 내놓지 않을 것이다.


취약성이 약점으로 규정되는 문화가 있다면, 그런 문화에서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새로운 관점이 제시되기 쉽지 않다. - <리더의 용기> 중


모르는 것을 부끄러운 것으로 취급되어 버리면 모르는 것을 알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때문에 내가 모른다는 것을 모른다고 말하는 용기가 필요한 시대다. 모르는걸 물어봄으로써 학습하고 성장한다. 그래서 질문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부끄럼을 주는 문화는 아직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고, 그래서 모르는 것에 대해 말할땐 용기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가장 큰 벽은 바로 나 자신이다. 내가 잘못 이야기를 했을 때 상대방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어떤 모습을 보일지 걱정하면서 스스로를 위축시킨다. 하지만 취약성은 취약성일 뿐이다. 모든 전문가가 자신의 분야에 대해 100% 달달 외우면서 다닐 수도 없는 것이고, 그 순간 생각이 나지 않을 수도 있다. 순간적인 실수가 수치심으로 변해 평생을 괴롭힌다면 내가 만든 벽을 결코 넘어설 수 없다.


취약성을 인정하면 많은 것들이 달라진다. 우선 넘치는 호기심이 생긴다. 부끄러워서 하지 못한 말, 민망해서 하지 못한 말을 쉽게 꺼내고 잘못을 인정하며 개선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성장을 하게 되며 훨씬 다양한 경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타인의 시선때문에 없애버리는 것은 아쉽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어렸을 때 어른이 되면 더는 취약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어른이 된다는 것은 취약함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 매들린 렝글


취약함은 나를 움츠려 들게 하는가? 아니면 앞으로 나갈 힘을 주는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취약함은 내게 도움이 되기도, 평생의 상처가 될 수도 있다. 이것을 깨닫는다면 우리의 대답은 어느정도 정해진거 아닐까. 그렇다면 나를 움츠리게 만드는 문화나 조직은 빨리 벗어나야 할 것이고, 스스로를 부끄럽게 생각한다면 용기를 낼 시간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글:

https://brunch.co.kr/@lemontia/223

https://brunch.co.kr/@lemontia/65


참고:

책, <리더의 용기>

매거진의 이전글 나만의 무기를 갈고 닦아야 하는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